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기사 보강: 18일 오후 3시 58분]

지난 15일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새누리당 전당대회에서 정몽준 전 대표와 김문수 경기도지사, 이재오 의원이 만나 얘기를 나누고 있다.
 지난 15일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새누리당 전당대회에서 정몽준 전 대표와 김문수 경기도지사, 이재오 의원이 만나 얘기를 나누고 있다.
ⓒ 사진공동취재단

관련사진보기


대선후보 선출을 위한 완전국민경선제 도입문제를 둘러싼 새누리당의 갈등이 격화되고 있다.

대선출마를 선언한 이재오 의원은 18일 "'완전국민경선제' 도입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는 다면 중대 사태가 일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이날 오전 SBS 라디오 <서두원의 시사초점> 인터뷰에서 "완전국민경선제가 도입이 되지 않고, 현행 룰로 경선이 진행이 된다면 그래도 경선에 참여하겠느냐"는 질문에 "그것은 그때 가봐야 알 것 같다"며 이같이 밝혔다. 경선에 불참할 수도 있다는 뜻으로도 해석할 수 있는 대목이다.

이 의원은 "현행 방식으로 경선이 강행이 돼서, 박근혜 위원장이 새누리당의 대선후보로 뽑혔을 경우에도 적극적으로, 긍정적으로 지원하겠느냐"는 질문에는 "당 경선에 참여하는 사람이 뽑히면 그가 누구든 적극적으로 도와서 정권을 창출하는 게 그게 도리"라며 "그러나 경선의 방법을 일방적으로, 모든 주자들의 의견을 무시하고, 어느 한 쪽이 유리하게 해 나간다면, 그것은 그 때가봐서 생각해도 늦지 않다"고 답했다. 지원하지 않을 여지를 남겨놓은 것이다.

그는 또 완전국민경선제가 도입될 수 있을지 전망에 대해서는 "당의 지도부 구성이나, 당 내 원내 위원장들의 구성이 거의 당권파 일색으로 돼 있기 때문에 (도입하지 않고) 그렇게 갈 수도 있다"며 "(그러나) 본선에서 이기기 위해서는 표의 확장성이 시급하기 때문에, 설사 당권파가 현재 그렇게 하고 싶다고 하더라도, 국민들의 대의를 물어보는 것이 옳다고 본다. 각종 여론조사에서는 완전국민경선제로 하는 것이 옳다고 하는 여론이 높지 않느냐"고 말했다.

이 의원은 이와 함께 "예비후보로 등록하면 당의 각종 회의에 후보들이 상임고문 자격으로 참여해 의견을 내놓게 돼 있다"고 덧붙였다. 당 회의에서 공식적으로 이 문제를 제기하겠다는 뜻이다.

이 의원의 '중대사태' 발언에 대해 한 측근은 "어떤 선택지를 미리 그려놓고 접근하는 상황은 아니"라면서 "친박(박근혜계) 쪽과 황우여 신임 대표 등이 완전국민경선제 도입 요구를 무시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는 데 대한 경고성 발언"이라고 말했다.

황우여 신임 당 대표는 대표 경선과정에서 이 문제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밝힌 바 있으며, 당선 이후에는 "당에서 심도있게 검토하겠다. 경선을 하려면 시간이 없으므로 가능한 빨리 결론을 내겠다"고 말했다. '비박' 대선주자들은 '시간이 없다'는 대목 등을 근거로 황 대표가 계속 부정적 태도를 취하고 있다고 해석하고 있다.

역시 대선주자로 나선 김문수 경기지사도 이 문제와 관련해 '심각한 인식'을 나타냈다. 김 지사는 18일자 <동아일보> 인터뷰에서 "완전국민경선이 수용되지 않아도 경선에서 완주하나"라는 질문에 "일단 완주한다고 생각하지만 아닐 수도 있지 않겠나. 그건 (상황을) 봐야 한다"고 답했다. 다소 표현 강도의 차이는 있지만 이재오 의원과 같은 맥락이다.

김 지사의 한 측근은 "대선경선 관리가 1차 과제인 새 지도부가 보이고 있는 태도에 대해 김 지사가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다"고 전했다.

정몽준 의원은 이 문제와 관련해 황우여 대표와 만날 계획이다. 정 의원은 이날 전주에서 한 기자간담회에서 "새누리당은 '완전'자 빼고 현행제도도 국민참여 경선이라고 주장하는데, 우리 스스로 국민들의 참여와 지지를 거부하는 아주 잘못된 방법이라 생각한다"며 "황우여 대표께서 전제 없이 검토하겠다고 하셨고, 저도 내일 중 황우여 대표를 만나 볼 생각"이라고 말했다.


태그:#완전국민경선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