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당동 당산 경남 거창군 기조면 병사리 당동마을에 있는 당산. 경남 민속자료 제21호이다
▲ 당동 당산 경남 거창군 기조면 병사리 당동마을에 있는 당산. 경남 민속자료 제21호이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6월 24일. 아침부터 비가 내린다. 장맛비라고 하더니 며칠 동안 참 사람을 움직일 수 없도록 뿌려댄다. 일기예보에서는 남부지방에 꽤 많은 비가 내릴 것이란 예보다. 한참을 망설이다가 진주에 볼일을 보아야하니, 후줄근하지만 길을 나서기로 마음을 먹었다. 출발은 했지만 이 빗길에 어찌해야 할지.

몇 곳을 들려 당동 당산을 찾아보기로 마음을 먹는다. 거창 가조면 소재지에서 가북면 방향 지방도 1099호 선을 타고 가다보면, 우측으로 사병리 당동마을이 나온다, 이리저리 찾아보았지만 당산은 쉽게 눈에 띄지 않는다. 아마도 외부인에게 그 속내를 보여주기 싫은가보다. 마을 분들에게 길을 물어 겨우 마을 뒤편에 자리한 당산을 찾았다.

당산 당산은 당집 옆으로 소나무 두 그루가 서 있고, 돌담을 둘러 놓았다
▲ 당산 당산은 당집 옆으로 소나무 두 그루가 서 있고, 돌담을 둘러 놓았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당집 돌과 흙으로 지은 한 칸 남짓한 당집. 기단을 쌓고 그 위에 지었다. 이 당산은 삼국시대부터 전해졌다고 한다
▲ 당집 돌과 흙으로 지은 한 칸 남짓한 당집. 기단을 쌓고 그 위에 지었다. 이 당산은 삼국시대부터 전해졌다고 한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당산은 우리민족의 정신적인 거처

'당산(堂山)'은 지역마다 부르는 명칭이 다르다. 경기도와 충청도 지방에서는 산신당· 산제당 혹은 서낭당이라고 부른다. 영남과 호남 지방에서는 주로 당산이라고 한다. 당산은 돌탑이나 신목, 혹은 조그마한 집을 지어서 신표로 삼는다. 집을 지었을 때는 그 안에 당신(堂神)을 상징하는 신표를 놓거나, '성황지신'이란 위패를 모셔 놓는다.

당산은 내륙지방과 해안지방의 부르는 명칭 또한 다르다. 내륙에서는 신당, 당집, 당산 등으로 부르지만, 해안이나 도서지방에서는 대개 '용신당'이라고 부른다. 이 당산에서는 매년 정월 초나 보름, 혹은 음력 10월 중에 길일을 택해 마을 주민들이 정성을 드린다. 당산제를 지낼 때는 집집마다 추렴을 하여 제물을 마련하는데, 이런 이유는 마을 사람 모두가 똑같이 복을 받게 하기 위함이다.

당집 당집은 맞배지붕을 올렸다. 뒤 벽은 둥글게 조성하였다
▲ 당집 당집은 맞배지붕을 올렸다. 뒤 벽은 둥글게 조성하였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당산제는 우리 민족의 정신적인 지주였다. 일제치하에서 문화말살정책을 편 것도, 그 한편에는 당산이 갖는 공동체의 정신을 말살하기 위함이었다. 사람들은 이 당산에 모여 정성을 드리고 음식을 나누면서, 서로의 끈끈한 정을 이어갔던 것이다. 마을의 안녕과 풍농과 풍어, 그리고 다산을 기원하던 곳인 당산. 그 당산에서 이루어지는 기원은 우리의 정신적인 지주였고, 당산은 우리의 마음의 거처이기도 했다.

당동마을 당산을 찾아가다

비는 잠시 멈춘 듯하다. 그러나 논둑길에 자란 풀들이 다리를 휘감는다. 빗물에 젖은 풀들을 헤치고 걷노라니, 바짓가랑이가 축축이 젖어온다. 돌담을 쌓은 안에 작은 집 한 칸이 바로 당동마을 당집이다. 옆에는 소나무 두 그루가 나란히 서 있다. 아마도 할아버지 할머니 당산이라도 되는 듯.

당동마을 당산제는 삼국시대부터 전해졌다고 한다. 그 숱한 세월을 당동마을 사람들의 정신적인 지주로 자리를 잡아 온 것이다. 이 당산은 철종 9년인 1858년과 고종 15년인 1878년에 부분적인 중수가 있었다고 한다. 그리고 1991년에 대대적으로 보수하였다고 한다. 이러한 역사적인 사실은 1858년에 기록한 상량문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금줄 당집 주변에는 여러가닥의 금줄이 쳐져 있다
▲ 금줄 당집 주변에는 여러가닥의 금줄이 쳐져 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당동마을의 당산제는 정월 초하루에 마을 원로회의에서 제관을 정한다고 한다. 보름이 되면 마을을 중심으로 동서남북에 위치하고 있는 문수산, 금귀봉, 박유산, 장군봉의 산신께 제를 지내고 난 후, 마을에 있는 당집에서 제를 올린다. 당동 당산은 경남 민속자료 제21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선반 선반에는 '당사중수기'와 위패가 모셔져 있다
▲ 선반 선반에는 '당사중수기'와 위패가 모셔져 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그릇 당집 안 바닥에 놓인 그릇들. 초와 향을 켠 흔적이 보인다
▲ 그릇 당집 안 바닥에 놓인 그릇들. 초와 향을 켠 흔적이 보인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당산에 마음 한 자락 내려놓다

멈추었던 빗방울이 다시 떨어진다. 당집 앞에서 머리를 조아리고 문을 열어본다, 한 칸 남짓 돌과 흙으로 지어진 당집 주변에는 금줄이 여러 겹 쳐져있다. 이 당동 당산제에서는 닭피를 뿌린다고 한다. 당집 안에는 간소하다. 벽에 걸린 선반에는 '당사중수기'와 위패가 모셔져 있다.

밑에는 촛불과 향을 피웠던 그릇들이 있다. 당집을 한 바퀴 돌아본다. 마을 주민들만 아니라 아마도 무속인들도 이곳에 와서 정성을 드린 것인지. 소나무 가지와 금줄에 오색천에 걸려있다. 당집을 찬찬히 돌아본 후 머리를 조아린다. 마음 한 자락 이곳에 내려놓고 가고 싶다. 삼국시대부터 전해졌다는 당동마을 당산이다. 그 안에 마음 하나두고 빗길을 돌아선다.

오색천 소나무 가지에 걸린 오색천. 누군가 공을 들인 흔적이다
▲ 오색천 소나무 가지에 걸린 오색천. 누군가 공을 들인 흔적이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티스토리 '바람이 머무는 곳'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당동 당산#거창 가조#경남 민속자료#삼국시대#상량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