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박근혜 정부' 총리 후보자로 지명된 정홍원 변호사가 8일 오전 서울 종로구 삼청동 대통령직 인수위에서 기자회견을 마친 뒤 떠나며 취재진을 향해 손을 흔들고 있다.
▲ 총리 후보자로 지명된 정홍원 변호사 '박근혜 정부' 총리 후보자로 지명된 정홍원 변호사가 8일 오전 서울 종로구 삼청동 대통령직 인수위에서 기자회견을 마친 뒤 떠나며 취재진을 향해 손을 흔들고 있다.
ⓒ 인수위사진기자단

관련사진보기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8일 정홍원 전 대한법률구조공단 이사장을 초대 국무총리 후보자로 지명하면서 '돌려막기' 논란이 재연될 것으로 보인다.

아들 병역면제 및 부동산투기 의혹에 부딪혀 자진사퇴한 김용준 전 국무총리 후보자가 2012년 대선 당시 새누리당 공동선거대책위원장과 대통령직 인수위원장을 맡은 것처럼 정홍원 지명자 역시 2012년 4월 총선 당시 새누리당의 공천심사위원장을 맡은 바 있다.

이와 관련, 이상일 새누리당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지난해 4월 19대 총선을 앞두고 새누리당 공천심사위원장을 맡아 과감한 개혁공천을 주도해 새누리당의 총선 승리에 기여한 정 변호사가 국무총리 후보자로 지명된 것을 환영한다"며 "당시 새누리당 공천이 야당보다 훌륭했다는 평가를 받은 것은 정 변호사가 개혁공천의 원칙을 철저히 지키면서 사심 없이 일했기 때문"이라고 자평했다.

정홍원 진두지휘했던 4·11 총선 공천... 현영희 공천비리 사건으로 얼룩져

그러나 정 지명자가 국무총리 후보로 인선되면서 새누리당의 총선 공천비리 사건과 허술한 공천심사 논란이 재조명될 수 있다.

가장 먼저, 공천비리 사건이다. 새누리당은 지난 8월 비례대표로 여의도에 입성한 현영희 의원과 공천위원을 지낸 '친박' 현기환 전 의원 사이의 공천 금품수수 의혹이 불거지면서 한 차례 큰 홍역을 겪었다.

당시 현영희 의원은 4월 총선 당시 부산 동구 지역구 공천을 철회하고 비례대표 공천을 신청하면서 현기환 전 의원에게 3억 원을 공천 로비 대가로 제공한 의혹을 받았다. 현 의원이 지역구 공천을 신청했다가 공천 결과 발표 하루 전 비례대표 공천을 신청한 것을 두고 미리 공천결과를 귀띔 받고 방향을 튼 것 아니냐는 의심을 받았다.

특히 현 의원이 이정현 인수위 정무팀장, 현경대 전 의원 등 친박 인사들에게 차명으로 500만 원씩 후원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박 당선인에게도 불똥이 튀었다. 당시 현 의원과 현 전 의원은 이같은 사실을 모두 부인했지만 대선을 앞둔 새누리당은 자체 조사 결과, 이들을 제명시켰다. 검찰 수사결과 현기환 전 의원은 무혐의로 결론이 났다.

그러나 현영희 의원은 현재 당선무효형을 선고 받은 상태다. 부산지법 형사합의 6부(이광영 부장판사)는 지난해 11월 현 의원에 대해 징역 2년에 집행유예 3년, 추징금 4800만 원을 선고했다. 현 의원이 '연결고리' 역할을 했던 조기문 전 새누리당 부산시당 홍보위원장에게 '공천 로비 명목'으로 5000만 원을 건넨 점을 인정한 것이다. 다만, 재판부는 "(공천) 청탁시도에 성공하지 못했고 돈을 다시 돌려받은 점, 비례대표 공천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던 점을 양형에 고려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정 지명자는 지난 8월 기자회견을 자청해 "공천과 관련해 불미스러운 일이 있다면 오로지 저의 책임"이라고 밝혔다. 무엇보다 "이 일로 인해 새누리당 대통령 후보 경선 등 정치 일정이 진행되지 못하고 정략적 공격이 가열된 것에 대해 책임을 통감하는 저로서는 괴로움을 억제할 수 없다"며 박 당선인을 향한 당 안팎의 정치공세를 차단하고 나선 바 있다.

