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화성시 병점동 벌말 마을 부근에 있는 폐축사가 오랫동안 방치된 채 주변 환경과 극심한 부조화를 이루며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 풍경 망치는 폐축사 화성시 병점동 벌말 마을 부근에 있는 폐축사가 오랫동안 방치된 채 주변 환경과 극심한 부조화를 이루며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 허성수

관련사진보기


경기도 화성시 병점1동 벌말초등학교 쪽에서 1호선 전철 선로를 횡단하는 육교를 따라 서쪽으로 건너가면 한적한 마을이 나온다. 오래된 농가와 4~5층짜리 빌라 건물이 뒤섞인 동네로서 옛 이름은 벌말이다. 삼미천을 끼고 차 한 대가 다닐 수 있는 태안로 95번길을 통해 벌말을 벗어나는 순간 흉흉한 풍경을 마주할 수 있다. 마을을 지나자마자 들판 가운데 농사용으로 사용된 것으로 보이는 비닐하우스 구조물이 마치 폭격을 맞은 것처럼 부서지고 뜯겨져 있기 때문이다.

넓은 농토 위에는 낡은 쇠파이프의 뼈대만이 앙상하게 남아 있었다. 일부에는 아직 부직포가 덮혀 있는 상태였다. 자세히 보니 농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농사용 비닐하우스가 아니었다.

콘크리트로 포장된 바닥에 시멘트 블록이 일정한 높이로 벽을 쌓고 그 위에는 활처럼 굽은 쇠파이프가 있었다. 이 비닐하우스는 과거에 축사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 속에는 아무것도 없었다. 사용하지 않고 방치된 지 여러 해가 된 듯했다.

가축을 키우다 그만뒀으면 구조물을 모두 치우고 논과 밭의 형태로 복원돼야 하는 것 아닐까. 왜 치울 생각을 하지도 않고 방치돼 있을까.

나는 주변의 밭에서 일하고 있는 주민들을 만나봤다. 칠순의 한 할머니는 "돼지를 치던 축사였는데 동네 주민들이 냄새 때문에 민원을 제기하면서 접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더 이상 자세한 이야기는 하지 않았다. 고추밭에 거름을 주고 있던 김아무개(83)씨는 이 비닐하우스에 얽힌 이야기를 비교적 상세히 알고 있었다.

김씨의 말에 따르면 축사가 방치된 지는 무려 7~8년이 됐으며 축사를 운영하던 사람이 그만둔 후 사망했기 때문에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는 상태란다. 남의 땅을 임대로 얻어 축사를 지었는데 사업을 몇 년 하지도 못해 돼지값 파동이 닥쳤다고 한다.

"꼭 냄새가 난다는 주민들 민원 때문이라기보다는 돼지값 폭락이 가장 큰 원인이었습니다. (돼지 사육자가) 그만뒀을 때는 돈을 많이 벌지 못했으니 주인이 빨리 치워달라고 하지도 못했어요. 그러다가 철거도 못한 채 죽었어요."

그렇다면 고인의 다른 가족이라도 나서서 철거할 수는 없었을까. 김씨는 "고인에게 철거를 대신할 다른 가족이 없었다"고 회고했다.

쓰러질 듯 허물어지다 만 구조물 안에는 마구 버린 쓰레기가 널부러져 있다. 바로 옆에는 교회가 있었는데 교인들이 자동차로 이동하기 때문에 범죄에 위협을 느낄 정도는 아니라고 했다.
▲ 구조물 내부에 쌓인 쓰레기 쓰러질 듯 허물어지다 만 구조물 안에는 마구 버린 쓰레기가 널부러져 있다. 바로 옆에는 교회가 있었는데 교인들이 자동차로 이동하기 때문에 범죄에 위협을 느낄 정도는 아니라고 했다.
ⓒ 허성수

관련사진보기


김씨는 땅 주인 역시 몹시 어려운 상태라고 전했다. 서로 같은 마을에 사는 이웃으로 잘 아는 사이인 듯했는데 주인과 아들이 모두 건강이 좋지 않아 철거 비용을 댈 수 있는 형편이 아니라고 했다.

"주인도 나무랄 수 없죠. 우리라도 나서서 철거하고 싶지만 돈이 드는 일이어서 엄두도 내지 못해 답답합니다."

화성시도 사유지라는 이유로 철거할 수 없다는 입장이었다. 동부출장소의 농정담당 공무원의 말이다.

"농지법상 농지에 축사를 지어 쓸 수 있기 때문에 현행법을 위반한 것도 아니도 사용하지 않는 폐축사라고 해도 사유재산을 우리가 함부로 손댈 수는 없습니다."

땅 주인도 화성시도 당장 철거할 수 없는 입장이어서 폐축사는 언제까지 흉물 상태를 유지하게 될지 알 수 없었다. 주민 김아무개씨는 도시의 확장에 따라 개발계획이 수립될 때까지 막연히 기다리는 수밖에 없다고 했다. 그러면 개발의 주체가 될 화성시나 공공기관에서 자연히 수용해 깨끗이 정리할 것이라는 이야기였다. 그러나 이곳은 자연녹지 지역으로 묶여 있는 곳이어서 마을사람들이 오래 전부터 민원을 제기해왔지만 쉽게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마을 바로 앞에는 고가도로가 생기면서 도로를 경계로 너머는 유앤아이센터가 들어섰고 그 주변은 병점복합타운으로 개발되기로 했지만, 반대편인 벌말 마을 앞 농지는 계속 자연녹지 지역으로 묶여 있다.


태그:#화성시, #병점동, #벌말, #폐축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