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말에 '숲은 못 보고 나무만 본다(見樹不見林)', '사슴을 쫓는 자 산은 못 본다(逐鹿者不見山)'고 했다. 산 속으로 들어가 버리면 그 산은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비슬산 역시 마찬가지이다. 산의 정상인 대견봉이나 철쭉 군락지의 전망대에 올라서는 비슬산의 전경을 볼 수가 없다.
그런데 비슬산은, 주위의 다른 봉우리에 오르면 전체적 장관을 볼 수 있는 여느 산들과는 또 다르다. 비슬산과 더불어 대구의 2대 명산으로 인정받고 있는 팔공산만 하더라도 초계봉, 용암산성, 가산봉, 도덕산 정상 등에 오르면 장쾌한 팔공산맥의 기운을 생생하게 눈과 가슴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하지만 비슬산은 다르다. 비슬산을 보려면 반드시 유가사 건너편의 초곡산성 터에 올라야 한다. 그곳에서만 비슬산의 전경을 맛볼 수 있다.
초곡산성은 시내버스 종점인 유가사 정류장에서 왼쪽으로 작은 다리를 건너 2시간 정도 걸으면 오를 수 있다. 정작 성터 자체에는 볼 만한 유적이 남은 게 없어 땀 흘리며 예까지 허위허위 올라온 보람이 반쯤 사라지지만, 비슬산 쪽을 바라보는 순간 그런 허탈감은 정말 순식간에 구름처럼 사라진다.
예까지 오는 동안 내려가는 이를 만나는 일은 거의 없다. 한없이 부지런한 몇몇 산꾼들이 'OO산악회', 'XX산악회' 등의 작은 리본을 드문드문 나뭇가지에 매달아 놓은 것은 눈에 띄지만, 그게 전부다. 여러 차례 이 성터에 올랐어도 단 한번 하산의 즐거움에 가득차 미소를 날려주는 사람과 마주친 적이 없다. 그만큼 이 길은 한산하다.
그래도 나 홀로 이 외로운 산길을 오른다고 해서 쓸쓸해 하지는 말라. 유가사 주차장을 떠나 성터로 나아가다가 반쯤 오른 지점, 오른쪽 임도로 접어들면 용연사로 내려가고 왼쪽 산길을 선택하면 초곡산성에 닿는 삼거리에서, 잠깐 가쁜 숨을 고르다가 이윽고 숲 사이로 들어서면, 성터에 도착할 때까지 줄곧 울창한 소나무들이 맑고 향기로운 바람소리를 내며 사람을 반겨준다.
그뿐이 아니다. 성터에 닿으면 그 어느 곳에서도 볼 수 없었던 비슬산의 웅장한 고위평탄면이 한 눈에 들어오니, 어찌 아직도 '고독'을 운운할 수 있으랴. 그 어떤 방향에서도 결코 전모를 드러내지 않는 비슬산이 유독 이곳 초곡산성 정상에서만은 남김없이 자신을 보여주는 것이다.
짙고 푸른 산빛, 거의 직선처럼 간명한 산등성, 광활한 고위평탄면, 더러 조각처럼 창공을 흐르는 흰 구름조각들 앞에서 길손은 눈이 부신다. 그렇지 않아도 유가사의 황금빛 지붕은 정말 특이하다고 생각해 왔는데, 이 성터에 서서 아스라히 바라보는 그 찬란한 빛깔은 정녕 사람의 마음을 부푼 풍선처럼 노오랗게 물들여준다.
유가사의 황금빛 지붕도 특이하지만, 비슬산은 그 자체가 온통 특이하다. 정상 일대가 100만㎡나 되는 고위 평탄면인 것도 그렇고, 장장 2km에 걸쳐 펼쳐지는 세계 최대의 빙하기 암괴류는 더욱 장관이다. 물론 천연기념물이다.
비슬산 암괴류 중에서도 토르(tor, 바위산)는 대견사지 일대에 모여 있다. 저 깊은 땅속에 묻혀 있다가 8만-1만년 전 지구의 마지막 빙하기에 불쑥 모습을 드러낸 집채 크기 이상의 기기묘묘한 바윗덩어리들의 군집 앞에 서면 보는 이들은 입을 다물지 못한다.
