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초, 나는 친구 소개로 한 대형마트에서 아르바이트를 했다. 대학 입학금과 등록금을 합쳐 450만 원을 내야 하는 상황에서 책값이라도 벌어 부모님 부담을 덜어드리자는 생각이었다. 스무 살에 맞은 생애 첫 직장생활이기에 더욱 들뜬 마음으로 근무를 시작했다.
내가 맡은 일은 설 명절 선물세트 박스를 나르는 것이었다. 그런데 근무를 시작한 지 10분도 안 돼 꾸지람을 들었다. 다른 파트 판매원 아주머니의 일을 거들었다는 이유에서였다. 그때 비로소 나는 마트 소속 직원이 아니라 마트에서 한 파트를 맡은 A업체의 파견노동자라는 사실을 알게 됐다.
마트는 각 파트 별로 담당 파견업체를 쪼개놓고 있었다. 같은 매장에서 일해도 업체가 다르면 경쟁자였다. 자기 파트 물품을 조금이라도 팔기 위해 묘한 신경전이 계속됐다. 과도한 경쟁 탓에 동료애는 느껴지지 않았다.
노동여건도 열악했다. 5일에 한 번 쉰다는 약속과 달리 주말에도 일을 해야 했다. 그에 따른 수당은 받지 못했다. 출근 시간은 칼같이 지켜야 했지만 퇴근 시간은 마트의 담당 직원 마음대로였다.
마트 직원의 폭행... "파견업체 소속인 니가 참아라"
그러던 어느 날이었다. 물류창고에서 박스를 나르다가 가까이 있던 친구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그러자 친구의 파트를 총괄하는 직원이 다짜고짜 욕설을 내뱉으며 "네가 직접 하라"고 했다. 자기 파트 직원이 다른 일을 하는 것이 못마땅한 듯했다. 나는 "알았다"고 하고 혼자 일을 했다. 그러나 그 직원은 "대답이 건방지다"며 울그락 불그락한 얼굴로 내 머리를 때리고 박스더미에 나를 내팽개쳤다. 그로 인해 머리카락이 한 움큼이나 뽑혔다.
난 당장 경찰에 신고했다. 출동한 경찰에게 사법처리 의사를 밝혔다. 그러자 주변 사람들이 나를 다그치기 시작했다. 아주머니들은 "가해자가 마트 소속 직원이니 파견업체 소속인 네가 참으라"고 다독였다. 마트 간부는 "A업체는 앞으로 행사에 참여할 수 없을 줄 알라"고 협박했다. 그 간부는 내게 "억울하면 고시를 보든 해서 성공해라. 넌 지금 하찮은 아르바이트생일 뿐"이라고 무시했다. 다른 직원들도 "남들은 다 참고 넘어가는데 왜 너만 이렇게 말을 듣지 않느냐"면서 나를 사회 부적응자로 몰아갔다.
잠시 뒤 내게 아르바이트를 소개해 준 친구로부터 전화가 걸려왔다. 그 친구는 "사건을 덮지 않으면 자신에게 불이익이 있을 것"이라며 "제발 사건을 덮어달라"고 했다. 고민이 됐다. 잘못한 건 마트 직원인데, 내 친구가 피해를 입을 수 있었다. 나와 친구의 사이도 틀어질 위험이 있었다. 오랜 고민 끝에 친구에게 양해를 구하면서 요청을 거절했다. 부당한 대우를 그냥 참고 넘어가면 안 된다고 생각했다.
저녁 시간이 됐다. 같이 알바를 하던 다른 친구들은 멈칫멈칫하더니 나와 멀찌감치 떨어져 걸었다. '밥 먹으러 갈 때 뭉쳐 다니지 말라더라'고 했다. 돌려 말했지만 나와 함께 다니지 말라는 지시가 내려왔음을 알 수 있었다. 친구들에게 먼저 가서 밥을 먹으라고 한 뒤 혼자 패스트푸드점에 갔다. 구석진 자리에 앉아 햄버거를 먹는데, 서러움에 눈물이 흘렀다.
생애 첫 해고 당한 날, 쉽사리 잠들지 못했다
고등학생 때 접한 노동인권 강의에서 자본이 정규직과 비정규직을 나눠놓고 노동자들 사이에 갈등을 유발하고 분열시킨다는 얘길 들었다. 언제 해고될지 모른다는 불안함이 비정규직 노동자들을 하나로 뭉치는 데 장애가 된다는 말도 들었다.
내가 직접 겪은 대형마트의 노동현실은 강의에서 듣던 것보다 심각했다. 수직적으로는 정규직과 비정규직, 파견노동자의 구분이 마치 봉건시대 귀족과 평민처럼 뚜렷했다. 수평적으로도 파트별로 다른 업체가 경쟁하도록 만들어 놓아 노동자는 말 그대로 파편화된 존재였다. 기대했던 노동의 보람이나 협동의 가치는 느낄 수 없었다. 마치 일한 시간만큼 돈을 받는 기계 같았다.
그날 저녁 난 바로 해고됐다. 마트는 고작 파견 직원을 해고하면서 사유를 알려주는 친절을 베풀진 않았다. 설렘으로 시작한 스무 살의 첫 직장생활은 이렇게 사회의 어두운 면만 또렷이 각인한 채 20여 일 만에 끝이 났다. 작업복을 벗고 마트를 나서는데 "억울하면 성공하라"는 간부의 말이 계속 뇌리에 맴돌았다. 실제로 난 억울했다. 다시는 그런 대우를 받으며 일하기 싫었다.
하지만 '그래서 반드시 성공하리라'는 다짐을 선뜻 할 순 없었다. 앞으로 대학생활에서 고시에 합격하거나 경쟁자에 비해 학점과 토익·자격증 등에서 앞선다면 그 간부가 말한 '성공'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이 이 시대 대다수 대학생이 꿈꾸는 성공이고, 나 역시 그러한 성공에 대한 갈망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그러나 내가 성공하더라도 어느 마트 직원은 스무 살 아르바이트생을 때리고도 면죄부를 받고, 맞은 아르바이트생은 참기를 강요받는 일이 반복될 것이다. 그렇다면 난 과연 성공했다고 말할 수 있을까. 진정한 의미의 '성공'은 내가 겪은 억울함이 반복되지 않는 구조를 만드는 것이 아닐까.
생애 첫 해고를 당한 날 밤은 이런 저런 고민으로 쉽사리 잠에 들지 못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