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거제도에는 세계 굴지의 조선소가 들어서 있다.
 거제도에는 세계 굴지의 조선소가 들어서 있다.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우리나라 조선업의 근간을 차지하는 거제도. 이곳에는 조선업에서 세계 굴지의 기업인 삼성과 대우가 입주해 있다. 또한 중소업체와 연관 산업이 입주했다.

여기에 종사하는 인구만 4만여 명. 이로 인해 거제도는 경남도에서도 소득 순위 1, 2위를 다툰다니, 흔히 말하는 지역경제의 버팀목임이 분명하다.

지난 3일, 여행 삼아 혼자 간 거제도. 우리나라 근대화의 상징, 혹은 우리나라 수출산업의 효자인 조선업 견학 겸, 중소기업의 상황도 들어볼 겸, 겸사겸사 한 중소업체를 방문했다.

조선소에 들어서기 전부터 철판 두드리는 소리가 쩌렁쩌렁하다.

묘하게 용접 불꽃에서 살아 있음을 느끼다!

어릴 적, 소형 조선소 옆에 바짝 붙어살았다. 하여, 조선소에 대한 좋지 않은 기억들이 머리 한구석에 파편으로 남아 있다.

조선소에서 철판 등을 다루는 소음으로 인해 아이들이 자다가도 경기를 일으키고, 마당에 넌 빨래들은 분진으로 까맣게 변하기 일쑤였다. 또 페인트를 칠하는 날에는 냄새며, 페인트 분말이 날려 차량에 흔적을 남기는 등 분쟁이 끊이질 않았었다.

거제도 조선공업단지. 마을과 거리를 둔 조선소에 들어서니 비교적 깨끗하다. 이에 더해 분진막 등으로 환경 피해를 최소화했다. 불꽃이 여기저기 튀고 있다. 묘하게 용접 불꽃에서 살아 있음을 느낀다. 배를 만들 철판 위에는 재단 자국들이 선명하다.

유조선을 건조하는 현장. 1층엔 에어컨 룸, 공기정화시설 등이 자리한다. 2층에는 식당, 주방, 카고 제어실, 사무실 공간 내장작업 중이다. 3층엔 선원실이, 4층엔 사관실이, 5층엔 조타실 작업이 한창이다. 배관, 의장, 도장, 보온작업, 시멘트 미장 등 육지에서 하는 인테리어와 비슷하다. 아니, 육지보다 꼼꼼한 손길이다.

신출내기는 시간당 5000원, 기술 숙련공은 8000원 선으로 임금을 받는다고 한다. 시간외수당까지 더해져 하루 노임은 4~7만 원. 중간 관리자급은 관리수당이 붙는다고 한다. 조선업은 대개 일이 넘칠 때를 제외하곤 뜨내기는 드문 편이란다.

조선소들은 가림시설로 주민들의 환경 피해를 최소화하고 있었다.
 조선소들은 가림시설로 주민들의 환경 피해를 최소화하고 있었다.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중소기업 희생으로 대기업만 이익 보는 현실

중형 하청업체 관계자에게 중소기업 사정에 대해 물었다.

"이명박 대통령이 대기업에 상생 관계를 지적한 후 하청 관계를 살피러온 정부 관리가 상주 중이다. 그렇지만 피해를 우려해 직접적인 사실 관계를 말하기 어렵다."

A씨는 중소업체의 사정을 털어놨다.

"지난해까진 대기업에서 납품단가를 낮추지 않았는데, 올해에는 18%를 삭감해 버티기가 힘들다. 이로 인해 우리도 사정상 아래 하청업체를 불러 작업 단가를 낮춰야 했다. 내년에는 단가를 다시 올려주겠지 하고 버티고 있다."

그러면서 그는 "대기업은 1조에 가까운 영업이익을 보는 상황인데도 중소기업은 수십억 원 적자 타령이니 기막힐 노릇이다"며 "중소기업 희생을 바탕으로 대기업만 이익 보는 현실이 말이 되냐?"고 쓴소리다.

정부가 나서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하청관계 개선을 요구하는 상황이다. 이게 말 뿐에 그쳐선 안 될 일이다. 부당한 일들이 당장 개선될 수 있도록 철저한 조사가 필요한 시점이다.

덧붙이는 글 | 다음과 SBS에도 송고합니다.



태그:#조선소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묻힐 수 있는 우리네 세상살이의 소소한 이야기와 목소리를 통해 삶의 향기와 방향을 찾았으면... 현재 소셜 디자이너 대표 및 프리랜서로 자유롭고 아름다운 '삶 여행' 중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