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경주의 많은 신라왕릉들만 보다가 저 멀리 경기도 연천군에 있는 신라 56대 마지막왕인 경순왕릉을 지난 16일 찾았다. 45세가 되던 927년 경애왕이 포석정에서 놀다 견훤의 습격을 받아 시해된 후 후백제의 견훤에 의해 왕위에 올랐다. 그후 고려에 귀부 후 97세까지 살았다고 한다.

무덤은 둥글게 흙을 쌓아올린 원형 봉토무덤으로 둘레돌을 돌렸다. 고려시대 왕실에서 왕의 예로서 무덤을 만들었다고 하며 무덤 앞에 석양도 고려시대 작품이라 하나 조선시대 이후 작품으로도 보였다.

경순왕릉 전경 경순왕릉 전경
경순왕릉 전경경순왕릉 전경 ⓒ 김환대

신라 왕릉 중 유일하게 경북 경주 지역을 벗어나 경기도에 있는 왕릉으로 전체적인 모습은 조선왕릉을 연상케 하듯이 아래에서 위를 올려다 보게 되어 있고 장명등 등 무덤 앞에 석물들이 있으며 비각 앞에 비석이 있으며 왕릉 앞에 신라경순왕지릉이란 비석에는 총탄자국이 선명하게 남아 있다. 독립운동가이인 김구 선생이 1946년 이곳에 들러 참배하기도 하였다고 한다. 올라가는 길은 입구에서 도보로 140미터이며 중간 중간 철책에 지뢰라는 글자가 보이며 문화관광해설사가 상주해 해설을 해주고 있다.

경순왕릉 경순왕릉
경순왕릉경순왕릉 ⓒ 김환대

경순왕릉 경순왕릉
경순왕릉경순왕릉 ⓒ 김환대

왕릉의 경주가 아닌 이곳에 있는 이유는 왕의 시신을 경주로 모시려 하자 고려 조정에서 도성 밖으로 나갈 수 없다고 하여 고랑포 나루를 넘지 못하고 결국 이곳 장단부 고랑포리 성거산에 장례를 예로 하였다. 예전에는 이곳도 일반인이 쉽게 접하기 어려운 곳이었으나 이제는 다 관람이 가능하게 된 역사적 장소이다.

조선시대의 사찰 묻혀있던 역사 속의 회암사지

경기도 양주 회암사지는 왕실의 후원을 받아 이루어진 조선 전기 최대의 사찰터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어러차례 발굴조사로 그 규모가 드러났으며 평지가 아닌 산간에 8단의 석축을 이루면서 회랑을 두고 있는 이 절터는 그 규모가 거대한 궁궐과 같아 보인다. 회암사지로 올라가는 길에는 당간지주가 2기 보인다. 한쪽은 짝을 잃어 버린 기둥 하나만 남아 있다.

회암사지 전경 회암사지 전경
회암사지 전경회암사지 전경 ⓒ 김환대

회암사지 당간지주 회암사지 당간지주
회암사지 당간지주회암사지 당간지주 ⓒ 김환대

회암사는 원래 고려 충숙왕 때 원나라를 통해 들어온 지공스님이 창건하여 조선 순조 때인 1800년대에 폐사된 사찰이다. 조선 전기 왕실의 보호를 받던 절로서 태조 이성계가 늙은 후에 머무르면서 수도하던 곳으로도 유명하다. 태조 이성계를 자신의 스승인 무학대사를 이곳에 머물게 하였고, 성종 때는 세조의 왕비인 정희왕후의 명에 따라 절을 크게 확장하였다. 그후 명종 때는 문정왕후의 도움으로 절이 대대적인 확충으로 전국 최대의 절이 되었으나 이후 억불숭유 정책으로 인해서인지 모든 절의 건물이 불에 타 버렸다. 넓은 규모만큼이나 석축과 많은 문화재들을 만나볼 수 있다.

회암사지 출토유물 회암사지 출토유물
회암사지 출토유물회암사지 출토유물 ⓒ 김환대

전망대에서 절터를 전체적으로 바라볼 수 있으며 문화관광해설사의 설명도 들을 수 있다. 회암사지 끝 자락에 저 멀리 회암사지 부도가 있으나 현재는 출입이 금지되어 들어가 볼 수 없다.

회암사에는 보물로 지정된 회암사지 쌍사자 석등, 선각왕사비 등이 있다. 회암사로 가서 여러유적들을 만날 수 있는데 현재 도로 포장 등으로 인해 차량이 출입금지로 그 가는 길이 다소 가파르고 약간은 좋지 못하다. 길 확충과 일부 시멘트 포장이 다 마르지 않아 절까지 가는데는 조금은 어려움이 있다. 조금 기간이 지난 이후 방문하는 분들은 불편하지 않을 듯하다.

지공화상 부도와 부도비 전경 지공화상 부도와 부도비 전경
지공화상 부도와 부도비 전경지공화상 부도와 부도비 전경 ⓒ 김환대

나옹선사 부도와 석등 나옹선사 부도와 석등
나옹선사 부도와 석등나옹선사 부도와 석등 ⓒ 김환대

회암사에서는 지공화상 부도와 부도비가 있으며 그 위로 나옹선사 부도와 석등이 있고 무학대사 승탑과 쌍사자 석등 부도비가 있다.

무학대사 부도와 쌍사자 석등 무학대사 부도와 쌍사자 석등
무학대사 부도와 쌍사자 석등무학대사 부도와 쌍사자 석등 ⓒ 김환대

무학대사 부도 세부모습 무학대사 부도 세부모습
무학대사 부도 세부모습무학대사 부도 세부모습 ⓒ 김환대

무학대사탑은 회암사 북쪽 능선 위에 지공, 나옹의 승탑과 함께 서 있다. 둘레에는 탑을 보호하기 위한 난간이 둘러져 있다. 탑신은 몸돌이 둥근 모양으로 표면에 용과 구름이 가득 새겨져 시선이 모아진다. 보물 제389호인 무학대사탑 앞 쌍사자 석등은 가슴과 배가 서로 붙어  있으며 복슬복슬하게 표현한 털은 마치 강아지의 털과 같고 엉덩이가 튼실하며 그 꼬리 모양도 앙증맞다.

쌍사자석등 사자 뒷 모습 쌍사자석등 사자 뒷 모습
쌍사자석등 사자 뒷 모습쌍사자석등 사자 뒷 모습 ⓒ 김환대

서서히 묻혀있던 조선의 역사가 여러 유물과 유적을 통해서 그 빛을 발하고 있으며 이런 유적들을 통해서 다시 한 번 역사 속에 인물들에 대해서도 공부하게 된 좋은 답사가 되었다.


#회암사지#무학대사 부도와 쌍사자 석등#철원 도피안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전국의 문화유적을 찾아 답사를 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구석진 곳에 우리문화를 찾아서 알리고 문화관련 행사를 좀 더 대중에게 보급하고자 하며 앞으로 우리문화재의 소중함을 일깨워 나아가려고 합니다. 괌심분야는 역사유적, 석조조형물과 민속,고건축물 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