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망월동 묘역과 유가협에 전시되어 있는 조성만 열사의 영정 사진. 처음 본 그의 얼굴은 참으로 선한 미소였다.
▲ 조성만 열사 망월동 묘역과 유가협에 전시되어 있는 조성만 열사의 영정 사진. 처음 본 그의 얼굴은 참으로 선한 미소였다.
ⓒ 전국민족민주유가족협의회

관련사진보기

1990년 1월 추운 어느 날, '조성만'이란 이름을 처음 만났다. 태어나 처음으로 광주 망월동 묘역을 찾은 날, 겨울이라 일찍 해가 저무는 그 묘역에서 나는 깔끔한 인상의 그를 영정으로 처음 보았다.

1964년 12월 13일 전북 김제에서 태어나 1988년 5월 15일 서울 명동성당 교육관 옥상 위에서 할복, 투신해 스스로 목숨을 끊은 조성만. 묘지 앞에 놓인 영정 속 그의 미소는 잔잔했다. 너무나 많은 이들이 갖가지 이유로 죽임을 당하고, 또 죽음을 선택하는 비극이 계속되던 그 시절. 조성만의 죽음 역시 많은 이들에게 크나큰 아픔과 상처로 남았다.

그 후 조성만을 다시 만난 곳은 유가협이었다. 1993년 3월, 당시 나는 '전국 민주화운동 유가족협의회(유가협)'에서 간사로 일을 시작했다. 유가협은 민주화운동 과정에서 목숨을 잃은 열사들의 가족이 모여, 먼저 간 이들이 못다 이룬 민주화와 통일을 이루고자 만든 단체다.

유가협 사무실 한쪽 면은 열사들의 사진으로 가득했다. 조성만은 웃는 듯 아닌 듯한 흑백의 얼굴로 그곳에도 자리하고 있었다. 그리고 나는 비로소 조성만이 왜 그처럼 짧은 스물네 해를 살고 사진 속의 미소로 남았는지 알게 됐다.

할복 투신한 조성만... 그는 성직자를 꿈꾼 청년이었다

1988년 5월 15일 오후 3시 40분께, 서울 명동성당 교육관 옥상에 한 청년이 섰다. 그날 1980년 5월 광주를 피로 물들인 전두환·노태우를 규탄하는 행사가 준비되고 있었다. 행사 참가한 이들로 분주하던 그때, 한 청년의 외침이 울려 펴졌다.

"공동올림픽 개최하여 조국통일 앞당기자!"
"민주인사 가둬놓고 민주화가 웬말이냐!"
"분단 고착화하는 미국놈들 물러가라!"

이어 하늘 위로 5월 꽃잎처럼 유인물이 흩뿌려졌다. 많은 이들이 "안 돼!"라는 비명을 내지르기도 전에, 조성만은 칼로 자기 배를 그어 할복한 후 교육관 옥상에서 뛰어내렸다. 찰라였다. 비명과 흐느낌, 울부짖음과 충격으로 명동성당 들머리가 들썩였고 어떤 이들은 실신했다.

떨어진 이는 조성만이었다. 투신과 함께 뿌려진 유인물에는 그가 목숨을 던져 이 세상에 남기고 싶었던 외침이 고스란히 담겼다. 

"성부와 성자와 성신의 이름으로 아멘"으로 시작하는 이 유인물에서 조성만은 "척박한 땅, 한반도에서 태어나 인간을 사랑하고자 했던 한 인간이 조국통일을 염원하며 이 글을 드립니다"라고 적었다. 

누군가는 말했다. 왜 죽느냐고. 살아서 싸우지 않고 목숨을 버리는 건 어리석은 일이라고. 그리고 자결 행위를 찬양하고 미화하는 게 과연 옳은 것인지에 대해서도 목청을 높였다.

그러나 자살을 택한 이들을 일방적으로 비난하는 사람들이 이해하지 못하는 게 있다. 조국을 사랑하는 마음, 민중을 사랑하는 마음, 그리고 불의한 권력에 굴복할 수 없는 뜨거운 마음과 절박함이 그것이다. 그 절박함을 끌어안고 가장 소숭한 목숨을 스스로 끊어 짧은 외침을 남긴 이들이 바로 민주화열사들이다.

조성만 역시 그러했다. 그는 신부가 되고 싶었던 사람이었다. 하지만 그는 신부가 되지 못했다. 심지어 그가 자살했다는 이유로 장례미사조차 이뤄지지 못했다. 하지만 조성만과 함께했고 그의 유서를 읽은 많은 이들은 알고 있다. 조성만이 또 다른 예수의 길을 걸어갔다고 말이다.