'돌려막기' 공천으로 당 안팎 잡음 잇달아... '리더십' 의문표 찍힐 듯 

새누리당(옛 한나라당) 박근혜 비대위원장이 지난해 2월 2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공직후보자추천위원회 임명장 수여식에서 정홍원 공추위원장에게 임명장을 전달하고 있다.
 새누리당(옛 한나라당) 박근혜 비대위원장이 지난해 2월 2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공직후보자추천위원회 임명장 수여식에서 정홍원 공추위원장에게 임명장을 전달하고 있다.
ⓒ 남소연

관련사진보기


허술한 공천심사를 놓고 당 안팎의 잡음이 많이 나왔던 것도 주목된다. 당시 공천심사위원장을 맡았던 정 지명자의 리더십을 가늠할 수 있는 대목이기 때문이다. 당시 비상대책위원장이었던 박 당선인이 '시스템 공천'을 강조했지만 실제 공천 과정에서는 '친박 챙기기', '돌려막기', '부실 검증' 논란이 끊임없이 나왔다. 이재오 새누리당 의원을 포함한 1차 공천 발표 때는 당시 비상대책위와 충돌을 빚기도 했다.

강남 지역에 전략공천됐던 박상일 한국벤처기업협회 부회장과 이영조 바른사회시민회의 공동대표가 역사관 논란으로 공천이 취소됐고, '쌀 직불금 논란'을 겪었던 이봉화 한국보건복지정보개발원장 비례대표 공천은 당시 비상대책위원회의 재의 요구를 받고 공천이 취소된 바 있다.

돌려막기 논란은 공천 내내 계속됐다. 대표적 사례를 들자면, 부산 중동구에 공천을 신청했던 나성린 의원은 부산 진갑에 배치됐고 충남 공주연기에 공천을 신청했던 정진석 국회 사무총장은 서울 중구로 공천됐다. 서울 강남을에 공천을 신청했던 허준영 전 코레일사장은 서울 노원병으로 배치됐고 배은희 전 의원은 진영 인수위 부위원장의 서울 용산을 노리다가 수원 권선구로 공천됐다.

이같은 돌려막기 공천은 사천(私薦) 논란을 가중시켰다. 특히 정두언 의원은 트위터에 "모처럼 기자실에 들렀더니 공천 얘기로 수군수군(하다), 2000년 이회창 시절로 돌아간 공천이라는 둥, 최재오·권방호가 다한다는 둥"이라며 '친박' 핵심으로 꼽히는 최경환 의원과 권영세 전 사무총장을 직접 겨냥 비판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 김현 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새누리당이 개혁공천을 한 분이라고 하는데 문대성 논문표절, 김형태 사건, 현영희 공천 헌금 사건이 공심위때 있었던 일인데. 이걸 어떻게 개혁공천이라고 할 수 있나"면서 "자신이 당 비대위원장으로 있을 때 공천심사위원장의 역할을 맡겼던 분이 과연 국무총리로 제 역할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도 철저히 검증하겠다"고 밝혔다.


태그:#정홍원, #박근혜, #현영희, #공천헌금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2007년 5월 입사. 사회부(2007~2009.11)·현안이슈팀(2016.1~2016.6)·기획취재팀(2017.1~2017.6)·기동팀(2017.11~2018.5)·정치부(2009.12~2014.12, 2016.7~2016.12, 2017.6~2017.11, 2018.5~2024.6) 활동.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