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이 여행기는 2010년 4월 14일~6월 26일까지 중국 구이저우(貴州), 윈난(雲南), 스촨(四川: 동티벳), 북베트남, 북라오스를 배낭여행하며 연모하는 여인(女人) 어머님에게 부친 편지에 기초합니다. 현대적인 건물이나 관광지가 아닌 소수 민족이 사는 동네와 깊은 산골 오지를 다니며, 일기를 대신하여 적은 편지입니다. 그리고 그곳에서 따스한 사람을 만나 행복했습니다. 고맙습니다. 지난 편지를 차례로 연재 기록할 예정입니다. <기자말>
 

사시 -고진이 숨겨놓은 스바오산의 석고굴(石古屈)

 

어머님,

사진고진(沙溪古鎭)을 조용히 거닐며, 어디선가 들려오는 방울 소리를 잡으려 합니다. 처음 발을 내딛는 순간에는 무척이나 낯설었지만, 동네 몇 바퀴를 돌고 나서, 얼마간의 시간이 지난 다음 사등지에에 앉아 있는 저는 예전에 이곳에 오래 머물렀던 듯이 익숙한 자리라며 몸을 내맡기고 있습니다.

 

여행을 오래 하다 보면, 무엇을 급하게 보아야 된다는 욕심이나 많이 보아야만 정답이라는 생각을 잊어버리곤 합니다. 그냥, 그 풍경이 좋으면 오래도록 머물고, 그 거리가 좋으면 오래도록 걸을 뿐입니다. 아마도, 많은 말을 하며 사람들을 만나서 이런저런 이야기를 주고받지는 못하지만, 물아일체의 경지에 닿으려고 까치발로 때론 서성이곤 합니다.

 

어머님.

차마고도상에 석고굴(石古屈)이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일찍이, 학창시절에 사막 한가운데에 버려진 석고굴이 있다는 이야기를 외웠지만, 차마고도 위에 이와 같은 석고굴이있다는 이야기는, 여행을 떠나기 앞서까지 믿지 않았습니다. 사막의 모래폭풍을 맞서고, 파미르 고원을 넘어, 인더스 협곡을 따라가는 머나먼 비단 길이라면 어떠한 간절함을 품을 수 있겠거니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또한 제가 알고 있는 불교도 이 길을 걸었습니다. 그런데 윈난에서도 바이주(白族)네들이 불교를 믿었으며, 그네들은 바위에 부처임을, 자기네들의 임금님과 일상을 새겨 넣었습니다.

 

지금으로부터 일천 년 전, 남조국(南詔國)부터 대리국(大理國) 시절까지, 스바오산의 풍경구내에 있는 바위에, 비바람에 잊히지 않는 바람을 그려넣었습니다. 저는 석고굴이라는 말에 이끌려 사시고진에서 잠시 다녀올까 하며 길을 나설 채비를 합니다.

 

사등지에에 앉아 윈난의 지도를 살펴보니, 스바오산 들머리에서 석고굴까지는 약 삼십 리 길이라 표시되어 있습니다. 젠찬으로 나가는 빵차를 타고 큰길에서 내려, 산등성이를 따라 삼십여 분을 걸어가니 바오산스(寶相寺) 산문(山門)이 나옵니다. 산문에 들어서니, 울창한 나무들이 사천대왕처럼 서 있으며, 선문(禪門)에 든 듯, 길 따름에는 아무도 없습니다. 어디까지 걸어가야 하는지 모른 채 무작정 길을 걷고 있습니다.

