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4월 4일자 <조선일보> "노 정부 사찰기록 장진수가 폐기"
 4월 4일자 <조선일보> "노 정부 사찰기록 장진수가 폐기"
ⓒ 조선닷컴

관련사진보기

4일 <조선일보>와 <문화일보>는 일제히 "장진수 전 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 주무관이 노무현 정부의 사찰 기록을 대거 폐기했다"는 내용의 보도를 내놨다. '청와대 관계자'와 '총리실 관계자'의 말을 인용한 보도였다.

장진수 전 주무관은 이같은 <조선>·<문화> 보도에 대해 "황당하다"며 "사실이 아니다"고 반박했다. 장 전 주무관은 이날 <오마이뉴스>와 전화 통화에서 "컴퓨터 하드 디스크와 캐비닛에 있던 100박스 분량의 문서는 모두 당시 총리실의 최아무개 기록물연구사에게 인계해 국가기록원에 보내라고 의뢰했다"고 밝혔다.

이날 <조선>과 <문화> 보도에 등장하는 청와대 관계자는 "2008년 2월 총리실 조사심의관실의 폐지가 결정된 후 장 전 주무관이 직원들과 함께 사무실이 있던 정부중앙청사 별관 지하의 대형 문서 파쇄기를 이용해 관련 보고서를 파쇄하는 작업을 벌였고 컴퓨터에 저장돼 있던 문서를 없애기 위해 하드 디스크를 파기했다"고 언급했다.

이명박 정부의 민간인 불법사찰 은폐 사실을 폭로한 장 전 주무관이 노무현 정부 시절 일했던 총리실 조사심의관실의 사찰 보고서 폐기 임무를 맡았다는 것이다. 두 신문은 미처 파쇄하지 못한 문건 1000여 건을 국가기록원에 넘긴 것이라는 주장도 곁들였다. <문화>는 총리실 고위 인사의 말을 인용해 "노무현 정부의 사찰 보고서 폐기 직전 총리실 외부의 정권 실세의 지시가 있었다"고 한발 더 나갔다.

<조선>·<문화>와 새누리당의 협공... 장진수 "사실 아냐"

이상일 새누리당 선대위 대변인은 두 신문의 보도를 토대로 "왜 사찰 문건을 서둘러 폐기했어야 했는지, 분량은 어느 정도이고 어떤 내용이 담겨 있었는지, 또 윗선의 어떤 사람이 없애라고 지시했는지 스스로 밝혀야 한다"고 압박했다. 

이에 대해 장 전 주무관은 "조사심의관실 직원들이 남기고 간 개인 업무용 책상 속에 들어있던 문서들, 개인 메모들은 국가기록원으로 이송할 필요가 없다고 봐서 파쇄했다"며 "조사심의관실이 작성한 문건 대부분을 파쇄하고 미처 파쇄하지 못한 것들을 국가기록원에 넘겼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또 "(<조선>·<문화>가 언급한) 정부청사 별관 지하에 있던 문서 파쇄기는 당시 고장이 나있는 상태였다"고 덧붙였다.

장 전 주무관은 '정권 실세의 지시가 있었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그런 지시가 있었는지 없었는지 나는 모른다. 나는 그런 지시를 받은 적이 없다"며 "문건을 파기한 적도 없다"고 거듭 강조했다.

다음은 장 전 주무관과 나눈 일문일답이다.

"하드디스크와 문건 100박스, 기록물연구사에 인계"

장진수 전 지원관실 주무관
 장진수 전 지원관실 주무관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 <조선일보>가 이날 장 전 주무관이 노무현 정부의 사찰 기록을 폐기했다고 보도했는데.
"황당하다. 사실이 아니다. 당시 총리실 조사심의관실이 폐지가 결정되고 나서 국정원 직원이 한 명 찾아왔다. 컴퓨터 하드 디스크를 파기해야 한다면서 시디(CD) 한장을 주더라. 일종의 이레이징(삭제) (프로그램)이었다. 그런데 그걸로 하드를 삭제하는 데는 시간이 많이 걸렸다. 솔직히 하기 싫었다. 부서가 폐지됐으니 몸만 빠져나가면 되는데. 그래서 당시 기록물을 담당했던 총무과 최아무개 기록연구사에게 모든 컴퓨터 하드를 넘겼다. 그 이후 일은 내가 알지 못한다."

- 국정원 직원은 어떤 이유에서 파기를 지시했나.
"부서가 없어지면 이전 자료를 폐기하는 게 규정이라고 했다. 그런 규정이 있는지는 몰랐지만 국정원 직원이 그렇게 안내를 하더라. 당시 그 규정이 상위법인 국가기록물법에 위배되는지 여부는 따져보지 못했다."

- 청와대 관계자는 장 전 주무관이 컴퓨터 자체를 해머 등으로 부숴버린 것으로 안다고 주장했는데.
"컴퓨터 하드를 폐기하려 했다 하더라도 왜 해머를 쓰나. 상식적으로 말이 안 된다. 그 청와대 관계자가 누군지 실명을 밝히고 이야기했으면 좋겠다."

- <조선> 보도에 따르면 문서 자료는 정부중앙청사 별관(현 외교부청사) 지하에 있는 대형문서 파쇄기를 이용해 파쇄했다고 한다.
"역시 사실이 아니다. 당시 사무실 캐비닛에 있던 문서를 다 들어내서 박스에 담으니 100박스 정도 됐다. 박스 크기는 검찰이 압수수색할 때 쓰는 박스 정도였다. 캐비닛 하나당 3박스 정도 나왔다. 이 역시 최아무개 기록물 연구사에게 국가기록원에 보내라고 의뢰했다."

- 파쇄한 문건은 전혀 없나?
"조사심의관실 직원이 40여 명 정도 됐다. 직원들이 남기고 간 개인 업무용 책상 속에 들어있던 문서들, 개인 메모들, 이런 문서들은 파쇄했다. 이런 자료들까지 국가기록원으로 이송할 필요는 없다고 봤다. 남은 직원 4명이 사무실에 있던 소형 파쇄기를 이용했다. 원래 지하에 있던 대형 파쇄기를 이용하려고 했는데 고장나 있어서 어쩔 수 없이 사무실 파쇄기를 이용했다. 마치 조사심의관실이 작성한 문건 대부분을 파쇄하고 미처 파쇄하지 못한 것들을 국가기록원에 넘겼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

- 총리실 고위인사가 '사찰 보고서를 폐기하라는 정권 실세의 지시가 있었다'고 밝혔다는 보도가 나왔는데.
"그런 지시가 있었는지 없었는지 나는 모른다. 나는 그런 지시를 받은 적이 없고 문건을 파기하지도 않았다."


태그:#장진수, #불법사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