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시베리아 횡단 철도(러시아어:Транссибирская магистраль, 영어:Trans-Siberian Railway, TSR 또는 SLB:Siberian Land Bridge)는 러시아의 우랄산맥 동부의 첼랴빈스크에서 블라디보스토크까지 약 7400㎞를 1905년에 연결한 대륙횡단철도이다. 오늘날은 이 7400㎞의 노선을 포함하여 유럽의 모스크바와 극동의 블라디보스토크 간의 9297㎞를 연결하는 노선을 지칭하는 것이 더 일반적이다. 이 TSR과 연계된 철도로 중국을 경유한 TCR(Trans China Railway), 만주횡단철도(TMR:Trans Manchuria Railway), 몽골횡단철도(TMGR:Trans Mongolia Railway) 등이 있다. 특히 한반도를 경유하여 TSR 등에 연계되는 철도 루트로 한국종단철도(TKR: Trans Korea Railway)가 논의된 지 오래다.  

이 철도는 러시아 로마노프왕조의 마지막황제인 니콜라이 2세 때인 1850년에 계획이 시작되어, 1905년에 개통된다. 1929년대부터 전기기관차 운행 목적으로 전철화가 시작되어 2002년에서야 마쳤다. 보통 서쪽에서는 모스크바가 종착 지점으로 되어 있지만, 곁가지로 추가로 상트페테르부르크나 핀란드의 헬싱키, 독일의 베를린 등으로 가는 연계 열차도 편성되어 있어서 유럽 여행을 용이하게 만들어 주고 있다. 동쪽으로도 울란우데에서 갈라지는 비전철 지선이 몽골의 울란바토르를 거쳐 중국의 베이징으로 향하고 있다. 우수리스크에서부터 갈라지는 지선도 북한과 국경을 맞대고 있는 하산을 거쳐 두만강 철교로 바로 연결되어 있는데, 다만 북한의 철도 환경이 어려운 관계로 부정기 운행에 그치고 있다.

시베리아 횡단철도에서 우리는 먼저 안톤 체홉을 생각하게 된다. 아직 젊은 서른의 나이에 의욕과 꿈에 불타던 체홉이 미지의 세계, 극한과 금지의 영역에 도전한 것이다. 그는 전환기에 처한 러시아 사회를 고심하며 살았던 민감한 지식인이었다. 19세기 말 누구도 생각지 못했던 여행을 감행한 모험가였으며, 새로운 세계에 대한 매우 위험하기까지 한 그런 도전을 감행했다. 어떤 충분한 지원도 없는 극지 기행을 감행한 그는 '그 무슨 야만의 환상인가!'라는 동료들의 빈정거림 속에도 시베리아와 사할린 섬으로 단신 모험을 떠났다.

시베리아 횡단열차가 부설되기 전인 1890년 그는 아직 젊은 나이의 그는 모스크바대학 의학부 출신 의사로서, 권위 있는 푸쉬킨 상을 수상한 촉망받는 작가로서 남부러울 것이 없어 보였다. 그럼에도 그는 미지와 새로움을 찾아 봄볕 따스한 4월 모스크바의 '야로슬라블' 역에서 머나먼 '지옥으로 가는 여행'길에 오른다. 때로는 러시아의 젖줄 볼가 강을 오가는 기선을 타고, 때로는 기차와 마차로 길을 달려 광활한 시베리아를 거쳐 극동의 타타르 해협을 지나 드디어 석달 후 한여름인 7월 중순 사할린 섬 북부에 도착한다.

 우수리스크 이상설 유허비
우수리스크 이상설 유허비 ⓒ 김홍섭

그리고 더욱 먼 길을 돌아가는 귀로에 올라 그 해가 저물어가는 12월 8일 지친 심신을 이끌고 모스크바로 귀환한다. 이때의 과로와 허약해진 건강으로 이후 체홉은 짧은 생을 마감한다. 그리고 긴 여행의 산물로 <사할린 섬>이란 책을 내놓는다. 그가 시베리아 넘어 당시엔 세상 끝인 저 사할린에서 보고자 한 것은 무엇이며, 그의 삶을 건 긴 고행 길을 부추긴 진정한 동기는 과연 무엇일까? 그는 '나는 모든 것을 보았다!'고 반복해서 말했으나, 자신은 어떤 문학착품보다는 당시 사람들의 실제적 삶의 기록인 <사할린 섬>이란 제목의 위대한 사회학적 보고서를 남긴다.

