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박근혜 대통령이 3월 28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교육부·문화체육관광부 업무보고에 참석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이 3월 28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교육부·문화체육관광부 업무보고에 참석하고 있다.
ⓒ 청와대

관련사진보기


취재원 보호를 위한 익명 보도를 하지 말라는 청와대의 요구에 대해 과거 군사정권의 '보도지침'을 연상케 한다는 비판이 나왔다.

박용진 민주통합당 대변인은 4일 "청와대가 어제 기자들에게 '핵심관계자, 고위관계자 표현을 쓰지 말고 이름을 써달라'고 요구했다"며 "전두환 정권 때 언론탄압에 사용했던 '보도지침'의 재판"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청와대 대변인들이 언론에 이름이 자주 안나와 섭섭해서 이런 식으로 대놓고 보도요청을 하는 게 아니라면 언론의 자유로운 취재와 보도를 가로막겠다는 태도에 다름 아니다"고 덧붙였다.

이정현 수석, 새누리당 초선 모임 참석... '투표지침' 논란

박 대변인은 또 이정현 청와대 정무수석이 새누리당 초선의원 모임에 원내대표에 출사표를 던진 친박계 최경환 의원과 함께 참석한 것에 대해서도 "사실상 새누리당에 보내는 '투표지침'"이라고 주장했다.

박 대변인은 "사실상 청와대가 이한구 원내대표에 이어 친박 원내대표를 원한다는 메시지를 분명히 했다"며 "청와대의 이런 권위주의적 태도는 박근혜 대통령이 연이은 인사 참사에도 불구하고 아무것도 배운 것이 없다는 점을 확인시켜 주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박 대통령이 하라는 국민소통과 국회존중은 안하고 언론에는 보도지침을, 초선들에게는 투표지침을 하달하는 것은 실망스럽다"며 "지금은 언론통제와 여당통제에 열 올릴 때가 아니라 민생과 안보에 전력을 다할 때라는 점을 청와대가 잊지 않기 바란다"고 밝혔다.

김행 대변인은 3일 청와대 춘추관 기자실을 방문해 "최근 청와대 관계자 명의로 확인 안 된 기사들이 나오는 경우가 많다"며 "청와대가 논의한 적도 없고 심지어 대통령 생각과 동떨어진 이야기가 이런 명의로 자주 나오는 것은 청와대는 물론 해당 언론사 신뢰마저 손상시키는 바람직하지 못한 사례"라고 말했다.

자신이 직접 작성한 A4용지 한 장 분량의 편지를 들고 온 김 대변인은 "청와대는 관계자 명의로 입장을 밝히지 않는다"며 "이런 기사는 청와대와 무관함을 밝힌다, 당연히 책임질 수도 없다"고 덧붙였다.

윤창중 대변인도 "고위 소식통이나 청와대 관계자 이런 표현은 제가 브리핑할 때만 쓰자"고 말했다.

청와대의 이같은 요구에 대해 언론들은 안그래도 '불통'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청와대가 언론 통제는 물론 청와대 인사들의 입단속에 나섰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억울한 청와대?... "언론 보도 위축 의도 없어"

청와대는 다소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청와대 측은 익명 보도 제한 논란에 대해 "참모들이 개인 생각을 언론에 이야기하면 청와대에서는 한 번도 검토하거나 논의해본 적이 없는데 언론 보도는 마치 청와대 전체가 심각하게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나간다"며 "이는 청와대는 물론 언론의 신뢰를 갉아 먹는 결과를 낳는다"고 밝혔다.

청와대 측은 또 "보다 정확한 언론 보도를 돕겠다는 취지이지 언론 보도를 위축시킬 의도는 전혀 없다"고 해명했다.

이정현 정무수석과 최경환 의원이 나란히 새누리당 초선 모임에 참석한 것을 두고 제기된 박심(박 대통령 의중) 논란에 대해서도 청와대 측은 "원내대표 선거를 앞두고 출마자들이 의원 모임을 찾아가 지지를 호소하는 것은 당연히 해야 할 득표 활동 중 하나"라며 "이정현 수석의 모임 참석은 이미 한 달 전 약속된 것이고 그 자리에 최 의원이 나올지 미리 알고 간 것은 아니다"고 반박했다. 


태그:#청와대, #민주당, #박용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