메뉴 건너뛰기

close

중국 실크로드 역사탐방

희망제작소 호프메이커스 클럽 회원들과 함께 중국 실크로드 역사탐방을 다녀왔습니다. 특히 신장 웨이우얼 자치구는 약 160만㎢의 면적으로 중국 전체의 1/6을 차지하는 광대한 지역입니다. 중국 최대의 분지, 최고의 고원, 대사막, 대초원, 대고비, 대삼림은 웅대하고 장엄한 아름다움을 간직할 뿐만 아니라 서방의 황금과 중국의 비단을 바꾸고 불교와 이슬람문화를 전한 동서문물 교류의 접합점입니다. 신장의 실크로드는 사막과 낙타로만 여겨지던 과거 버려진 길이 아닌 천태만상의 자연환경과 다채로운 민속, 유전과 가스로 이어지는 막대한 지하자원을 가진 성장잠재력이 무궁한 곳입니다. 우루무치에서 카스까지의 7월 25일부터 8월 2일까지 7박 9일간의 여행을 연재할 예정입니다. <기자주>

 
 둔황, 룽먼, 윈강 석굴과 함께 중국 4대 석굴의 하나인 키질 석굴. 쿠차 불교를 널리 알린 명승 구마라습의 동상이 보인다
둔황, 룽먼, 윈강 석굴과 함께 중국 4대 석굴의 하나인 키질 석굴. 쿠차 불교를 널리 알린 명승 구마라습의 동상이 보인다 ⓒ 오문수
스바시고성은 쿠차현 동북 23㎞ 지점, 쿠차강이 산을 벗어나는 출구의 동서 양안에 위치한다. 때문에 동서 자오후리사라고 불리기도 하고 현지인은 이를 스바시고성이라고 부른다. '스바시'는 웨이우얼어로 '수원', '물의 원천지'라는 뜻이다. 쿠차강이 산을 벗어나는 출구에 자리했다해서 이 같은 이름을 얻었다.  

 

<한서>의 <서역전>을 보면 쿠차는 인구 8만 1천여 명에 군사 2만을 보유한 서역 36개국 중 9대국의 수도였다. 그러나 성을 둘러봤을 때 강이 말라붙어 기후변화로 성이 폐허가 된 것 같았다.

 

자오후리사는 대략 동한 말에 지어지기 시작했고 위진남북조에 이르러 크게 번성하면서 작리대사라도고 불렸다. 당 현장은 <대당서역기>에서 이 절을 처음으로 자오후리사라고 기록했다.

 

"하나의 강을 격하고 두 개의 불사가 있는데 둘 다 자오후리라고 부르니 동과 서가 이를 좇아 그렇게 불렀다. 불상은 인공을 초월한 천공으로 만들어진 듯 장중하고 멋스러우며 승도들은 고요하고 정성스럽다."

 

 스바시고성. 동서 자오후리사라고 불리기도 하나 현지인은 스바시고성이라고 부른다.
스바시고성. 동서 자오후리사라고 불리기도 하나 현지인은 스바시고성이라고 부른다. ⓒ 오문수
 스바시고성을 나올 때 장사치들이 성에서 발굴한 것이라며 사라고 권한 물건들.  민박사의 얘기에 의하면 90%는 가짜라고
스바시고성을 나올 때 장사치들이 성에서 발굴한 것이라며 사라고 권한 물건들. 민박사의 얘기에 의하면 90%는 가짜라고 ⓒ 오문수

위의 기록을 보면 당시 불사가 크게 번화했음을 알 수 있다. 자오후리사는 산을 등지고 물을 곁에 두고 세워졌으며 약 1㎢ 면적에 불전, 승방, 좌선실, 불탑 등 불교 건축물을 포함하고 있다. 자오후리사에서는 일찍이 대량의 문물이 발견되기도 했다. 대량의 동, 철, 도자기 외 여러 종류의 고대 동전과 다양한 문자로 쓰인 고문서 및 불교 문물이 발견되었다. 

 

신라 고승 혜초는 인도에 구법을 갔다 돌아오는 길에 당시 안서도호부가 자리한 이곳에 도착했다. 스님의 여행기 <왕오천축국전>에는 " 다시 소륵(카슈가르)에서 동쪽으로 한 달을 가면 구자국에 이른다. 이곳이 바로 안서도호부로서 중국 군사의 대규모 집결처이다. 이 구자국에는 절도 많고 승려도 많으며 소승법이 행해지고 있다. 고기와 파, 부추 등을 먹는다"는 글을 적어 쿠차가 불교가 흥성한 나라임을 말하고 있다.

 

천산신비대협곡, 자연이 만들어낸 위대한 풍경

 

 쿠차현 남쪽 70킬로미터에 있는 천산신비대협곡.
쿠차현 남쪽 70킬로미터에 있는 천산신비대협곡. ⓒ 오문수

쿠차현에서 북으로 약 70㎞, 국도 217호선의 약 1026㎞ 지점에는 천산신비대협곡이 있다. 대협곡에는 홍갈색의 거대한 산들이 보인다. 현지인은 커쯔리야(붉은 산등성)라고 부르며 협곡의 총길이는 5천여m에 달한다. 이곳의 산체는 거대한 몸집에 가파른 산비탈로 이뤄진다.

