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정보당국 활동 논란에 대한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기자회견을 보도하는 CNN
 정보당국 활동 논란에 대한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기자회견을 보도하는 CNN
ⓒ CNN

관련사진보기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정보당국의 민간인 통화 기록과 인터넷 개인정보 수집 논란에 직접 나섰다.

AP, CNN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오바마 대통령은 8일(한국시각) 기자회견을 열고 국가안보국(NSA)의 통화 기록 수집에 대해 "누구도 여러분의 전화통화 내용을 엿듣는 것이 아니다"고 해명했다.

또한 인터넷 기업을 통한 개인정보 수집 활동에 대해서도 "미국 국민에게는 해당 사항이 없으며, 미국에 거주하고 있는 사람도 관계가 없는 것"이라며 미국 영토 밖의 활동이라고 설명했다.

전날 <워싱턴포스트>는 정부의 기밀문서를 입수해 정보당국이 구글, 페이스북, 야후 등 주요 인터넷 기업의 중앙 서버에 직접 접속하여 비밀리에 개인정보를 수집하는 '프리즘(PRISM)'이라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고 폭로했다.

하지만 오바마 대통령은 "통화 내용을 엿들은 것이 전화번호와 통화 내역을 조사했을 뿐이며 통화 기록과 인터넷 개인정보 수집은 이미 의회로부터 승인을 받았으나 해외정보감시법(FISA)이 인증하는 범위 내의 활동"이라고 반박했다. 

오바마 대통령 "완전한 사생활 보장은 없다"

오바마 대통령은 "완전한 안보도 없으며, 완전한 사생활 보장도 없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며 "우리는 (국가안보와 시민자유의 균형 사이에서) 선택을 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나도 대통령 취임 당시에는 이러한 감시 프로그램에 대한 비판적인 의견이었지만 (지금은) 일부 사생활 침해가 필요하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며 "잠재적인 테러 위협을 파악하고 방지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오바마 대통령은 "국민의 입장에서는 '빅 브라더'(정보를 독점하여 사회를 통제하는 권력)에 대해 불평하고 남용될 수 있다고 지적하지만 실제로는 균형이 유지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날 오바마 대통령의 발언은 국가안보를 위해 일부 사생활 침해의 필요성을 인정하며 정보당국 활동의 정당성을 강조한 것으로 해석되면서 이를 둘러싼 논란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태그:#버락 오바마, #정보당국, #NSA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