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민주당 김한길 대표와 전병헌 원내대표, 정성호 원내수석부대표가 5일 저녁 국회에서 열린 긴급 의총에서 얘기를 나누고 있다.
 민주당 김한길 대표와 전병헌 원내대표, 정성호 원내수석부대표가 5일 저녁 국회에서 열린 긴급 의총에서 얘기를 나누고 있다.
ⓒ 남소연

관련사진보기


[2신 : 5일 오후 11시 50분]
민주당, 김무성·권영세 증인 배제 문제 결론 못내... 6일 오전 결론 내기로

원세훈 전 국정원장과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에 대한 증인채택을 두고 여야가 의견을 모은 가운데, '김·세(김무성·권영세)'가 마지막 걸림돌로 작용했다.

5일 오후 6시 30분 '여야 원내지도부 잠정 합의안'을 두고 긴급 의총을 연 민주당은 5시간 여 동안 논의를 거듭했으나 끝내 결론에 도달하지 못했다.

앞서 여야 원내수석부대표는 '원·판(원세훈·김용판)'에 대한 증인 채택 및 불출석 시 동행명령장 발부·고발에 의견을 모았다. 더불어 국조 기간을 10일 연장하는 대신 '김·세' 증인 채택 문제에 있어서는 민주당이 물러서는 방향으로 합의점을 찾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 같은 잠정안에 대해, 국정원 국정조사특위 위원들을 중심으로 한 강경파들은 '김·세'에 대한 증인채택을 목소리가 강하게 제기했다.

이날 오후 11시 15분께 의총이 끝난 직후 배재정 대변인은 "오늘 여야 대표단이 협상한 내용은 '국조 기간의 연장, 원세훈·김용판 등의 출석과 이에 대한 담보, 김무성·권영세를 포함한 미합의 증인에 대한 협상은 계속하기로 한다' 였다"며 "이와 관련해 의총에서 '김·세' 증인 채택에 대해 지도부가 강력히 요구해 달라는 의견이 있어, 지도부가 이를 받아들였다"고 밝혔다.

결국 민주당은 '김·세'에 대한 증인채택을 새누리당에 강하게 요구하는 것을 전제로 지도부에 결정을 위임했다.

이로써 국정원 국정조사 증인채택을 위한 최종 시한인 5일을 넘기게 됐다. 하지만 여야 간에 국조 기간 연장에 대한 공감대가 일정 정도 형성돼 있어, 국조가 완전히 무산된 것은 아니라는 분석이다.

일단 민주당은 6일 오전 비공개 최고위원회를 열어 민주당의 최종 입장을 결정한 후 새누리당과의 협상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 김한길 대표가 5일 저녁 국회에서 열린 긴급 의총에 참석해 이마의 땀을 닦고 있다.
 민주당 김한길 대표가 5일 저녁 국회에서 열린 긴급 의총에 참석해 이마의 땀을 닦고 있다.
ⓒ 남소연

관련사진보기


[1신 : 5일 오후 10시 12분]
민주당, '김무성·권영세' 증인 배제 두고 찬반 팽팽

'원·판(원세훈·김용판)'에는 미쳤지만 '김·세(김무성·권영세)'까지는 갈 길이 멀다. 국정원 국정조사 증인채택을 둘러싼 여야 합의 상황이다.

국정원 국정조사가 파행을 거듭하는 가운데, 민주당은 김무성 새누리당 의원과 권영세 주중대사 증인채택 건을 두고 내부 의견 조율에 돌입했다. 5일 오후 6시 30분 긴급 의원총회를 소집한 민주당은 여야 원내 지도부 간 잠정 합의안을 보고하고 의원들의 의견을 청취했다.

이에 앞서 여야 원내수석부대표는 회동을 갖고 원세훈 전 국정원장과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의 증인 채택 및 불출석시 동행명령장 발부·고발에 대해 접점을 찾은 것으로 알려졌다. 더불어 국조 기간 연장에 대해서는 10일 연장을 진행하는 대신, '김·세' 증인 채택 문제에 있어서는 민주당이 물러서는 방향으로 의견을 모았다.

결국 민주당에 선택지가 넘어간 형국이다. 국정조사 정상화를 바라는 지도부 측에서는 '김·세'를 증인 채택에서 빼고 가는 방안도 고려하자는 입장이지만 특위 위원을 중심으로 한 강경파들은 '김·세'의 증인채택이 필수적이라는 입장이다.

이에 소집된 긴급의총에서 전병헌 원내대표는 "12,13일 청문회를 하기로 해 그 날 증인 출석을 통보하려면, 국정조사 증인 의결 시한이 오늘까지"라며 "'원·판·김·세'의 증인채택과 출석, 국정원 전현직 직원들의 공개 증언 담보, 국조 기한 연장'이 우리의 요구였다"고 전했다. 그는 "오늘 의원들의 총의를 모아 어떻게 할 것인지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지도부는 의총에 참석한 50여 명 의원들의 의견을 모두 청취한 뒤 최종 결론을 내리겠다는 입장이지만 조율이 쉽지 않다.

특위 내부에서는 강경 목소리가 여전하다. 신경민 특위위원은 기자들과 만나 "원· 판을 청문회에 불러도 출석 가능성이 낮아 그것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며 "이에 김·세 증인채택을 강하게 밀어보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원· 판'은 여야가 증인 채택에 합의해도 수사 대상이라는 이유로 불출석할 가능성이 매우 높지만, '권·세'에 대한 증인 채택이 합의되면 출석과 증언이 가능할 것이라는 판단이다.

지난해 12월 16일 있었던 경찰의 허위 수사 결과 발표를 '김·세'가 미리 알고 있었다는 의혹이 제기된 만큼, 청문회를 통해 진상을 밝혀야 한다는 것이다. 또, '새누리당-국정원-경찰' 커넥션을 밝힐 핵심 인물로 민주당은 '김·세'를 꼽아왔다.

국조특위 민주당 간사인 정청래 의원도 이날 오후 기자들과 만나 "'원판김세'는 꼭 국정조사에 부른다"며 강경한 입장을 밝혔다.

이에 의총 시작 3시간이 지난 현재까지도 합의안이 나오지 않고 있다. 윤호중 의원은 의총 도중 기자들과 만나 "의원들 의견 모으기가 쉽지 않다"고 전했다. 변재일 의원 등도 "'김·세'를 증인에서 빼는 문제를 두고 찬반이 팽팽하다"고 말했다.


태그:#국정원 , #원판김세, #국정조사, #김무성, #권영세
댓글4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