때로는 현실이 더 소설적일 수 있다. 그의 여행기록은 어떤 상상보다 더 생생한 인간의 기록이었다. 시베리아 기차의 또 다른 기억으로 우리는 <닥터 지바고> 영화와 눈 속의 광활한 대지를 달리던 기차를 떠오르게 된다. 시인 지바고의  빛나는 눈빛과 설원의 신화와 거기를 질주하는 기차의 힘찬 기적과 차내 사람들의 다양한 삶들이 어쩌면 시베리아 횡단열차의 진면목인지 모른다.  

지금 우리는 오랜 분단의 현실 앞에 거의 좌절해 있다. 남북은 대치된 지 오래고 이를 공고히 하는 듯 핵무기와 남북, 미중의 긴장과 멀리 러시아, 일본의 패권주의적 행태들이 한반도의 통일은커녕 전쟁의 공포로 우리를 위협하고 있다. 지난 진보정권 10년은 뭔가 남북이 소통하고 통일이 가까워오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게 했지만, MB정부 5년으로 모든 것은 냉전의 터널로 깊이 진행하게 되었다. 또 이를 이은 박근혜 정부도 남북 화해와 평화를 전향적으로 내세우지 못하고, 신뢰프로세스란 새 남북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우스리스크 이상설 유허비 인근
우스리스크 이상설 유허비 인근 ⓒ 김홍섭

2013년 10월 말에 부산에서 열리는 WCC(세계교회협의회)10차 총회를 앞두고 지난 해 부터 베를린~부산을 잇는 평화 열차가 준비되어 있다. 세계교회와 한국교회 대표들 117명이 지원하여 23일간 분단의 장벽을 허물고 통일을 이룬 베를린에서 출발하여 러시아를 거쳐 중국 그리고 북한을 거쳐 부산에 이르는 대 장정이 진행되고 있다. 관련국들의 협력은 무난하나 단지 북한을 경유하는 것이 가장 난제다. 지난 참여정부 때 분단 56년 만에 남북 철도가 열려 서울~신의주간을 시험 운행한 가슴 벅찬 기억을 우리는 갖고 있다.

남북철도의 연계운행은 김일성 주석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유훈이며, 현 박 대통령의 꿈이기도 하다는 것이다. 이번에 러시아를 방문하여 꿈을 밝힌 대통령의 꿈은 우리 민족 누구나 가질 수 있다. 이제 남북당국은 이번 베를린~부산의 평화열차가 진행되도록 최선을 다해야 한다. 세계의 분단과 이데올로기 갈등의 표징인 한반도가 연결되고, 소통하며, 하나 되는 상징을 보여줄 때가 되었다.

역사적 과업에는 늘 많은 고민과 갈등 그리고 망설임과 두려움이 공존하게 된다. 그러나 더 큰 가치와 더 먼 미래와 후손들을 생각하고 민족의 동질성과 긴 역사의 정통성과 비전을 위해 지도자는 결단을 내려야 한다. 고독하고 용기있게 결단하여야 한다. 평화열차를 막고 있는 거짓, 자만, 욕심, 패거리주의를 버리고, 죽음을 앞둔 이산 가족의 한을 풀어야 하며, 부모자식의 천륜의 정과 도덕을 외면해서 안된다. 분단 2·3·4세대의 아픔과 우리 역사의 동질성과 민족성을 유지, 발전시키는 노력을 버려선 안 된다.

막힌 담은 넘고 거센 강물은 건너야 한다. 높은 산과 험한 사막을 넘어 목표지를 향해 나가야 한다. 평화를 지향하는 평화열차가 달리게 해야 한다. 모든 인접국이 동의하고 협력하는데 북한만 반대하여 기차를 멈추게 하는 것은 민족에 반역이며, 이를 묵인하는 것도 인륜을 저버린 패륜이다.

시베리아와 사할린의 동포의 험한 삶을 찾고 기록하려 시베리아기차를 탄 안톤 체홉과 혁명 후 방황하는 러시아인을 사랑하고 노래한 지바고 시인의 눈빛이 빛나는 시베리아횡단열차를 달리게 해야 한다. 만주와 중국대륙과 몽골을 지나 한반도로 와야 한다. 민족의 가슴에 희망을 날라야 한다. 강한 꿈과 밝은 비전을 온 민족이 함께하여 평화통일을 앞당겨야 한다.

덧붙이는 글 | 강한 꿈과 밝은 비전을 온 민족이 함께하여 평화통일을 앞당겨야한다



#시베리아횡단열차#TKR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시민의 정보 교환의 장이자 모든 시민이 기자인 오마이 뉴스의 기자가 되고 싶다

이 기자의 최신기사지뢰밭 꽃길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