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경북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에 소재한 운문사 경내에 서식하고 있는 천연기념물 처진소나무
▲ 처진 소나무 경북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에 소재한 운문사 경내에 서식하고 있는 천연기념물 처진소나무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경북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에 소재한 운문사는, 신라 진흥왕 21년인 560년에 창건된 비구니 사찰이다. 역사적으로 본다면 벌써 1,500년 전에 세워진 고찰이다. 이 운문사 경내 만세루 옆에 서식하고 있는 처진 소나무 한 그루는, 수령 500년이 지난 천연기념물 제180호이다. 이 나무의 키는 9.4m에 가슴둘레의 높이는 3.4m 정도이다.

처진 소나무의 밑동 둘레는 2.9m, 가지는 동으로 8.4m에 서로 9.2m, 남으로는 10.3m에 북으로는 10m 정도로 뻗어 30여 평을 뒤덮고 있다. 사방으로 고르게 발달한 모습을 하고 있는 이 나무는, 가지가 밑으로 축 처진 모습을 한 보기 드문 품종이다. 우리나라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수많은 소나무 중, 이렇게 가지가 처진 소나무는 몇 그루 되지 않는다.
    
처진 소나무의 밑동 둘레는 2.9m, 가지는 동으로 8.4m에 서로 9.2m, 남으로는 10.3m에 북으로는 10m 정도로 뻗어 30여 평을 뒤덮고 있다.
▲ 중앙줄기 처진 소나무의 밑동 둘레는 2.9m, 가지는 동으로 8.4m에 서로 9.2m, 남으로는 10.3m에 북으로는 10m 정도로 뻗어 30여 평을 뒤덮고 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삽목(揷木)'으로 새 생명을 얻은 처진 소나무

우리나라에 있는 고목(古木)이나 거목(巨木) 등에는 많은 전설이 전하고 있다. 그중 가장 많이 나타나는 것이 바로 '삽목(揷木)'에 대한 전설이다. 삽목이란 말 그대로 나무를 땅에 꽂았다는 이야기이다. 그리고 삽목의 전설은 고승이나 유명한 인물들과 관련 있다. 이 운문사 처진 소나무 역시 어느 대사가 이곳을 지나다가, 시든 나뭇가지를 땅에 꽂아 이렇게 큰 나무로 자랐다는 전설을 갖고 있다.

어느 방향으로 보든지 삼각형에 가까운 형태로 자란 운문사 처진 소나무. 아마 이 삽목에 대한 전설은 새 생명을 불어넣는다는 종교적 의미를 갖고 있을 것이다. 실제로 절 안에 서식하고 있는 수령이 오래된 나무들은, 거의가 역사적 인물이나 고승들이 마른 지팡이 등을 꽂아 새 생명을 주었다는 삽목의 전설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북으로 뻗친 가지
▲ 가지 북으로 뻗친 가지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수많은 지주대를 받치고 있는 남으로 뻗은 가지들
▲ 가지 수많은 지주대를 받치고 있는 남으로 뻗은 가지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막걸리를 마시는 운문사 처진 소나무

운문사 처진 소나무가 기이한 나무라는 것은 전하는 이야기만 들어도 알 수가 있다. 시든가지를 꽂아 생명을 얻은 이 나무는, 임진왜란 때 절이 모두 불타버렸지만 칡넝쿨이 나무를 감고 있어 살려냈다고 하다. 운문사에서는 1970년대부터 매년 음력 삼월삼짇날이 되면, 막걸리 열두 말에 물 열두 말을 타서 나무 둘레에 뿌려주는 '처진 소나무 막걸리 먹이기'를 펼치고 있다고 한다.

이렇게 처진 소나무에 막걸리를 먹이는 것은, 소나무가 막걸리를 마시면 생육에 도움이 된다고 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막걸리에는 많은 영양분을 함유라고 있기 때문에, 나무를 옮겨 심거나 할 때도 막걸리를 주변이 뿌려주고는 한다. 운문사 스님들은 이 나무를 '선정(禪定)에 든 나무'라고 한다. 오랜 세월을 스님들의 염불소리를 듣고, 도를 닦아 스스로를 낮추는 나무라는 것이다.

삽목으로 새 생명을 앋은 운문사 처진소나무는 스스로 생명을 품고 있었다
▲ 새 생명 삽목으로 새 생명을 앋은 운문사 처진소나무는 스스로 생명을 품고 있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비가 뿌리는 날 만난 처진 소나무, 그대로 춤이었다

땅 위 2m 정도에서 사방으로 뻗친 가지는 지주를 대고 있다. 아마 이 지주들이 없다면 가지들이 모두 땅에 닿아 있을 것이다. 7월 15일 금요일. 아침 일찍 운문사에서 생활을 하고 계시는 250여 명의 비구니 스님들에게, '스님짜장' 봉사를 하기 위해 운문사로 떠났다. 맑던 날씨가 청도에 들어서면서 비가 뿌리기 시작한다.

운문사에 내려 처음 만난 것이 바로 처진 소나무였다. 운문사는 그동안 몇 차례나 방문한 곳이지만 갈 때마다 새롭다. 비를 맞으면서 처진 소나무 주변을 돌아본다. 호거산 운문사. 주변 산에는 호랑이에 관한 전설도 전해지고 있는 곳이다. 6·25 때도 방화로 일부 전각을 잃었지만, 이 소나무는 재앙을 피했다고 한다. 그만큼 신령한 나무이기도 하다.

어느 방향으로 보나 삼각형인 운문사 처진소나무는 수형이 아름답기로 유명하다
▲ 처진소나무 어느 방향으로 보나 삼각형인 운문사 처진소나무는 수형이 아름답기로 유명하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운문사 처진 소나무는 수형이 아름다워 우리나라의 처진 소나무 중에는 최고로 친다. 빗물이 떨어지는 가지 밑으로 들어가본다. 마치 춤을 추듯 늘어진 가지들. 그 모습에서 수많은 무희들이 팔을 뻗쳐 춤을 추고 있는 모습을 본다. 아마도 새 생명을 얻은 희열을 그렇게 표현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우리가 알지 못하는 자연의 신비. 운문사 처진 소나무를 보면서, 그 아름답고 신비한 자연에 고개를 숙인다. 비를 맞으며 만난 소나무 한 그루에서, 난 또 다른 자연의 힘을 얻어간다. 새로운 생명을 얻었음에도 불구하고, 스스로를 낮출 줄 아는 겸손과 함께.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티스토리 '바람이 머무는 곳'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운문사, #처진소나무, #천연기념물, #청도, #비구니사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