 

협곡은 가늘고 길며 붉은 색 암석과 굵은 자갈로 조성되어있다. 깎아지른 듯한 험준한 경사도를 이루며 봉우리와 암석도 천태만상이다. 협곡은 산세를 따라 넓어지기도 갑자기 좁아지기도 한다. 최대 너비는 53m, 가장 좁은 곳은 0.4m에 그쳐 한 사람이 겨우 지나갈 수 있을 정도다.

 

계곡이 종횡으로 교차하고 수많은 봉우리가 첩첩 서있는데 그 기이한 모습이 끝없는 상상을 불러일으킨다. 협곡 내에는 당대의 천불동 유적인 아아이 석굴이 있는데 동굴 내에는 중원 문화의 영향을 깊게 받은 벽화가 비교적 잘 보존돼 있다. 

 

키질석굴, 중앙아시아 불교 미술사의 정수

 

 쿠차시장 모습
쿠차시장 모습 ⓒ 오문수

키질석굴은 바이청 현 커쯔얼 향에서 동남쪽으로 약 7㎞, 쿠차현과는 약 60㎞ 정도 떨어져 있다. 북으로 밍우다거 산과 이어지고 앞으로는 웨이간 강이 산 사이에서 굽이쳐 흘러간다. 강을 사이에 두고 췌얼다거 산이 우뚝 솟아있다. 수㎞를 연달아 이어지는 사스산 절벽 위에 인공적으로 파서 만든 석굴이 분포돼 있다.

 

석굴의 형식은 두 가지로 나눠 볼 수 있다. 하나는 승방으로 승도가 거주하거나 좌선하는 장소로 방과 방으로 통하는 통로가 만들어진 구조다. 실내에는 생활에 필요한 아궁이를 포함한 간단한 시설이 있다. 또 다른 하나는 불전인데 불도가 예배를 올리거나 포교하는 장소이다.

 
 용도가 뭘까? 물이 부족한 사람들이 손을 씻는데 사용하는 물통. 물을 채워 필요할 때  꼭지를 틀어 아껴서 사용해야 한다
용도가 뭘까? 물이 부족한 사람들이 손을 씻는데 사용하는 물통. 물을 채워 필요할 때 꼭지를 틀어 아껴서 사용해야 한다 ⓒ 오문수

불전은 높은 굴실에 동굴 문이 열리고 벽에 불상이 조소로 새겨진 불상굴, 주실을 장방형으로 하고 실내에 탑주를 설치한 중심굴, 굴실이 비교적 규칙적인 방형굴 등이 있다. 현재까지 번호를 매긴 동굴이 총 236개가 있다.

 

키질 석굴은 쿠차지역 석굴 예술의 발양지 중 한 곳으로 석굴 건축예술, 조소예술, 벽화예술이 아시아 불교 예술사에서 극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석굴의 조소는 대부분 훼손되거나 외부에 약탈되었다. 석굴 조소로는 석조, 목조, 부조, 채조 등이 다양하게 쓰였다.

 

키질 벽화는 현재 1만여㎡가 남아있으며 전체 쿠차 벽화의 대부분이랄 수 있다. 내용은  주로 불상화, 불교 고사화, 동물화, 산수화, 화수화, 장식 도안화 등이다. 특히 불교 고사화가 많은데 그 중에서도 부처 생가의 고사화와 인연 고사화의 수량이 대다수다.

 

 키질의 38호 석굴에 있는 '사신사호도'로, 호랑이가 아기를 먹으려 하자 부처가 자신의 몸을 던져 호랑이 밥이 된다는 벽화
키질의 38호 석굴에 있는 '사신사호도'로, 호랑이가 아기를 먹으려 하자 부처가 자신의 몸을 던져 호랑이 밥이 된다는 벽화 ⓒ 오문수

국립중앙박물관 민병훈 박사의 설명이다.

 

"38호 석굴을 안보고는 키질 석굴을 봤다고 할 수 없을 만큼 중요한 곳입니다. 키질을 대표하는 석굴이며 주제 표현양식이 중앙아시아 불교미술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전실은 볼트형 천정으로 되어 있으며 주로 벽화의 내용은 부처님의 선행을 나타냅니다. 길 잃은 상인에게 자신의 팔을 태워 길을 밝혀주는 '등명도', 호랑이가 아기를 먹으려 하자 자신의 몸을 던져 호랑이 밥이 되는 '사신사호도' 등의 그림은 햇빛이 쨍하게 비치는 날은 파란색이 몽환경에 빠지게 만듭니다."

 

동행했던 봉은사 총무국장 진화스님은 "이런 곳인 줄 모르고 왔는데 이렇게 열악한 곳에서 수양했던 스님들을 보고 부끄럽다"고 말씀하셨다.

 

고증에 의하면 한때는 승려가 만 명을 넘었을 만큼 불교가 흥성했다고 한다. 키질석굴의 가장 큰 특징은 불교가 중국화 되기 전에 만들어져 불상이나 벽화가 인도풍이 완연한 간다라 양식이란 점이다.

 

동굴이 바라보이는 입구 중앙에는 산스크리트어로 된 불교 경전을 최초로 중국어로 번역하여 동아시아 불교에 큰 영향을 준 구마라습의 상이 있다.

덧붙이는 글 | '희망제작소'와 '네통'에도 송고합니다


#실크로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교육과 인권, 여행에 관심이 많다. 가진자들의 횡포에 놀랐을까? 인권을 무시하는 자들을 보면 속이 뒤틀린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