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코레일 자유여행패스 홍보 이미지
 코레일 자유여행패스 홍보 이미지
ⓒ 코레일

관련사진보기


자동차로 여행을 떠나기도 하지만 치솟는 기름 값과 교통 혼잡을 생각하면 한숨부터 나오는 것이 요즘이다. 하지만 넓지 않은 국토와 곳곳에 뻗어있는 대중교통망을 이용하면 나름대로 효율적으로 전국으로 여행할 수 있으며, 이때 필요한 것이 바로 철도패스다.

선진국인 유럽과 일본에서는 유레일패스나 JR 패스라고 해서, 열차를 자유롭게 탈 수 있는 패스를 외국인들에게 판매하고 있으며, 현지에서 차량을 이용하기 어려운 외국인들은 저렴한 가격으로 자유롭게 철도를 이용하여 여행을 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이와 유사한 형태의 KR패스라는 외국인 전용 철도패스가 있다.

한편 이러한 패스가 인기를 끌면서 내국인용 패스 발매 요구가 빗발치자, 일본에서는 1982년에 '청춘18티켓'이라는 것이 나왔고, 우리나라에서는 2007년에 '내일로' 티켓이라는 것이 나왔다. 두 패스 모두 정해진 기간 만큼 낮은 등급열차의 입석(자유석)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 공통점이지만, 차이점들도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결정적인 차이점이라면, '내일로' 티켓에는 만 25세 이하라는 연령제한이 있다는 것이다. 결국 그동안 우리나라의 만 26세 이상 내국인 성인들은 철도패스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었던 것이다.

그러던 중에 지난 11월 1일 코레일에서는 자유여행패스라고 불리는 일반인용 철도패스를 판매하기 시작하였으며, 드디어 일반인들도 패스를 이용한 자유로운 철도 여행이 가능하게 되었다. 하나로 패스와 다소니 패스라고 불리는 일반인용 철도패스는 각각 1, 2인용이며, 3일간 새마을호 이하 모든 열차의 입석(자유석)을 자유롭게 탑승할 수 있다.

주의할 점은 열차를 입석으로만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즉 팔리지 않은 좌석에 앉아가는 식이며, 좌석 주인이 나타나면 자리를 비켜주어야 한다. 그러므로 승객이 많은 노선이나(예: 경부선) 승객이 많은 시기(예: 주말)에는 서서 가야 할 수도 있다. 따라서 가급적이면 승객이 적은 주중에 이용하는 것이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아울러 주중 새마을호에서는 자유석 전용칸인 5호차를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내일로 패스와 자유여행패스는 고객층이 다른 만큼 특성도 다르다. 기능은 동일하지만 대체적으로 내일로가 더 많은 혜택을 볼 수 있다. 이를 표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내일로 티켓과 자유여행패스의 비교
 내일로 티켓과 자유여행패스의 비교
ⓒ 한우진

관련사진보기


자유여행패스의 가격은 내일로와 비슷하지만 이용기간은 3일에 불과하기 때문에, 이용기간 측면에서는 내일로가 절대적으로 유리하다. 반면 내일로는 방학기간에만 이용할 수 있는 반면 자유여행패스는 일 년 내내 이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내일로 이용자와 자유여행패스 이용자 모두 팔리지 않은 좌석을 가지고 경쟁해야 하는 입장인 만큼 자유여행패스 이용자들은 내일로 이용자가 없는 봄이나 가을에 이용하면 더 편리하게 여행할 수 있을 것이다.

자유여행패스는 이용 열차나 이용 거리에 관계없이 가격이 똑같은 만큼, 무궁화호보다는 새마을호를 주로 타고, 열차를 길게 이용을 할수록 유리하다. 예를 들어 현재 주중 기준으로 서울-부산 간 새마을호의 자유석 편도 운임은 3만7300원이다. 결국 서울-부산 간을 자유석 승차권을 구입하여 왕복하는 것보다 차라리 자유여행패스(5만6000원)를 사서 서울-부산 왕복에 한 번만 써도 이익이라는 결론이 나온다. 여행계획을 잘 세워 자유여행패스를 이용하여 더 많은 열차를 탄다면 패스의 혜택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듯 자유여행패스는 그동안 철도패스의 사각지대 있었던 성인들에게 새로운 철도여행기회를 제공해주며, 주중에 비어가는 열차의 좌석을 채우는 효과도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비록 자유여행패스의 가격이 저렴하지만, 어차피 비어갈 좌석이라면 자유여행패스를 팔고 좌석을 채워가는 것이 코레일로서는 이익이다.

앞으로 자유여행패스가 철도를 이용한 여행문화 확산이라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여, 도로에서 자가용을 줄이고 에너지절약과 온실가스배출 저감을 실현하며, 각 지방의 여행객 증가로 지방발전과 국가균형발전에도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코레일 자유여행패스에 대한 추가 정보는 아래 사이트에서 얻을 수 있다.
http://www.korail.com/hc/hc12000/w_hc12010.jsp

덧붙이는 글 | 한우진은 미래철도DB 운영자, 교통평론가, 코레일 명예기자입니다.



태그:#자유여행패스, #내일로, #코레일, #철도, #기차여행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글쓰기에 관심많은 시민기자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