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대우자판(주)이 인천시 고위직 공무원에게 재래시장 상품권을 제공한 의혹을 사고 있지만, 정확한 해명을 하지 못하고 있다. 더구나 상품권 배부 시점이 대우자판의 사활 사업인 송도 도시 개발 사업의 실시계획 인가 고시 직전이라 의혹이 증폭된다.

 

대우자판 직원이 지난해 1월 26일 작성한 것으로 보이는 '도네이션(donation: 기부)' 명단을 보면, 대우자판은 상품권을 전달할 인사를 추려냈다. '도네이션' 명단에 오른 인사는 시 고위직, 기초지자체 부구청장 등 30명 이상이다. 이들에게 나누어준 상품권의 액수는 3450만원에 추정된다.

 

이와 관련, 25일 대우자판 관계자는 기자와 한 인터뷰에서 "지난해 설 명절을 앞두고 지역 경제 활성화 차원에서 인천 재래시장 상품권 3000만 원어치를 구입했다"고 밝혔다. 이어 "구입한 상품권을 직원에게만 제공했고, 상품권 영수증을 실적 때문에 공무원에게 주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상품권 구입을 위한 품의서를 작성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하지만 이날 확인한 결과, 대우자판은 지난해 설 명절을 앞두고 상품권을 총 3750만원을 구입했다. 작년 대우자판은 2월 1일 농협 계산지점에서 750만원어치의 상품권을 구입했으며, 다음날 인천시청지점에서 3000만원어치를 구입했다.

 

당시 대우자판은 기업개선작업(=워크아웃)에 돌입하기 직전이라, 설 명절에 직원에게 매번 지급하던 선물도 지급하지 못했다. 때문에 상품권을 직원들에게 지급했다는 관계자의 주장에 의문이 제기된다.

 

특히 대우자판 관계자와 일부 공무원들은 재래시장 상품권 판매 실적을 올리기 위해 상품권 영수증을 주고받았다고 주장하지만, 인천시에 확인한 결과 당시 시는 과별 재래시장 상품권 판매 실적을 파악하지 않았던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이번에 확인된 명단에 오른 일부 공무원들은 "상품권 영수증을 받지 않았다"고 밝혀, 이 또한 의문이다.

 

이와 관련, 인천시 감사관실 관계자는 "새마을 금고에서 재래시장 상품권을 취급할 때는 과별로 재래시장 상품권(=판매)실적을 취합하기 위해 영수증을 받았지만, 상품권을 농협에서 취급한 후에는 과별로 영수증 등을 취합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농협에서 상품권을 취급한 시점은 2009년 9월 이후로, 시는 이때부터 과별로 영수증 취합을 하지 않았다.

 


상품권 전달 시점, 송도도시개발 실시계획 인가 '직전'

 

지난해 1월 대우자판은 기업개선작업(=워크아웃)에 들어가기 직전이었다. 대우자판은 같은해 4월 워크아웃에 들어갔다. 이런 대우자판에 송도 도시개발은 사활을 걸 수밖에 없는 사업이었다. 도시개발 사업은 인천시 연수구 동춘동 일대 53만8600㎡(16만평)에 쇼핑몰과 문화시설, 학교 등을 포함해 3800여가구의 주거복합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대우자판은 2008년 12월 구역 지정을 받았고, 시에 실시계획 인가를 득하는 행정 절차만을 남겨 놓고 있었다.

 

상품권을 배부한 시점은 지난해 2월로 송도 도시개발 실시계획 인가 고시 직전이었다. 시는 2010년 2월 16일 송도 도시개발 사업과 관련 '구역 지정 및 실시계획 인가'를 고시했다. 도시개발에 있어 구역지정과 실시계획 인가는 가장 중요한 행정 절차다.

 

당시 대우자판은 송도 도시개발 사업을 조기에 착공해 워크아웃에 들어가는 것을 막겠다는 의도가 컸던 시점이다.

 

이와 관련 대우자판 관계자는 "내가 봐도 그런 오해를 살 수 있다고 본다, 하지만 절대 그런 사실이 없다"면서 "당시 인천건설협회에서 재래시장 상품권을 사 달라는 공문을 받고 상품권을 구매했다"고 해명했다.

 

대우자판 노조·시민단체 "검·경 시급히 수사 진행해야"

 

대우자판 상품권 배부 의혹 문건을 공개한 대우자판지회 김진필 지회장은 상품권 배부 의혹에 대한 수사 당국의 신속한 수사를 촉구했다.

 

김 지회장은 "계획을 수립해서 (=상품권)나누어 준 것으로 보인다, 대우자판은 송도 도시개발을 위해 수년 동안 공을 들여왔고, 이를 위해 인천시 관련 부서 공무원 등을 일상적으로 관리해온 것으로 알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상품권을 누구에게 어떻게 나누어 줄 지를 치밀하게 계획한 것으로 보이는 만큼, 검경의 신속한 수사가 필요하다"고 요구했다.

 

평화와참여로가는인천연대도 25일 성명을 통해 대우자판의 상품권 배부 의혹에 대해 철저한 수사를 촉구했다.

 

인천연대는 "뇌물 제공 의혹에 연루된 공무원이 대부분 4급 이상 고위급 공무원일 뿐 아니라 27명에 달해 충격적이고, 드러난 뇌물 제공 의혹이 빙산의 일각이라 생각한다"면서 "대우자판이 송도부지 개발에 사운을 걸었던 만큼 뇌물 공여 의혹의 신빙성은 대단히 높다"고 주장했다. 이어, "뇌물수수 의혹을 받는 공무원의 명단이 드러난 만큼 사법당국이 신속하고 철저하게 수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대우자판 상품권 배부 의혹에 대해 경찰은 대우자판 경영진을 고발한 김 지회장이 경찰에 출석해야만 수사가 진행된다고 밝히고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 김 지회장은 업무 방해 혐의 등으로 현재 체포영장이 발부된 상태다. 김 지회장은 25일 현재 정리해고 철회를 주장하며, 대우자판 본사를 275일째 점거 농성 중이다.

 

고발인으로 상품권 배부 의혹에 대해 경찰에서 진술을 하려면, 경찰에 체포돼야 하는 처지다. 김 지회장은 "의혹을 풀자니, 경찰에 체포되어야 하는 상황이다, 법원에 의해 기업회생절차가 확정되는 시점이라 대응 방향을 결정해야 한다"면서도, "필요하다면 경찰에 체포되어서라도 진술을 하겠다"고 밝혔다.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부평신문(http://bpnews.kr)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대우자판, #파라마운트, #상품권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