 

어머님,

어느 자리에 서 있든 마음이 여유로워 천천히 불러볼 수 있다면, 평상심(平常心)을 잃지 않은 채 그곳의 풍경을 가슴 깊이 품어올 수 있으며, 어떤 판단 앞에서는 조금 더 정확한 결정을 내릴 것이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제 마음이 거친 파도 위에선 배가 된 듯, 타클라마칸 사막을 달리는 한 마리 말이 되어버린 듯 조급함으로 모든 이성적 판단을 흩트랴 버립니다. 여유로울 때 품는 평상심은 일상에서 쉬이 구할 수 있는 것이라면, 조급함에서 얻는 평상심은 낯설게 찾아오는 기회일는지 모릅니다. 그리고 오늘 저는 그 낯설게 찾아온 기회의 길을 홀로 걷고 있습니다.

 

오전에 고진에 든 다음, 늦은 점심시간에 길을 나서 스바오산을 걷는 제 발걸음은 종종 걸음입니다. 만약에 산문에서 약 12km 떨어진 거리라면 걸어서 3시간 거리라는 생각이 저를 어지럽게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산문을 들었을 때에는 '선문'에 든 듯 들떠 있었지만, 한 시간, 두 시간째 홀로 걷는 걸음이 마냥 가볍지만은 않은 듯합니다.

 

세 시간을 걸은 다음, 알림판이 있는 곳에 닿은 저를 처음 맞이한 것은, 외떨어진 곳에 닫힌 바위였습니다. 이 산은 바위가 많지 않은 산이기에, 산 어딘가에 바위가 있으며 그곳에 부처임을 새기고, 또 다른 바위를 찾아 나선 듯합니다. 스종쓰까지 가는 길 위에는 몇 개의 바위가 있으며, 그곳에는 오래된 부처님에 계십니다. 그리고 스바오산의 가장 아름다운 자리-스종산 스종쓰에 닿으면 차마고도가 숨겨놓은 보배와 마주하게 됩니다.

 

스종산(石钟山)의 스종쓰(石钟寺) 석고굴이 있는 곳에 이르면 다양한 부처님의 형상과 남조국의 임금님, 소를 타고 있는 보살을 볼 수가 있으며, 또한 신기함 그 자체인 '아양바이'라는, 여성의 성기 형상으로, 연화보살좌 위에 놓여 있는 '생명의 탄생지'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아양바이는 한 번만 만져도 아이를 얻는다는 전설 때문인지 돌은 반들반들합니다. 하지만 오늘날에는 더 이상 다듬지 말라는 문패가 붙어 있습니다. 고진에서 젠촨으로 이어지는 높은 산(해발 약 3038m) 위에 바이주 사람들은, 옛사람들이 그랬듯이, 자기네들의 믿음을 바위에 새겼습니다. 아마도 먼 길에 따른 위험과 그리움 등을 간절히 바라는 마음이 아닐까 합니다.

 

석고굴에서 부처님을 뵙고 (외떨어진 곳이여서인지 발걸음은 한산했으며) 어머니 아버지를 따라온 예닐곱 살 숙녀가, 바위에 새겨진 부처님 앞에서 절하는 모습은 제가 함부로 침범할 수 없는 경이감으로 산 깊숙이 맴돌고 있습니다. 은은한 부처님의 미소가 어린아이의 머리 위에 내려옵니다. 저는 아무런 말도 하지 않은 채 조용히 앉아서는 오랜 기억 속에서 묻혀 지내다 세상으로 나왔지만, 세상과 너무 떨어져 쉬이 들뜨지 않는 부처님을 마주합니다.

 

길 위에서 이름 한 글자 보고 찾아온 저이기에, 가슴 속에서 풍선 마냥 부풀어 오르는 들뜬 마음을 애써 숨기지 않습니다. 천 년을 묵묵히 좌선하는 부처님은 몸이 가벼우며 깊으며, 며칠 길 위에서 길을 따라온 중생은 몸이 무척이나 가벼우며 얇습니다.