비슬산이 암괴류의 세계적 보고라는 사실을 두 눈으로 실감있게 보려면 소재사에서 곧장 등산로로 오르지 말고 자연휴양림 복판의 삼거리에서 오른쪽으로 난 포장 임도로 접어들어야 한다. 그 길은 계속 걸으면 대견사지까지 가는데, 계곡 건너편에 있기 때문에 산비탈을 타고 흘러내린 둥글둥글한 암괴류(Block stream)와 날카롭게 각이 진 애추(Talus)들이 끝없이 쌓여 있는 광경을 정확하게 보여준다.
비슬산은 또 하나의 절경을 5월 초순에 찾아온 방문객들에게 보여준다. 이미 전국적으로 그 명성을 얻고 있는 철쭉꽃 군락이다. 해마다 이즈음이면 대견사지 바로 뒤 전망대에서부터 최고봉인 대견봉 사이의 물경 100만㎡에 이르는 평지가 온통 붉게 핀 철쭉꽃으로 가득 채워진다.
특히 소재사에서 올라온 사람들은 대견사지에서 잠깐 숨을 고른 후 집채 같은 토르 사이로 머리를 내밀었을 때 철쭉꽃 만발이 정말 하늘까지 뒤덮고 있는 장관 앞에서 어느 누구 가릴 것 없이 무아지경이 된다.
철쭉꽃 군락을 뚫고 앞으로 계속 나아가면 비슬산의 정상인 대견봉에 닿는다. 만약 그대가 소재사나 유가사에 주차를 해두고 올라왔다면 그리로 되돌아 하산할 일이지만, 어디로 내려가도 무방한 자유가 있다면, 길은 여러 갈래이다. 오른쪽으로 내려가 한때 일연스님이 머문 경상북도 청도 용천사에 닿아도 좋고, 줄곧 앞으로 나아가 보물 제 539호인 석조계단(石造戒壇)이 있는 용연사에 이르러도 또한 좋다.
물론 그리로 가면 도성대사가 득도를 한 것으로 유명한 도성암, 만해스님의 정취가 깃든 유가사를 볼 수는 없다. 그러므로 만약 그 둘을 다 보고 싶다면 도성암으로 내려와야 한다. 유가사로 먼저 오면 다시 도성암으로 30분쯤 되올라야 하지만, 도성암부터 답사하고 오면 유가사와는 길 끝에서 자연스레 만나게 되기 때문이다.
이제 여정을 정리해 볼 시각이다. 자가용을 가지고 온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로 대별할 수 있겠다. 개인적으로 소유한 차량이 있으면 주차한 곳으로 되돌아가야 하는 문제가 있지만, 그 대신 대중교통을 이용했을 때는 가보기 어려운 장소에도 들를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자가용 없이 온 경우의 여정은 대략 아래에 예시한 것처럼 여섯 가지를 들 수 있다. 그 중 (1)과 (4)가 대표적인 여정이다. 그 둘은 역코스이다.
(1) 소재사- 대견사지- 철쭉꽃 군락지- 대견봉- 도성암- 유가사- 유가만세교
(2) 소재사- 대견사지- 철쭉꽃 군락지- 대견봉- 청도 용천사
(3) 소재사- 대견사지- 철쭉꽃 군락지- 대견봉- 용연사
(4) 유가만세교- 유가사- 도성암- 대견봉- 철쭉꽃 군락지- 대견사지- 소재사
(5) 유가만세교- 유가사- 도성암- 대견봉- 청도 용연사
(6) 유가만세교- 유가사- 도성암- 대견봉- 용연사
자녀와 함께라면 꼭 '빨간 마후라'기념관과 사효자굴을 방문하세요자가용을 가지고 온 경우에는 산 위의 여정이 좀 더 제한이 된다. 그 대신 다른 곳을 더 가볼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다른 곳은 어디인가? '빨간 마후라' 기념관과 사효자굴이다. 그 둘을 넣어 새로운 여정을 짜보자.
