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참여정부 청와대 연설기획비서관을 지낸 김경수 노무현재단 봉하사업본부장이 15일 오후 2시 검찰에 출석했다.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실종 사건을 수사하고 있는 서울중앙지검 공안2부(김광수 부장검사)는 회의록의 작성 과정 폐기 의혹과 대통령 기록관 이관 여부 등을 조사하기 위해 이날 김 본부장을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했다. 지난 2008년에도 청와대 이지원 사본을 봉하마을로 가져간 일과 관련해 검찰 조사를 받았던 김 본부장은 대통령 기록물과 관련해 두 번째 검찰 조사를 받게 됐다.

넥타이를 매지 않은 정장 차림의 김 본부장은 이날 예정된 시간에 딱 맞춰 서초동 서울중앙지검 청사에 도착했다. 대기하고 있던 취재진에 김 본부장이 말한 첫 번째 문장은 "거짓이 진실을 이길 수는 없다"였다. 이는 검찰에 출두하면서 노무현재단 홈페이지를 통해 발표한 입장문의 제목과 같았다.

"이제 그만 노무현 대통령을 놓아달라"

 김경수 전 참여정부 대통령비서실 연설기획비서관이 4일 오후 국회 민주당 공보실에서 '대화록 미이관' 논란에 대한 입장을 밝히는 브리핑을 하고 있다.
김경수 전 참여정부 대통령비서실 연설기획비서관이 4일 오후 국회 민주당 공보실에서 '대화록 미이관' 논란에 대한 입장을 밝히는 브리핑을 하고 있다. ⓒ 연합뉴스

김 본부장은 입장문에서 "검찰은 무슨 이유에선지 대화록 초본을 어떻게든 대통령기록물로 만들고 싶어 하는 것 같다"면서 "검찰의 시도가 성공하려면, 이명박 정부 청와대에서 작성한 회의록 초본도 모두 대통령기록물로 이관되어 있어야 한다, 지금 박근혜 정부 청와대에서도 회의 녹취록 초본을 기록물로 남기고 있는지 검찰은 그것부터 먼저 확인해 보아야 한다"고 검찰의 수사 방향을 비판했다. 이어 "검찰이 정말 진실규명의 의지가 있다면, 지금이라도 참여정부 관계자들과 함께 최종본을 놓고 왜 이관되지 않았는지 바로 확인 작업에 들어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노무현 대통령은 기록대통령이 되고 싶어 했다, 그래서 무려 800만건이나 되는 기록을 꼼꼼히 챙겨서 다음 정부에 넘겼다, 그렇게 남긴 기록 때문에 대통령 당신이 퇴임 후에도, 또 서거하신 뒤에도 이렇게 고초를 겪고 있다"면서 "대통령님께서 편안히 쉴 수 있도록 이젠 그만 놓아달라, 간곡히 호소 드린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 8일 <오마이뉴스>와 한 인터뷰에서 이번 사건과 관련한 여러 가지 의혹을 상세히 밝힌 바 있다(아래 관련기사 참고).

관련기사
[인터뷰] "초안 이지원 보고시점 10월 9일...검찰, 조물딱거리지 말고 다 공개하라"
[인터뷰 전문 ①] "이지원 삭제 기능 없다... 이관 위해 목록 지우는 게 유일"
[인터뷰 전문 ②] "국정원의 회의록 자체 생산 주장은 100% 거짓말"
[인터뷰 전문 ③] "문 후보 조사하겠다는 건 정치검찰로 가는 신호탄"

지난 4일 조명균 전 청와대 안보정책비서관 소환부터 시작된 검찰의 참여정부 관계자 소환 조사는 임상경 전 기록관리비서관, 이창우 전 청와대 제1부속실 수석행정관, 김만복 전 국정원장을 거쳐 김 본부장까지 이어지고 있다. 본격 소환 12일 만에 김 본부장까지 검찰에 나오면서 참여정부 청와대 고위 인사는 사실상 문 의원만 남게 됐다.

노무현 전 대통령 측은 일련의 수사 흐름에 짜맞추기식 수사 행태를 보이고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문재인 민주당 의원은 지난 10일 "검찰은 짜맞추기 수사의 들러리로 죄 없는 실무자들을 소환해 괴롭히지 말고 나를 소환하라"고 말한 바 있다.

다음은 김 본부장이 발표한 '검찰조사에 임하는 김경수 봉하사업본부장의 입장' 전문이다.

[검찰 조사에 임하며] "거짓이 진실을 이길 수는 없습니다"

1.

이번 정상회담 대화록에 대한 검찰 수사의 쟁점은 두 가지 입니다.
하나는 대화록 초본이 '대통령기록물이냐, 아니냐' 하는 것입니다.
두 번째는 대화록 최종본이 왜 기록관에 이관되지 않았는가 하는 점입니다.