 

어머님,

스바오산을 둘러보고, 산에서 내려와서는 두어 시간째 젠촨으로 가는 빵차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저 뒤편에는 사시 고진이 있으며, 그곳으로 드는 빵차는 많이 있는데, 앞으로 달려 나오는 빵차가 너무 드문 편입니다. 한 시간에 한 대 꼴인 빵차에는 이미 사람과 꽉 차 있습니다. 이 차가 막차라는 생각에 염치불구하고 엉덩이를 넣고 싶지만, 열린 문으로 쏟아져 나올 듯한 손님들의 모습에 다시 문을 닫아줍니다. 저는 스멀스멀 발아래를 맴도는 땅거미를 헤집으며 다시 무작정 걷기 시작합니다. 걸어가면서 무조건 손을 들어 지나가는 차를 불러 세워 보지만 두어 시간 동안 두서너 대입니다.

 

가난한 배낭 여행자는 10원을 아낄 수 있다면 한 시간이고, 두 시간도 흥정을 할 수 있으며, 1원을 아낄 수 있다면 한 시간이고 두 시간도 걸을 수가 있습니다.

 

길을 걸으며 생각합니다. 제 발걸음보다 더 빠른 어둠의 발길에 내 몸이 온통 감싸여 달빛 아래 여느 산골집의 개 짖는 소리에 백골이 쫓기듯이 뛰듯이 나아갑니다. 이렇게 무조건 걷기만 하면 새벽 두서너 시면 들 수 있다는 생각입니다. 그렇지만 밤새 걸을 수가 없으며, 또한 새벽에 드는 것도 큰 의미가 없기에, 밤이슬만 피하고, 여우, 늑대 등 산짐승을 피할 수 있는 곳이면 어디든 좋겠다고 마음을 내려놓습니다.

 

그때 마침 빵차 한 대가 올라오기에, 다시 손을 들었습니다. 어떠한 희망보다 차가 지나가면 손이 자연스레 올라가는 것이 맞을 듯합니다. 이런 저를 아저씨는 흔쾌히 태워주시고, 저는 몇 번이고 '쎄쎄(謝謝 :고맙습니다)' '쎄쎄'라고 했습니다. 그리고 저는 '여행자'이며, '한국에서 왔다'는 등 여러 이야기를 아주 짧게 짧게, 그리고 그 사이사이 '팅부동(聽不憧 : 잘 모릅니다)'이라며 건네면 아저씨는 그냥 웃으십니다.

 

어머님,

길 위에서 하늘을 생각합니다. 하늘은 함부로 손을 내밀어 주지 않습니다. 그렇다고 결코 외면도 하지 않습니다. 젠촨으로 들어오는 길도 그러하였으며, 북베트남에 북라오스로 건너갈 때에도 그랬습니다. 제가 죽는 힘껏 다하고, 숨이 턱턱 막혀 더 이상 나아가지 못하더라도 억지스레 앞으로 나아가려 하면, 그제서야 하늘은 제게 손을 내밀어 줍니다. 길을 걸으며 생각합니다. 어떠한 일이 있어도 스스로 죽여서는 절대 아니된다고.

 

어떠한 자리에 놓이든, 스스로에 대한 희망의 끈으로 나아가면, 비로소 하늘은 손을 내밀어준다고. 그렇지 않고, 스스로 죽여 버리면 하늘이 손을 내밀어도 저는 그 손을 잡을 수가 없음을. 길을 걸으며 몇 번이고 하늘이 잔인하고 원망스러운 듯했지만, 그는 내게 '나 자신에 대한 믿음'을 심어주었다고 생각합니다.

 

어머님,

길 위에서 이름 하나 얻어듣고 (수없이 물으며) 오래도록 걸었습니다. 다음에 이 길을 나선다면 쉬이 낯설 듯하며, 다시 낯선 길 위에서 이름을 줍더라도 자신감이 제 먼저 나설 듯합니다. 하늘의 깊은 뜻을 아주 짧게 헤아리며, 젠촨으로 돌아왔습니다.

 

2010. 06 . 10 젠촨고성(劍川古城)에서


태그:#중국, #윈난, #젠촨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