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자연은 거스르는 일이 없다. 빗방울이 몇 줄기 떨어지더니 찬바람이 불며 날씨가 추워졌다. 오색단풍이 아름다운 세상을 만든 지 며칠이나 되었다고…. 겨울이 점점 길어지는데 올해는 추위도 일찍 찾아올 모양이다. 찬바람에 낙엽이 우수수 떨어지는 것을 바라보고 있으면 왠지 쓸쓸하다. 떨어지는 낙엽은 가을바람을 원망하지 않는데 말이다.

지나고 나면 다 추억이 되는 게 인생살이다. 누구나 가난하게 살았던 시절이 있어 추위와 연관된 추억이 유난히 많고 사연도 진하다. 따뜻한 커피 한 잔 마시며 정이 넘쳤던 옛날을 생각한다. 고구마를 구워먹던 부엌의 아궁이, 된장국이 보글보글 끓던 화롯불, 이리 뒹굴 저리 뒹굴 몸을 지지던 아랫목, 가마솥 안에 들어있던 따뜻한 밥그릇, 김이 모락모락 나던 어묵 국물, 호호 불면서 먹던 호빵이나 호떡이 주마등처럼 지나간다. 하지만 누가 뭐래도 어머님이 손수 불을 지펴 끓여주던 따뜻한 국밥이 최고였다.

'어려울수록 단단해진다'고 했다. 어려운 상황에 처하면 더 협동하고 이해하며 강해지는 게 가족관계다. 돌이켜보면 예전 춥고 배고픈 시절도 다 그렇게 이겨냈다. 그 바탕에 효(孝)가 있었다. 효는 부모에 대한 공경을 바탕으로 하기에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인간이라면 꼭 지켜야할 덕목이자 도덕규범의 기초다. 추위로 몸이 움츠러들던 날 효의 중요성과 가족의 소중함을 생각해보게 하는 '양수척효자비(충청북도기념물 제145호)'를 찾아 나섰다.

비선거리와 선도산
 비선거리와 선도산
ⓒ 변종만

관련사진보기


양수척효자비
 양수척효자비
ⓒ 변종만

관련사진보기


청주의 용암동이나 방서동에서 월운천을 끼고 목련공원 방향으로 마을 안길을 가다보면 청주에서 제일 높은 봉우리인 선도산(높이 547m)이 앞에서 내려다보고 있다. 운동교를 건너면 가까운 곳에 '비선거리'라고 써있는 바위 덩어리가 길옆에 놓여있고, 비가 서있는 거리를 뜻하는 이곳에 양수척의 효자비가 있다.

1860년에 세워진 양수척효자비는 다리실 앞에 있는 비석으로 앞면에 효자양척수척지비(孝子楊水尺之碑), 뒷면에 건립시기 등을 새겼다. 오랜 세월 길가의 개인집 담장에 바짝 붙어 방치된 탓에 글자를 판독하기가 쉽지 않고, 양수척에 관하여 전해 내려오는 일화가 많아 어느 게 정설인지 파악하기도 어렵다.

조선 세조 때 이 마을에 사는 부부가 늦둥이를 낳았다. 얼마나 귀엽던지 서로 상대편을 때리라고 시키고는 아들이 시키는 대로 하는 것을 보며 즐거워했다. 부모를 때리는 게 버릇이 된 아이는 커서 아버지가 죽은 다음에도 어머니를 때리는 게 일이었다.

맏이였던 양수척과 두 아우는 사람들에게 횡포를 저질렀고, 늙은 어머니는 걸핏하면 자식에게 매를 맞으며 지옥 같은 생활을 했다. 매일 자식들을 걱정하던 노모가 병으로 눕자 삼형제는 그냥 놔둘 수 없다며 고려장을 하기로 결정한다.

경연효비각
 경연효비각
ⓒ 변종만

관련사진보기


경연효자비
 경연효자비
ⓒ 변종만

관련사진보기


그 때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학식이 높고 만고의 효자로 조정에까지 알려진 경연(慶延)이 이웃인 남일면의 모산에 살고 있었다. 경연은 아버지가 오랫동안 병석에 눕자 마을 앞 연못의 얼음 속에서 잉어를 잡고, 어머니가 병석에 누웠을 때는 마을 상봉의 눈 덮인 산속에 시루를 엎어놓고 고사를 드려 병을 고친 효자이자 청백리였다. 그가 살았던 곳은 훗날 효촌이라 불렸고, 효촌리에 우암 송시열이 '효자 현감경연의 마을(孝子 縣監慶延之里)'이라고 지은 효자비와 정문(旌門)이 있을 만큼 훌륭한 사람이다.

전국에 단 두 곳 뿐인 효촌리를 마을 이름으로 만든 효자 경연이 양수척 형제들의 불효를 듣게 되었다. 불호령이 떨어졌을 테고, 경연의 꾸짖음으로 새사람이 된 양수척은 어머니가 돌아가실 때까지 지극정성으로 모시며 효도를 다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온다.

어느 날 경연의 집으로 심부름을 갔던 양수척이 하룻밤을 묵으며 사람들에게 칭송받는 효자 경연의 행동을 지켜보게 되었다. 경연이 어른보다 먼저 이불 속에 들어가 눕는 것을 보고 처음에는 효자라면서 다른 게 뭐가 있느냐고 욕을 했다. 그런데 한참 후에 보니 경연이 자기가 누워있던 이불속으로 어머니를 모셔 주무시게 한다. 어머니가 편히 주무시게 하려고 온기로 이불속을 따뜻하게 하는 경연의 효행을 보고 그동안의 잘못된 행동을 뉘우쳤다는 이야기도 있다.

어머니가 병이 나자 양수척은 월운천 건너편 청주읍성 쪽에 있던 약방으로 급히 뛰어간다. 약을 지어 부지런히 집으로 향했지만 갑자기 쏟아진 폭우로 물이 넘쳐 월운천을 건널 수 없었다. 약봉지를 손에 든 양수척이 건너편의 집을 바라보며 어머니를 걱정하고 있을 때 갑자기 물길이 갈라져 어머니를 살릴 수 있었다. 하늘을 감동시킬 만큼 양수척의 효행이 지극정성이었고, 그 때 물이 1척만큼 벌어졌대서 수척(水尺)이라는 이름을 얻었다고도 한다.

'다북쑥도 삼밭에 나면 곧아진다'는 속담이 있다. 줄기가 곧지 못한 다북쑥도 줄기가 곧은 삼밭에서 자라면 같이 곧아지듯, 양수척도 이웃에 사는 경연의 효행을 보고 뒤늦게 효자가 되었다. 보고 배우는 환경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깨닫게 한다.

지금 세상에서는 이해하기 어렵지만 그 당시의 천민들은 성도 없이 돌쇠나 마당쇠로 불렸다. 양수척효자비는 조선시대 백정 신분으로서는 전국에서 최초로 받은 효자비라는데 의미가 크다. 그만큼 양수척의 효도가 많은 사람들의 귀감이 되었을 것이다.

천민 출신 양수척의 효행이 아니더라도 추워지면 자식의 안위부터 걱정하는 부모의 마음을 생각하며 안부전화라도 하면 얼마나 좋을까.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제 블로그 '추억과 낭만 찾기'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양수척효자비, #경연효비각, #효촌리, #비선거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스스로 행복을 만들어 내는 아름다운 일상은 물론 전국의 문화재와 관광지에 관한 사진과 여행기를 여러 사람과 공유하고자 합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