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전남 남서쪽 바닷가의 해남, 완도, 강진 등으로 여행가며 13번 국도를 달리면 기암괴석의 월출산이 가까이에서 한참동안 멋진 풍경을 보여준다. 부드럽게 이어지던 연봉들이 바다에 가로막히기 전 마지막 용틀임을 하며 만든 비경이 월출산이다.

월출산은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과 강진군 성전면에 걸쳐있는 천(千)의 얼굴을 지닌 돌산으로 높이에 비해 산세가 크고 수려하다. 산 전체가 수많은 기암괴석과 깎아지른 절벽이 만든 거대하고 아름다운 수석전시장이다. 매월당 김시습 등 시인 묵객들이 '남도에 그림 같은 산이 있다더니, 달은 하늘이 아닌 돌 사이에서 솟더라'고 칭송했을 만큼 남도의 소금강으로 손색이 없다.

기암절벽 위로 떠오르는 달의 모습이 얼마나 아름다우면 옛날부터 산의 이름에 '달이 뜨는 산'을 뜻하는 '월(月)'자가 붙었다. 백제와 신라시대는 월나산(月奈山), 고려시대는 월생산(月生山), 조선시대부터는 월출산(月出山)이라 불렀다.

월출산의 산줄기에 문화유적도 많다. 도선국사가 창건한 고찰 도갑사에는 해탈문(국보 제50호)·석조여래좌상(보물 제89호), 고적하면서도 아름다움이 빼어난 무위사에는 극락전(국보 제13호)·선각대사편광탑비(보물 제607호), 천황봉 정상 가까이에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월출산마애여래좌상(국보 제144호)이 있다.

지난 16일, 아들을 대동하고 청주의 '백두오름' 산악회원들과 월출산 산행을 다녀왔다.

금릉 경포대 입구
 금릉 경포대 입구
ⓒ 변종만

관련사진보기


월출산 산행의 들머리는 천황봉 북동쪽의 천황탐방지원센터, 서쪽의 도갑탐방지원센터, 남쪽의 경포탐방지원센터 방향으로 나뉜다. 그중 경포대지구 탐방로는 천황탐방지원센터 방향보다 정상까지의 오르막이 완만하고, 도갑탐방지원센터 방향보다는 거리가 짧아 비교적 산행이 쉽다. 주차장에 도착해 앞쪽의 야산을 바라보면 월출산의 기암절벽이 뒤편에서 고개를 내밀고 있다.

짐을 꾸리고 주차장에서 경포탐방지원센터-경포대계곡-경포대삼거리 기점-바람재-남근바위-천황봉-통천문-사자봉-구름다리-천황사-천황탐방지원센터-주차장으로 이어지는 산행을 시작한다.

경포대 삼거리까지 1.2㎞는 물이 졸졸졸 흐르는 금릉 경포대 계곡을 따라 완만한 흙길과 나무 계단이 이어지고 숲이 그늘을 만들어 월출산 탐방코스 중 가장 쉬운 구간이다. 금릉 경포대에서 금릉은 강진의 옛 이름이고, 경포대는 월출산에서 흐르는 물줄기의 모습이 무명베를 길게 늘어놓은 것처럼 보인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개 포'를 쓰는 강릉의 경포대(鏡浦臺)와 다르게 '베 포'를 쓰는 경포대(鏡布臺)다. 삼거리에서 오른쪽으로 가면 구름다리로 가는 지름길이고, 왼쪽으로 다시 1.2㎞를 산행하면 구정봉과 천황봉의 갈림길이 있는 바람재에 오른다.

바람재에서 남근바위까지
 바람재에서 남근바위까지
ⓒ 변종만

관련사진보기


바람재는 북쪽인 영암의 육지바람과 남쪽인 강진의 바닷바람이 넘나드는 큰 골짜기이다. 큰얼굴을 닮은 장군바위와 힘이 넘치는 남근바위가 좌우에 우뚝 서 있는데 전망대에 올라서면 각양각색의 바윗덩어리들이 사방에 층층이 늘어서 멋진 풍광을 펼친다. 남근바위를 지나며 뒤돌아보면 건너편의 바람재 방향에서 장군바위의 음굴이 살포시 모습을 드러낸다.

