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새누리당 서상기(국회 정보위원장·왼쪽), 정문헌 의원
 새누리당 서상기(국회 정보위원장·왼쪽), 정문헌 의원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국정원의 '2007년 정상회담록' 공개에 혼란에 빠졌던 민주당은 하루 만에 역공 태세를 갖췄다. 막상 전문이 공개 됐으나 노무현 전 대통령이 "NLL을 포기하겠다"거나 "김정일 위원장에게 보고드린다"고 발언한 부분이 회담록에 없음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민주당은 당장 서상기 정보위원장과 정문헌 새누리당 의원의 사퇴를 촉구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영토 포기 발언이 사실이 아니라면 의원직을 사퇴하겠다"고 밝힌 본인들의 약속을 지키라는 것이다.

박용진 민주당 대변인은 25일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서상기 의원은 5일 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열람 후) 이 자리에서 노무현 전 대통령의 NLL 포기 발언을 전하며 '내 말이 조금이라도 과장됐다면 의원직에서 사퇴하겠다'고 했다"며 "그러나 회담록 어디에도 NLL 포기 발언은 없었다, 서해 지역을 평화 지역으로 만들기 위한 노력만 확인됐다"고 이 같이 밝혔다.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을 열람한 서상기 위원장은 지난 20일 기자회견을 열어 "노 전 대통령이 NLL을 포기하는 취지의 발언을 한 것을 확인했다"고 주장한 바 있다. 당시 그는 "핵무기 관련 부분도 있고, 또 다른 군사력 관련 부분도 굉장히 많다, 대화가 아니고 보고하는 수준이었다고 보면 된다"며 "내 말이 조금이라도 과장됐다면 의원직을 사퇴하겠다"고 나섰다.

이를 두고 박 대변인은 "서 의원은 '회담 중에 노 전 대통령이 보고라는 단어를 사용했고 마치 노 전 대통령이 김정일 위원장에게 보고하는 형식이었다'며 비굴·굴종이라고 표현했다"며 "무지와 왜곡으로 전직 대통령의 명예를 훼손하고 국론을 분열시키는 데 앞장 선 이런 사람은 의원으로 있는 게 온당치 못하다"고 목소리 높였다.

민 "'NLL 포기 발언'에 의원직 건 서상기·정문헌, 책임 져라"

이어 민주당은 정문헌 의원을 "NLL 포기 발언의 첫 번째 문제 야기자"로 규정하며 역시 사퇴를 요구했다. 박 대변인은 "정 의원은 지난 해 10월 12일, 노무현 대통령 NLL 발언이 사실이 아니라면, 정치 생명을 걸겠다고 했으며 거기에는 의원직도 포함된다고 말했다"며 "본인이 걸겠다고 했으니 책임을 질 것이라고 본다"고 강조했다.

당시 기자회견에서 정 의원은 "노 전 대통령은 김정일과의 단독회담에서 '남측은 앞으로 NLL 주장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밝힌 바 있다.

박 대변인은 "대선에서의 비겁한 승리와 국정조사 방해를 위해 불법으로 정상회담 회의록을 획득한 서상기·정문헌 의원의 사퇴를 공식 촉구한다"며 "민주당은 모든 불법 행위에 대해 법적 책임을 묻겠다"고 못 박았다.

한편, 노무현재단(이하 재단) 역시 이날 오후 보도자료를 배포해 "국정원과 새누리당은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을 불법 공개했을 뿐 아니라 그 내용도 허위 날조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공세를 펼쳤다.

재단은 "국정원이 불법공개한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그 어디에도 새누리당에서 지난 대선 때부터 집요하게 주장했던 '땅 따먹기' 'NLL 포기' 발언이 전혀 없다"며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을 보면 분쟁 지역인 NLL을 평화지대로 바꾸자고,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진정성을 가지고 설득하는 과정이 생생하게 나타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새누리당은 노 대통령이 '보고드린다'는 표현까지 쓸 정도로 굴종적인 자세를 보였다고 주장했지만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에는 그런 내용이 아예 없다"며 "국정원과 새누리당은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을 악의적으로 짜깁기한 발췌록을 가지고 정쟁의 수단으로 활용한 것"이라고 힐난했다.

재단은 "지난 대선 때 남북정상회담에서 노무현 대통령이 NLL 포기 발언을 했다는 허위주장이 어떻게 불거졌으며, 왜 불법적인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배포가 이뤄졌는지 명확하게 밝혀야 한다"며 "정문헌 의원과 서상기 의원을 비롯해 남재준 국정원장 등 이번 사태와 관련된 인사들에게 엄중하게 법적인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태그:#서상기, #정문헌, #NLL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