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문현동#2 30.48X43.18cm 디지털 흑백 프린트 2009
 문현동#2 30.48X43.18cm 디지털 흑백 프린트 2009
ⓒ 정민규

관련사진보기


부산에 살다보면 특히 여름을 즈음해서 문의전화를 종종 받곤 한다. "어디가 좋냐"는 만만치 않은 주관식 문제는 답이 없어서 더 어렵다. 객관식이라면 찍기라도 할 텐데 말이다. 그럴 때마다 내놓는다고 내놓는 나름의 모범답안은 '산복도로'였다. 흔한 해운대도 아니고, 익숙한 광안리도 아니어서 주절주절 부가 설명을 해달라는 요구가 이어지곤 했다.

진짜 좋긴 한데, 어떻게 설명할 방법이 없는 이 '부산스러운' 장소는 역설적이게도 지극히 평범한 부산의 골목길이다. 산복도로를 타고 바다를 향해 미끄러져 내려간 수백, 수천 개의 골목에는 살아 있는 부산이 대롱대롱 매달려 있다.

범일동 #3 30.48X43.18cm 디지털 흑백 프린트 2009
 범일동 #3 30.48X43.18cm 디지털 흑백 프린트 2009
ⓒ 김홍희

관련사진보기


골목들을 둘러보기 권하는 이유는 골목에 도시의 맨얼굴이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사람들이 말쑥한 도시의 고층빌딩군의 '화장발'에 열광해도 그 민낯을 숨길 수 는 없다. 뉴욕 맨해튼과 도쿄 시부야, 부산 해운대의 고층빌딩 사이에는 무슨 차이가 있는지 모르겠지만 골목에는 복제할 수 없는 도시의 DNA가 있다.

실핏줄마저 드러나는 도시의 민낯. 그 숨겨진 1인치에는 고부라진 길을 따라 수많은 이야기들도 찰랑거린다. 정수리만큼 오는 담은 넘나드는 이야기의 경계가 되지 못한다. 그런 의미에서 골목은 가장 많은 이야기가 담겨있는 지구의 이야기 창고이기도 하다.

부산은 그 중 골목이 유난히 주목받는 도시다. 전쟁은 피난민들로 도시를 채워나갔고 평지에서 밀린 소시민의 삶은 하늘에 닿을 기세로 산을 타고 올라갔다. 지금도 빼곡한 7부 능선의 산복도로 집들 사이로 버스가 지나다니고 사람들이 오간다.

일광 광산마을#2 30.48X43.18cm 디지털 흑백 프린트 2009
 일광 광산마을#2 30.48X43.18cm 디지털 흑백 프린트 2009
ⓒ 김홍희

관련사진보기


용두산미술전시관에서 열리는 <골목 : 시간의 통로> 사진전에는 꾸며지지 않은 부산의 골목을 만나볼 수 있다. 사진작가 김홍희의 시선이 머문 골목은 애착이라 불러도 좋고 치열이라 읽어도 좋다. 동시에 이번 전시는 2009년부터 부산MBC를 통해 지역 시청자들과 만나고 있는 <포토에세이-골목>의 확장판이기도 하다.

36점의 사진에는 비슷하되 절대 같지 않은 소박한 멋이 담겨 있다. 꾸욱 눌러 짜면 부산스러운 짭조름한 즙이 새어나올 것 같은 그의 사진에는 부산이 담겨 있다. 화려함을 찾는다면 살짝 실망할 수도 있지만 익숙함과 정겨움을 찾고자 한다면 권유한다.

오는 9일까지 부산 중구 용두산공원 내 용두산미술전시관에서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만나볼 수 있다. 관람료는 기분 좋은 '무료'.

덧붙이는 글 | 문의전화 051)740-4270



태그:#골목, #사진전, #김홍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