첫 번째 쟁점은 간명합니다. 검찰은 무슨 이유에선지 대화록 초본을 어떻게든 대통령기록물로 만들고 싶어 하는 것 같습니다. 검찰의 시도가 성공하려면, 이명박 정부 청와대에서 작성한 회의록 초본도 모두 대통령기록물로 이관되어 있어야 합니다. 지금 박근혜 정부 청와대에서도 회의 녹취록 초본을 기록물로 남기고 있는지 검찰은 그것부터 먼저 확인해 보아야 합니다. 녹취록은 마지막 최종본만 기록물로 남기고 초본을 비롯해 작성과정에서 만든 미완성 녹취록은 당연히 폐기해야 한다는 기록관리의 원칙을 검찰이 왜 애써 외면하는지 이해할 수 없습니다.

검찰도 중간발표에서는 '초안'이라고 했다가 이제 와서 원본이니, 1차 완성본이니 하며 말을 바꾸고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검찰이 청와대 눈치를 보는 것 아니냐, 나아가 '문재인 죽이기'를 위한 표적수사 아니냐는 세간의 비판을 자초하고 있다는 얘기가 나오는 것 아니겠습니까.

대화록 초본이 기록물인지 아닌지 판단하는 가장 빠른 방법은 초본과 최종본을 비교해보는 것입니다. 어떤 부분이 수정되었는지 확인해보면, 초본을 굳이 기록물로 남기지 않은 이유를 금방 알 수 있을 것입니다.

두 번째 쟁점, 최종본이 왜 이관되지 않았는가는 하루속히 밝혀져야 할 부분입니다. 국민들도 궁금해 하고 있습니다. 중간 결과 발표 이후 2주일 가까이 지났지만 검찰이 이 부분을 어떻게 확인하고 있는지 알 길이 없습니다. 검찰이 찾았다는 최종본이 e지원에서 어떤 프로세스로 보고되고 처리되었는지 확인만 하면 이관되지 않은 이유를 금방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럼에도 아직까지 검찰이 최종본을 신주단지 모시듯 꽁꽁 숨겨놓기만 하고, 수사에 협조하고 있는 참여정부 관계자들에게는 왜 보여주지도 않는지 그 이유가 의아할 따름입니다. 검찰에게 과연 진실규명의 의지가 있는지조차 의심스럽습니다.

최종본이 이관되지 않은 이유는 하루속히 국민들께 밝혀드려야 합니다. 검찰이 정말 진실규명의 의지가 있다면 지금이라도 참여정부 관계자들과 함께 최종본을 놓고 왜 이관되지 않았는지 바로 확인 작업에 들어가야 할 것입니다. 검찰조사는 '정쟁'이 아니라 '진실'을 위한 것이어야 합니다.

2.

봉하마을로 내려간 뒤 2008년에 이어 오늘로 두 번째 검찰조사를 받습니다. 두 번 모두 기록물 때문입니다. 개인적인 문제를 떠나 대통령의 기록이 이렇게 두 번씩이나 검찰 수사의 대상이 되는 것 자체가 국가적인 불행입니다.

노무현 대통령은 기록대통령이 되고 싶어 했습니다. 그래서 무려 800만건이나 되는 기록을 꼼꼼히 챙겨서 다음 정부에 넘겼습니다. 그렇게 남긴 기록 때문에 대통령 당신이 퇴임 후에도, 또 서거하신 뒤에도 이렇게 고초를 겪고 있습니다.

대통령기록물이 이렇게 정치공세의 도구로 악용되면, 앞으로 누가 기록물을 제대로 남기려 하겠습니까? 대통령기록물은 지정기록제도로 보호받을 수 있다고 얘기한들 누가 믿겠습니까? 어렵게 만들어놓은 기록물 제도와 문화를 이렇게까지 망가뜨려놓은 그 책임은 누가 질 것입니까?

국익은 나 몰라라 하고 눈앞의 선거 승리를 위해, 정치적으로 궁지에 몰린 현실을 빠져나가기 위해, 전직 대통령의 기록물을 불법으로 유출하고 정치공작의 도구로 사용하는 것은, 민주주의의 근간을 흔드는 반역사적인 행태입니다. 절제하지 못하는 권력은 시민들이 나서서 바로잡아야 합니다.

3.

새누리당이 NLL 포기 논란을 일으킨 지 1년을 넘어서고 있습니다. NLL 포기는 없었다는 것이 현 정부 청와대 안보책임자의 증언에서도, 국방부의 자료에서도 속속들이 확인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거짓으로 노무현 대통령을 모욕했던 이들은 자신들의 주장을 앵무새처럼 되풀이하고 있습니다. 누구 한사람 나서서 사과하는 이도 없습니다. 권력이 도대체 뭐길래 고인이 된 대통령을 이렇게까지 욕보여야 하는 건지, 저로서는 도저히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국정을 책임졌으면 정책의 성과로 국민들의 지지를 얻고자 해야 하지 않겠습니까. 거짓 주장으로 고인이 되신 대통령을 공격해 국민을 호도하는 정치, 이젠 그만둘 때도 되지 않았습니까? 거짓이 진실을 이길 수는 없습니다.

대통령님께서 편안히 쉴 수 있도록 이젠 그만 놓아주십시오.
간곡히 호소 드립니다.

2013. 10. 15.
노무현 대통령 마지막 비서관 김경수


#김경수#회의록#검찰#문재인
댓글15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선임기자. 정신차리고 보니 기자 생활 20년이 훌쩍 넘었다. 언제쯤 세상이 좀 수월해질랑가.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