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회영(李會榮, 1867~1932)은 정승 열 명을 배출한 삼한갑족(三韓甲族)에서 태어났다. 이회영 일가는 1910년 겨울에 60명의 대가족을 12대의 마차에 나누어 태우고 서울을 떠나 만주로 망명한다.
이는 일제에 나라를 뺏긴 통한의 설움을 반드시 되갚고자 하는 각오의 적극적 실천이었다. 그리고 전 재산을 처분한 돈으로 만주에 신흥무관학교를 세워 독립운동에 앞장선다. 현 시가로 무려 1조 원이 넘는 재산을 처분하고 중국으로 떠난 사람.
그마저 시간에 쫓겨 얼추 헐값으로 처리하였으니 실제의 가격으로 치자면 아마도 수조 원이 넘은 재산이었을 터다. 그렇게 급히 재산을 정리하고 중국으로 건너 간 이회영은 조선시대 대단한 명문가의 자손이었다.
고로 남들처럼, 아니 당시의 세도가들처럼 일제의 앞잡이가 되든가 아님 최소한 암묵적 동조자만 되었더라도 그는 분명 남부럽지 않은 풍족한 삶을 계속하여 살았을 것이었다. 그렇지만 그는 조선 말, 나라가 어지러워지고 일본의 침략 계획이 시작되자 자신의 편함보다는 나라를 위해 싸우겠다고 결심한다.
이회영은 그렇게 중국으로 건너 가 독립운동에 평생을 바쳤다. 그의 강골한 선비 기질은 진즉부터 드러났다. 판서 유승의 아들인 그는 1906년 을사조약의 강제체결소식을 듣고 귀국한 안창호를 중심으로 이갑, 전덕기, 이동녕, 신채호 등과 같이 비밀결사 신민회를 조직하고 중앙위원으로 활약한다.
그렇게 정치와 경제, 교육과 문화 등 각 방면에 걸쳐 활약하는 한편으로 만주에 광복운동의 근거지를 마련할 것을 협의하여 간도 용정촌에 서전서숙을 설립하고 이상설을 책임자로 교포 교육에도 주력하게 한다.
또한 1907년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릴 만국평화회의에 특사를 파견하게끔 노력하는가 하면 1912년엔 독립군 지도자 양성을 목적으로 신흥강습소(후일의 신흥무관학교)까지를 설립하였다. <이회영, 내 것을 버려 모두를 구하다> (김은식 저 / 봄나무 간)은 청소년 도서이다.
그렇지만 책에 어찌 청소년과 어른이 따로 읽어야 한다는 구분과 셈법이 통용되던가? 자고로 좋은 책이란 건 그 장르가 비록 유치원생용이라 할지라도 일부러라도 어른도 찾아서 읽는 것이 바로 독서의 본령이자 정형인 것을.
이회영이 위대했던 것은 그뿐만 아리라 그의 가족과 형제, 그리고 자식들까지도 일심동체로써 함께 독립운동을 위해 매진하였다는 사실이다. 우리는 잊을 만하면 그렇게 실로 보기 싫은 부끄러운 뉴스와 조우하게 된다.
그건 바로 소위 먹고살만한 위치와 자리에 있는 이가 하지만 뇌물수수 따위 내지는 자녀와 자신의 부 축적과 증식을 위한 방편의 위장전입 따위라는 것이다. 주지하듯 지금도 이따금 국민적 '공분'으로 다가오는 어떤 화두가 있다.
그건 친일파의 자손들이 청구하는 재산 청구 소송에 있어 우리의 상식과는 사뭇 반하는 판결이 내려진다는 사실이다. 이에 대하여 모 작가는 "이는 판사 중 일부가 친일파들의 사위이거나 며느리이기 때문이다."라고 비판하고 있다.
이런 현상에서도 보듯 과거 친일(파)에 기대어 호의호식한 자들과 그 후손들은 지금도 요직에서 호의호식하며 방귀까지 요란스레 뀌어대고 있다. 본관이 경주이고 호가 우당인 이회영은 서울 출생으로 초대 부통령 이시영의 중형(仲兄)이다.
드라마(<자유인 이회영>)로도 방영된 바 있는 그의 파란만장한 일대기는 하지만 기득권층들의 의도적 무관심에 의해 국민들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았다는 한계와 아쉬움이 부유하는 게 사실이다.
그런데 이는 아마도 권력엔 조금의 욕심조차도 없이 오로지 '조국 광복'이란 목표 하나만을 놓고 치열하게 투쟁했던 우당의 아나키스트 사상에 권력자들이 일부러 폄훼의 잣대를 들이댔던 건 아닐까... 라는 게 개인적 아쉬움이다.
기왕지사 지닌 재물도 태산처럼 많거늘 그러나 이를 풍선의 팽창 이상으로 더 불리려는 소인배들이 득시글한 세상이다. 아울러 재산은 물론이요 권력마저 세습코자 광분하는 이들은 또 얼마나 부지기수인가!
그러나 이회영은 그러지 않았다. 그는 말년에 혹독하게 굶주리면서까지 여전히 일제에 극한 투쟁을 하였어도 자신이 스스로 선택한 삶을 조금도 후회하지 않은 진정한 애국자였다. 또한 지도층의 의식과 자세가 어떠해야 하는지까지를 온몸으로 보여준 '살아있는 교과서'이자 지나간 미래상의 우뚝한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꼿꼿한 본령이었다.
1931년 만주침략이 발발하자 중국에 있던 동지들이 상해로 집결하여 조직한 항일구국연맹의 의장에 추대된 이회영은 이듬해인 1932년 주만 일본군사령관 암살을 목적으로 상해에서 대련으로 향하던 도중, 대련의 일본 경찰에 잡혀 악독한 고문 끝에 옥사하였다.
그러므로 그는 진정, 그리고 그야말로 명실상부한 불세출의 애국자와 의인이라는 데 한 점의 의혹조차 없는 인물이라 하겠다. 그에게 정부는 1962년 건국훈장 국민장을 추서하였다.
하지만 '백범 김구'처럼 그를 잘 아는 국민이 기실 그리 많지 않은 건 왜일까? 만시지탄이긴 하겠으되 이제라도 우당 이회영의 일대기를 더욱 적극적으로 국민에게 알리는 작업에 게으름이 없었음 하는 바람 간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