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영화정은 원래 교귀정이었던 것을 1796년 병진년 행차시에 영화정이란 편액을 달도록 했다는 것이다.
▲ 영화정 영화정은 원래 교귀정이었던 것을 1796년 병진년 행차시에 영화정이란 편액을 달도록 했다는 것이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어제 하루 비가 왔다고는 하지만 13일은 아직 여름이다. 한 낮 수은주가 31도를 넘었다. 이런 날 점심을 먹고 나면 괜히 나른해진다. 그런 나른한 마음을 바로잡는 데는 땀을 한 번 흘리는 것이 제일이란 생각이다. 멀지 않은 곳에 있는 만석공원으로 달려갔다. 땀 한번 쏟아보자고.

만석거는 일왕저수지, 교구정 방죽, 북지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린다. 가뭄으로 인해 고통을 받는 사람들을 위해, 정조 19년인 1795년 이 만석거를 축조하였다. 이 만석거로 인해 황폐했던 땅에서 쌀 만석을 더 생산하였다고 하여, 그 명칭을 '만석거'라고 하였다고도 한다. 이 만석거 일대는 현재 '만석공원'으로 조성하여 수원시 장안구 송죽동에 위치한다.

만석거를 바라보는 정자 영화정

수원시 장안구 송죽동 만석거 경내에 자리한 영화정. 현재의 영화정은 1996년에 복원한 것이다
▲ 영화정 수원시 장안구 송죽동 만석거 경내에 자리한 영화정. 현재의 영화정은 1996년에 복원한 것이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저수지 조성 후 쌀 만석을 더 생산했다고 해서 '만석거'라는 명칭을 붙인 이 저수지를 일제는 '일왕저수지'로 개명했다. 1920년대에 전국의 행정구역을 통폐합한다는 이유로, 우리고유의 지명을 말살시키려는 음모였다. 그렇게 생겨난 명칭이 바로 일왕저수지다. 그러나 이곳을 아직도 그 명칭을 사용하고 있어, 일제의 잔재가 아니냐는 논란을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이 만석거 한편에 자리하고 있는 정자가 있다. 지금은 '영화정'이라는 현판을 걸고 있다. 이 영화정의 원래 이름은 '교귀정'이었다. 이 교귀정은 시구관의 부사와 유수들이 거북이 모양의 관인을 주고받은 데서 유래한 이름이다. 원래 교귀정은 사라지고 만석공원을 조성하면서 현재의 교귀정 자리에서 200m 정도 동북쪽으로 자리를 옮긴 것이다.

모두 8칸으로 구성한 팔작지붕인 영화정
▲ 마루 모두 8칸으로 구성한 팔작지붕인 영화정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두 칸의 온돌방을 드리고 마르 반 칸을 놓았으며 하엽난간을 둘렀다. 화성성역의궤에 기록한 형태이다
▲ 온돌방 두 칸의 온돌방을 드리고 마르 반 칸을 놓았으며 하엽난간을 둘렀다. 화성성역의궤에 기록한 형태이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화성성역의궤>에는 영화정에 대한 기록이 보인다. 원래는 8칸 정도의 정자이며 북쪽으로 난 날개채 2칸은 온돌이고, 남쪽으로 난 세로로 두 칸은 포판인데, 3면과 온돌 뒤쪽은 모두 퇴를 반 칸씩 달아내 하엽난간을 두르고 있다고 하였다. 정자 서쪽에는 대문을 내고, 남쪽으로는 작은 문을 냈는데 둘레는 네모꼴 단장이라고 소개한다. 1796년 병진년 행차시에 영화정이란 편액을 달도록 했다는 것이다.  

현재의 영화정은 1996년 10월에 신축, 복원한 건물이다. 영화정의 형태는 화성성역의궤에 기록이 되어있어 그 모습을 따랐을 것이다. 더운 날 찾아간 영화정. 한 옆으로는 하늘 높게 자란 소나무들이 서 있고, 앞 만석거에는 연잎들이 파란색을 띠고 있어 더위에 지친 마음들을 달래주고 있다.

복원한 영화정, 만석거 바라볼 수 있도록 담장을 낮춰

담장 밖에서 찍은 영화정의 측면 모습
▲ 영화정 담장 밖에서 찍은 영화정의 측면 모습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전국의 정자를 답사하면서 느끼는 것은, 역시 그 정자의 누마루에 앉아 경치를 바라보는 것이다. 그래야 고거 그 정자에 앉아있던 선인들의 마음을 조금이나마 읽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영화정을 돌아보면서, 참으로 어이가 없다. 대문이고 작은문이고, 건물 안에 방문이고 모두가 다 꽁꽁 잠겨있다.

저 문을 열고 들어가, 누마루에 앉아 저수지쪽으로 낮게 조성을 한 담장너머로 보이는 만석거를 바라볼 수만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가끔 이런 건물이나 정자들을 만나면 울화가 치민다. 관리하기 싫어서 이런 것이라고 밖에는 생각할 수가 없다. 보물로 지정되어 있는 정자들도 사람들이 자유롭게 올라가 경치를 즐기고는 한다. 가까운 곳에 있는 수원 화성의 아름다운 정자 '방화수류정' 역시 보물이다. 화성의 많은 전각들도 사람들이 자유롭게 올라가 쉬기도 한다.

잠가놓는 것만이 능사는 아닐 터 

뒤편에서 본 영화정의 모습. 북쪽으로 두칸을 달아내 모두 8칸으로 구성되었다
▲ 뒤편 뒤편에서 본 영화정의 모습. 북쪽으로 두칸을 달아내 모두 8칸으로 구성되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모든 문을 잠가놓은 영화정 안뜰에 정리가 안된 풀이 자라고 있다.
▲ 자라난 풀 모든 문을 잠가놓은 영화정 안뜰에 정리가 안된 풀이 자라고 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그런데도 아직 그런 곳에서 사고가 났다는 소리를 들은 적은 없다. 그저 잠가놓고 사방에 감시 센서를 세워놓으면 관리가 제대로 되는지 아는가 보다. 이런 사고는 참 모자람의 극치란 생각이다, 아무리 생각해도 납득이 가질 않는 이런 처사, 하루 속히 그런 사고가 바뀌기를 고대한다.

문화재란 사람들이 직접 그곳을 느끼고 더 감사를 할 때 제대로 된 보존이 이루어진다. 문마다 잠가놓고 정작 울안에 수북이 자라고 있는 풀조차 정리가 되지 않은 영화정. 많은 사람들이 찾아오는 만석공원에 볼만한 전각 하나가, 잠가놓는 것이 능사라는 생각으로 서 있는 모습이 참으로 안쓰럽다는 생각이다.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경기리포트와 다음 뷰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영화정, #수원, #만석공원, #신구유수관인인수인계, #꽁껑 잠긴 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