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2신 : 17일 오후 3시 30분]

 

여야 의원들, 한목소리도 전경련 질타

 

이날 오후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강화에 대한 공청회'에서 전경련에 대한 여야 의원들은  계속됐다.

 

김재균 민주당 의원이 전경련이 작성한 '기업별 로비 정치인 리스트' 문건에 대해 추궁하자 허 회장은 "신문을 보고 알았다"며 '모르는 일'로 일축했다. 김 의원이 "지시하고 조직적으로 아는 분이 신문을 보고 알았다는 거냐"고 재차 묻자 허 회장은 "내가 어떻게 지시하겠냐"고 되받아쳤다.

 

이 같은 허 회장의 태도에 강창일 민주당 의원은 "(로비 문건이) 사실이면 대국민 사과를 해야 한다"며 "전경련이 자체적으로 조사해 결과를 발표하라"고 쏘아 붙였다. 허 회장은 "사실이면 대국민 사과를 할 것"이라며 "곧 조사 결과를 발표하겠다"고 한 발 물러섰다.

 

허창수 전경련 회장에 비판 쏟아져...전경련 해체 주장까지 제기

 

공청회에서는 급기야 전경련을 해체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제기됐다.

 

박진 한나라당 의원은 "전경련이 공생발전이라는 시대정신에 제대로 답변할 수 있는지 의문"이라며 "전경련이라는 단체와 조직의 문제다, 국회 로비 사건 등 시대착오적 발상으로는 국민의 신뢰 얻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박 의원은 "자본주의 발전과 양극화 해소를 위해 전경련이 과감히 해체하고 새로운 싱크탱크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허 회장은 "내부적으로 검토하고 있다"며 "(결과가) 나오면 얘기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노영민 민주당 의원은 "대기업이 납품 단가를 후려치거나 공장 설비를 헐값에 인수하는 행위를 할 경우 징벌적 손해배상을 확대해 파산에 이를 정도로 패널티를 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모든 기업이 그런 게 아니라 일부 회사가 그런데 전체가 욕을 먹는다"며 명확한 답을 내놓지 않던 허 회장은 노 의원이 "악질적이고 고의적인 범죄 행위에 대해 어떻게 하겠냐"며 정확한 입장 표명을 요구하자 "법적으로 제재를 당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허 회장은 "반값 등록금 정책이 포퓰리즘"이라고 한 본인의 발언에 대해서 "우리 회사는 임직원에게 (등록금 지원을) 해주기 때문에 또 반값을 하는 건 좋은 정책이 아니다라는 차원이었다"며 "말실수를 해서 잘못 전달된 것"이라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1신 : 17일 오후 1시 20분]

 

17일 오전 11시, 지식경제위원회가 개최한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강화에 대한 공청회'가 열렸지만 허창수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회장은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해외 출장을 이유로 16일 오후 출국했다가 급거 귀국하는 바람에 공청회에 '지각'한 것이다. 

 

공청회 분위기는 싸늘했다. 강창일 민주당 의원은 "전경련이 전국경제인 로비 연합부로 전락했다"며 포문을 열었다. 전경련이 7대 대기업에 접촉 정치인 명단을 할당한 문건을 작성한 데 대한 질타였다.

 

강 의원은 "허창수 회장의 국회 무시가 도를 넘었다, 바쁘다고 공청회 안 나오면 되겠냐"며 "국민들이 재계 수장의 이런 모습을 보면 뭐라고 하겠나"고 힐난했다.

 

같은 당 김재균 의원도 "두 차례나 공청회에 불참하는 건 국회 무시를 넘어 국민을 모독하고 있는 것"이라며 "하루 이틀 전에 공지된 일정도 아닌데 오후에 갑자기 출장 간다더니 오늘 12시에 도착한다고 한다, 이래서 되겠냐"고 꼬집었다. 허 회장은 지난 6월 열린 지경위 공청회에도 불참하며 임원을 대신 내보낸 바 있다.

 

조경태 민주당 의원은 "허창수 회장이 참석한 시점부터 회의를 진행할 건지 고민해야 한다"며 공청회 연기를 제안하기도 했다.

 

허 회장은 1시간 늦은 오후 12시 정각에 모습을 드러냈다. 그는 "지난 번 공청회에 불가피하게 출석 못해 송구스럽다"며 "오늘도 해외 발주 관계 일정 때문에 조금 늦었다, 널리 이해 부탁드린다"며 사과의 뜻을 간략히 밝혔다.


태그:#허창수 , #공청회, #지경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