(1) 소재사- 대견사지- 철쭉꽃 군락지- 대견봉- (온 길을 고스란히 되돌아 하산하여) '빨간 마후라' 기념관- 유가만세교- 유가사- 사효자굴
(2) 유가만세교- 유가사- 도성암- 대견봉- 철쭉꽃 군락지- 대견사지- (여기서 바로 유가만세교로 하산한 다음) '빨간 마후라' 기념관- 사효자굴
'빨간 마후라' 기념관의 공식 명칭은 '유치곤 장군 호국 기념관'이다. 이 기념관이 탄생한 데에 결정적 밑거름이 된 것은 유가면민들의 평상시 마음가짐이었다. 평소 유가면 사람들은 고향을 빛낸 인물- 영화 <빨간 마후라>의 실제 모델 유치곤 장군을 기리는 기념관을 짓는 것이 소원이었다.
그러던 중 유가면의 민간단체 '유가애향회'가 처음으로 2002년 3월 월례회에서 기념관 건립을 논의하였고, 그 이후 '유치곤 장군 호국기념관 건립추진위원회'(위원장 현삼조)가 앞장서서 활약한 끝에 2005년 6월 15일 준공의 결실을 보았다.
기념관에 들어가면 <빨간 마후라> 영화를 볼 수 있다. 전쟁 때 유치곤 장군이 보여준 활약상을 확인할 수 있는 사진들도 전시되어 있다. 기념관은 특히 외형만이 아니라 내부도 비행기의 모습을 그대로 살려서 건축되었기 때문에 아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데 조금도 부족함이 없다. 뜰에 진열되어 있는 비행기들과 '빨간 마후라' 노래비, 유치곤 장군 동상도 좋은 볼거리들이다. 장군의 동상 위로 비슬산의 거대한 토르들이 웅장하게 버티고 있는 모습 또한 장관이다.
사효자굴은 비슬산 중 유가사 방면 답사의 마지막 볼거리이다. 사효자굴은 이름 그대로 네 명의 효자에 얽힌 전설이 깃든 동굴인데, 자세한 내용은 1982년에 대구직할시가 펴낸 <대구의 향기>에 실려 있다. 그러나 일반인들이 그 책을 찾아서 읽어보기는 어려우므로 줄거리를 간략히 요약하여 소개해보면 다음과 같다.
임진왜란 당시, 유가면 쌍계동의 곽씨 일가족이 이곳으로 피난을 했다. 어머니는 그 이전에 일찍 타계하였고, 남은 아버지와 네 아들은 동굴 안에 숨었다. 왜적이 굴 앞에 왔을 때 평소 해소병을 앓던 아버지가 기침을 했다. 아버지를 살리려고 장남이 굴 밖으로 나와 처형되었다. 아버지가 또 기침을 해서 차남이 죽었다. 아버지의 기침은 멈추지를 않아 다시 삼남이, 마지막으로 막내아들까지 다 죽었다.
그러고도 아버지는 기침을 멈추지 못해 결국 그도 왜군에게 잡혔다. 사정을 알게 된 왜군들이 감동을 하여 노인의 등에 '효자의 아버지'와 그 사연을 써서 붙였다. 다른 왜군이 노인을 죽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였다. 그 일이 있은 이후부터 사람들은 이 굴을 사효자굴이라 불렀다.
아이들과 함께 온 비슬산 답사라면 '빨간 마후라' 기념관과 사효자굴은 꼭 가보아야 한다. 이런 곳이 있는 줄 알면서 직접 가보지 않고 식당에서 밥만 먹고 하산한다면 교육적이지 못하다. 세계적 천연기념물인 암괴류, 엄청난 고위평탄면, 보기 드문 철쭉꽃 군락, 만해의 정취가 깃든 유가사, 그리고 '빨간 마후라'와 네 명의 효자가 죽지 않고 살아 있는 비슬산, 과연 대구를 대표할 만한 답사지라 상찬해도 결코 무리가 아닐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