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왕소나무(천연기념물 제290호)도 태풍 볼라벤의 강풍을 이기지 못했다. 지난 28일 오전 10시께 충북 괴산군 청천면 삼송리의 왕소나무가 쓰러졌다.

예전의 왕소나무 모습
 예전의 왕소나무 모습
ⓒ 변종만

관련사진보기


수령 600년의 왕소나무(王松)는 높이 12.5m, 둘레 4.7m에 이르는 노거수로 줄기가 용이 꿈틀거리며 하늘로 승천하듯 꼬여 '용송'으로 불렸다. 또한 성황제를 지내던 신목으로 마을 이름 삼송리(三松里)에서 알 수 있듯 가까이에 있었다는 소나무 세 그루 중 한 그루만 외로이 남아있었다.


처가 어린 시절을 보낸 곳이고, 인근을 지날 때마다 다른 사람들에게 왕소나무의 아름다운 자태를 보여주며 "국내 최고의 소나무"로 소개했던 터라 현장으로 달려간 시간은 오후 6시께. 뿌리가 통째로 뽑히고 가지가 부러진 채 볼품없이 누워 있는 왕소나무의 모습이 처량했다. 현장에서는 포클레인이 대형 트럭들이 실어 나르는 흙으로 뿌리를 덮는 작업이 한창이었고, 그 모습을 관계자들과 마을사람들 여럿이 지켜보고 있었다.

이번 태풍에 가로수들이 힘없이 뽑힌 이유가 여름내 바싹 마른 땅에 집중 호우가 내리면서 지반이 약해지는 '액상화 현상' 때문이란다. 그렇다면 왕소나무가 쓰러진 것도 재해일까? 왕소나무의 뿌리가 땅에서 30cm가량 들려 위험하다는 제보로 외과수술을 했다지만 마을 주민들의 이야기대로 지주대 등을 설치했더라면 어떻게 됐을까. 왕소나무를 살리기 위해 노력해야겠지만 앞으로 원형을 볼 수 없다는 아쉬움에 오랫동안 발길을 돌리지 못했다.

예전의 송면 연리지 모습
 예전의 송면 연리지 모습
ⓒ 변종만

관련사진보기


집으로 가는 길에 왕소나무에서 6.5km 거리에 있던 연리지가 생각나 청천면 송면리의 연리지가든으로 차를 몰았다. 가든 옆 야산에 있던 연리지(괴산112호 보호수)는 수령 100여 년의 붉은 소나무로 땅위 4m 높이의 굵은 가지 하나가 남녀가 손을 맞잡듯 서로 끌어당기고 있는 모습이 국내의 연리지를 대표했다.

말라죽은 연리지 모습
 말라죽은 연리지 모습
ⓒ 변종만

관련사진보기


몇 년 전 이곳의 연리지도 시름시름 앓다 말라죽었다. 줄기가 붙은 연리목과 달리 가지가 붙은 연리지는 매우 귀한 나무이기에 아쉬움이 크다. 한순간에 수백 년의 세월이 그대로 사라지고 있는 현장들이다.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나무들이 앞으로는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사후약방문에 희생되지 않았으면 좋겠다.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제 블로그 '추억과 낭만 찾기'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삼송리, #왕소나무, #왕송, #용송, #연리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스스로 행복을 만들어 내는 아름다운 일상은 물론 전국의 문화재와 관광지에 관한 사진과 여행기를 여러 사람과 공유하고자 합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