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올려다만 보다가 내려다보니 일정한 패턴이 있다. 저마다 다른 기와의 색깔이 하나의 예술작품을 보는듯 하다.
▲ 기와 올려다만 보다가 내려다보니 일정한 패턴이 있다. 저마다 다른 기와의 색깔이 하나의 예술작품을 보는듯 하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점점 보기 힘들어지는 것들, 이젠 골동품처럼 그 모양새만 간직하고 있는 것인지, 그 안에 장이나 장아찌가 들어있는 것인지 모르겠다.
▲ 장독대 점점 보기 힘들어지는 것들, 이젠 골동품처럼 그 모양새만 간직하고 있는 것인지, 그 안에 장이나 장아찌가 들어있는 것인지 모르겠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지붕 사이 마당, 여름밤이면 마당에 평상을 깔거나 멍석을 깔고 누워 별똥별 떨어지는 것을 보기도 했었겠다.
▲ 북촌 지붕 사이 마당, 여름밤이면 마당에 평상을 깔거나 멍석을 깔고 누워 별똥별 떨어지는 것을 보기도 했었겠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그냥 벽이 아니었다. 그 옛날 흙담은 어떤 형태가 되었건 예술작품이었다. 미장이들이 남긴 예술작품을 이젠 어디에서 찾아볼까?
▲ 벽 그냥 벽이 아니었다. 그 옛날 흙담은 어떤 형태가 되었건 예술작품이었다. 미장이들이 남긴 예술작품을 이젠 어디에서 찾아볼까?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양반꽃이라고도 했는데, 양반집 같은 곳에 피어났다. 꽃도 그 신분의 탈을 벗어버리고 싶어 담을 넘는가?
▲ 능소화 양반꽃이라고도 했는데, 양반집 같은 곳에 피어났다. 꽃도 그 신분의 탈을 벗어버리고 싶어 담을 넘는가?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참, 멋져보였다. 예쁘다고 말할 수밖에 없었다. 나도 저런 단아한 창으로 꾸며진 집에서 살고 싶다.
▲ 창과 꽃 참, 멋져보였다. 예쁘다고 말할 수밖에 없었다. 나도 저런 단아한 창으로 꾸며진 집에서 살고 싶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행인을 물끄러미 바라보는 멍멍이, 제법 높은 곳에 올라가 북촌을 내려다보고 있다.
▲ 견공 행인을 물끄러미 바라보는 멍멍이, 제법 높은 곳에 올라가 북촌을 내려다보고 있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오랜세월의 흔적은 이렇게 생명을 품는다. 기와지붕에서 자라난 초록생명과 그것을 받아들이는 지붕은 마치 옛것과 새것의 조화를 보는듯하다.
▲ 기와지붕 오랜세월의 흔적은 이렇게 생명을 품는다. 기와지붕에서 자라난 초록생명과 그것을 받아들이는 지붕은 마치 옛것과 새것의 조화를 보는듯하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참으로 따스한 불빛이 새어나온다. 겨울이었다면 훨씬 더 운치가 있었을 것 같다.
▲ 카페의 창 참으로 따스한 불빛이 새어나온다. 겨울이었다면 훨씬 더 운치가 있었을 것 같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어느 창이든, 꽃과 화분 작은 장식푸만 올려놓으면 작품이 되는 곳이 북촌인가 싶다.
▲ 장신구 가계의 창 어느 창이든, 꽃과 화분 작은 장식푸만 올려놓으면 작품이 되는 곳이 북촌인가 싶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간혹 지나치기만 했던 거리를 걷는다. 난생 처음 걷는 길이면서도 어색하지 않은 것은 종종 차창으로나마 스쳐지나가며 보았기 때문일 터이다.

북촌, 옛것과 새것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곳. 서울하늘에서 옛것의 흔적을 간직하고 있다는 것 자체가 기적일지도 모른다.

도시개발이라는 괴물은 우리의 옛것을 그토록 잡아먹고도 아직도 배가 고픈지 두리번거리며 먹잇감을 찾는다.

그곳에서는 지붕 하나, 창틀 하나, 꽃 하나, 심지어는 견공까지도 프레임 속에 들어 오면 하나의 작품이 되었다.

사진은 본 만큼 담는 것이 아니라 걷는만큼 담는 것, 발바닥으로 담는 것이다.


태그:#북촌, #한옥마을, #기와, #창, #사진노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자연을 소재로 사진담고 글쓰는 일을 좋아한다. 최근작 <들꽃, 나도 너처럼 피어나고 싶다>가 있으며, 사는 이야기에 관심이 많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