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일자리 박람회에 줄지어 선 중장년층 구직자들
 일자리 박람회에 줄지어 선 중장년층 구직자들
ⓒ 최병렬

관련사진보기


경기 안양시가 중장년층을 위한 채용박람회를 지난 26일 시청사 홍보홀에서 열었다. 1천여 명의 중장년 구직들이 몰려들어 성황을 이뤘으며, 20여 개의 구인업체가 참여해 구직자들을 대상으로 즉석 면접을 벌였다.

청년 채용행사 때보다 열기가 더 뜨거웠는데, 이는 IMF 이후 회복되지 않는 국내 경제 여건과 최근의 글로벌 경기침체의 영향으로 조기퇴직자가 해마다 40∼50만 명 이상 쏟아져 나오지만 재취업의 창구는 매우 드물어 중장년층의 구직난이 심각하기 때문이다.

이날 박람회에는 안양시니어클럽, 대명인더스, (주)더센네트웍스, (주)이도산업, 홈플러스 평촌점 등 20개 기업들이 참여했다. 기업들이 제시한 임금으로는 시급 4320~6500원, 또는 월 90~120만 원, 연 1500~2500만 원 등 업무와 경력에 따라 다양했다.

또 복리후생으로 4대보험은 기본이고, 기업에 따라 식사제공, 통근버스, 심야교통비, 자녀학자금 지원, 본인 학원비 지원까지 제공하겠다고 약속하는 것도 적지 않았다.

중장년층 일자리 찾기 도와드립니다
 중장년층 일자리 찾기 도와드립니다
ⓒ 최병렬

관련사진보기



채용공고 게시판에 쏠린 구직자들의 눈
 채용공고 게시판에 쏠린 구직자들의 눈
ⓒ 최병렬

관련사진보기


"일해야 입에 풀칠이라도 할 텐데 갈 곳은 마땅치 않다" 

꾸역구역 몰려든 구직자들은 로비 중앙에 마련된 이력서 작성 공간에서 이력서를 쓰고 채용 게시판에서 원하는 업종과 직무를 확인한 후 각 기업 채용 부스를 찾아 회사 관계자들과 면담을 했다. 일부 구직자는 즉석에서 채용이 확정돼 환한 미소를 짓기도 했다.

하지만 이날 일자리 박람회에 나온 기업은 불과 20여 곳에 불과하고 채용 인력 또한 100여명도 채 되지 않아 몰려든 구직자들이 갈 곳은 턱없이 부족해 그야말로 바늘구멍이다.

특히 일자리 직종 대부분이 품질관리, 업무보조, 환경관리, 미상, 봉제, 제빵, 요양보호, 경비, 주차안내, 카트이동, 물류센터 상하차, 생산제조, 소독원, 영업관리 등 현장과 단순업무가 차지해 다양하지 않고, 사무직종과 경력직을 원하는 기업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안양 박달동에서 왔다는 50대의 한 구직자는 "중견기업에서 경리와 재정 업무를 보다 명퇴했는데 와서 보니 경력직을 원하는 곳은 한 군데도 없다"며 "나이는 먹었지만 아직 일할 수 있고, 일해야 입에 풀칠이라도 할 텐데 갈 곳이 마땅치 않다"며 힘없이 발길을 돌렸다.

이력서를 작성하는 중장년층 구직자들
 이력서를 작성하는 중장년층 구직자들
ⓒ 최병렬

관련사진보기


일자리박람회에서 기업 관계자들과  상담하는 구직자들
 일자리박람회에서 기업 관계자들과 상담하는 구직자들
ⓒ 최병렬

관련사진보기


안양시 일자리센터 가동... 상시 구인 구직자 연결

한편 행사를 주최한 안양고용센터와 안양시는 이날 행사장에서 구직자들을 위한 이력서 컨설팅, 적성검사, 직업훈련 등 취업 관련 정보를 제공했다. 또 시각장애인 안마사의 무료안마 서비스와 이력서용 증명사진 무료 촬영과 즉석 인화를 제공해 큰 호응을 얻었다.

또한 이날 원하는 직장을 구하지 못한 구직자들에게는 안양시가 지난해 2월 개소한 일자리센터에 등록하도록 안내됐다.

안양시 2층에 마련된 안양 일자리센터는 지난해 2월에 개소했다. 센터장을 포함해 담당공무원과 취업상담사 등 10명이 상주하며 취업상담과 알선, 교육 그리고 일자리 발굴 등 사후관리까지 취업 전 과정에 걸친 밀착서비스로 취업성공률을 높이고 있다.

또 홈페이지(ay.intoin.or.kr)도 구축, 경기일자리센터와 연계하여 다양한 구인구직 정보도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인터넷 활용이 어려운 이들은 전화(1577-0019) 한 통으로 자신이 원하는 일자리뿐 아니라 경기도 내 전 시군의 일자리 정보도 얻도록 하고 있다.

안양고용센터는 오는 9월경에는 청년층을 위한 채용박람회를 개최한다는 계획이다.


태그:#안양, #구직, #중장년층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