"지금 이 순간에도 떠오른 아버님, 어머님 얼굴. 차마 떠날 수 없는 길을 떠나고자 하는 순간에 척박한 팔레스티나에서 목수의 아들로 태어난 한 인간이 고행 전에 느낀 마음을 알 것도 같습니다."

새롭게 태어난 조성만에 관한 기록 <사랑 때문이다>

조성만 평전 <사랑 때문이다>.
 조성만 평전 <사랑 때문이다>.
ⓒ 오마이북

관련사진보기

2011년 5월. 조성만이 떠난 후 꼭 스물세 번째 다시 온 그 5월이다. 그리고 이 5월에 떠난 조성만을 기록으로 되살린 책이 출간되었다. 송기역이 쓴 조성만 평전 <사랑 때문이다>(오마이북 펴냄)이 그것이다.

누구의 일생을 담은 평전은 대개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면서 소소한 일상의 삶과 고뇌를 담지만 <사랑 때문이다>는 다르다. 조성만 죽음 이후 남은 이들의 기억과 상처로 책의 서두를 채웠다. 누군가에게 조성만은 '아픔' 그 자체였으며, 누군가에는 끝없는 '미안함'이었고, 또 누군가에는 기억하기 싫은 '망각'이었다.

하지만 이들 모두에게는 한결같은 공통점이 있다. 명동성당 들머리에서 1985년부터 지금까지 여전히 노래하고 있는 가수 박준의 말을 보면 그것을 알 수 있다. 

"그가 떨어진 그 자리에 가면 죄스러워. 조성만이라는 세 글자는 항상 나와 함께 있어. 내 인생에서 예수라는 인물은 신앙의 중심이고 시작이고 끝이야. 성만이의 죽음이 신앙적으로 나에게 준 것이야."

조성만의 존재가 특별한 이는 또 있다. '길 위의 신부'로 널리 알려진 문정현 신부다. 1974년 사법살인으로 알려진 인혁당 사건 사형수 8인의 구명과 진실을 위해 온몸을 던져 싸워왔고, 또 그때부터 지금까지 평택 대추리 미군기지 반대와 용산 철거민 참사 사건 현장에서 싸워 온 그가 천주교 영세를 준 이가 바로 요셉 조성만이다. 그런 문정현 신부도 이 책, 조성만 평전 <사랑 때문이다>에서 고백한다.

"(조성만은) 내 신앙의 스승이다."

실제로 문정현 신부는 지금까지 개최된 조성만의 추모식에서 늘 "성만이는 저의 스승입니다, 조성만 요셉의 죽음을 시작으로 미국에 대한 의식이 변했습니다"라고 말해왔다.

조성만, 그가 목숨을 끊은 진정한 이유는

조성만의 외침은 현재 진행형이고 남은 숙제다. 그가 유서에 남긴 남북 통일은 고사하고 민족의 평화는 더 멀어졌으며 민주주의 역시 후퇴했다. 이미 스물세 해나 지난 조성만의 죽음을 왜 지금 다시 우리가 기억해야 하냐고 묻는다면, '조성만의 삶과 외침'은 이미 끝난 과거가 아니라 여전히 우리가 가야 할 길이기 때문이라고 답해주고 싶다.

또 명분이 아무리 좋아도 스스로 목숨을 끊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하면서도, 정작 부조리한 현실 속에서 우린 어떤 실천을 하며 살고 있는지 돌아봤으면 한다. 우리 정말 이렇게 편하게(?) 살아도 괜찮은 것인지, 스스로 한 번 물어봤으면 좋겠다.

여전히 명동성당 교육관 위에 서 있는 조성만은 우리에게 다시 외친다.

"내가 목숨을 끊은 진정한 이유는 바로.... 사랑 때문이다."

덧붙이는 글 | 요셉 조성만 평전 <사랑 때문이다>, 송기역 지음, 오마이북 펴냄, 가격 15,000원



사랑 때문이다 - 요셉 조성만 평전

송기역 지음, 오마이북(2011)


태그:#조성만, #유가협, #조성만 평전, #사랑 때문이다, #고상만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인권 운동가, 재야인사 장준하 선생 의문사 및 친일 반민족행위자의 재산을 조사하는 조사관 역임, 98년 판문점 김훈 중위 의문사 등 군 사망자의 명예회복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저서- 중정이 기록한 장준하(오마이북), 장준하, 묻지 못한 진실(돌베개), 다시 사람이다(책담) 외 다수. 오마이뉴스 '올해의 뉴스게릴라' 등 다수 수상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