돼지바위
 돼지바위
ⓒ 변종만

관련사진보기


천황봉으로
 천황봉으로
ⓒ 변종만

관련사진보기


제각각 다른 모양을 하고 있는 바위들이 월출산의 주인공이다. 사람들은 이 바위들과 닮은 모습을 찾아내며 장군바위, 의자바위, 남근바위, 거북바위, 영암바위, 불상바위, 통천문 등 다양하게 이름을 붙였다. 그냥 지나치지 말고 바위의 이름을 생각해보면 더 재미있다. 능선을 가득 채운 기암괴석들이 수석전시장을 만들어 산행하는 내내 눈이 호강을 한다.

월출산의 최고봉인 천황봉(높이 809m)은 그리 높지 않다. 하지만 수면에서 바로 시작해 결코 얕잡아볼 수 없는 데다 돌길이 길게 이어지는 악산이라 몸이 고생을 한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이 국립공원의 탐방로를 '매우 쉬움', '쉬움', '보통', '어려움', '매우 어려움'으로 분류한 탐방로 등급제에서 월출산의 천황사-천황봉-도갑사(8.7km) 탐방로가 설악산 소공원-공룡능선-오색(22.1km), 지리산 종주코스(30.9km), 덕유산 종주코스(26.9km), 설악산 오색-대청봉(5km), 북한산 의상능선-구기동(6.4km) 탐방로와 함께 매우 어려운 등급으로 분류되었다.

천황봉
 천황봉
ⓒ 변종만

관련사진보기


주상절리를 닮은 바위기둥들이 피라미드처럼 솟아난 천황봉의 정상은 아래편에서 바라본 모습과 달리 평평한 암반으로 이뤄져 점심이나 간식을 먹으며 휴식하는 사람들이 많다. 정상에 해발 809m를 알리는 월출산천황봉 정상표석, 월출산소사지 표석, 월출산소사지(小祀址) 제단이 있다. 이곳의 산기운이 영험했나보다. 소사지는 나라와 백성의 평안을 빌며 하늘에 제사를 지내던 곳이다.

천황봉을 내려서면 구름다리와 바람폭포 방향으로 나뉘는 갈림길이 있고, 이곳에서 구름다리 방향으로 접어들면 통천문을 만난다. 통천문(通天門)은 월출산 최고봉인 천황봉을 지나 하늘로 통한다는 바위굴로 한 사람이 겨우 지날 만큼 좁다. 월출산은 온통 바위로만 이루어진 석화성이라 통천문을 지나 천황사 방향에서 바라본 암봉들도 모두 돌불꽃처럼 피어오른다.

구름다리
 구름다리
ⓒ 변종만

관련사진보기


사자봉을 옆에 끼고 내려가며 주변을 바라보면 사방이 온통 바윗덩어리다. 아찔한 경치만큼이나 급경사 계단을 내려가는 일이 쉽지 않다. '이곳으로 오르는 사람들은 얼마나 힘이 들까'를 생각하는데 멋진 풍경과 함께 구름다리가 모습을 드러낸다.

월출산의 구름다리는 시루봉과 매봉 사이를 잇는 현수교로 지상 120m 높이의 허공에 길이 54m, 너비 1m로 최대 200명이 양방향 통행을 할 수 있도록 튼튼하게 설치되었다. 손에 잡힐 듯 가깝게 보이는 영암의 넓은 들녘과 산줄기를 바라보며 구름다리를 걷는 재미가 월출산 산행의 또 다른 즐거움이다.

구름다리를 건너 아래로 내려오면 천황사와 바람폭포 방향으로 나뉘는 갈림길이 있다. 천황사는 사자봉 아래편에 있는 사찰로 신라 말에서 고려 초에 창건되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1597년 정유재란 때 소실되어 1646년 중창을 했다지만 규모가 작고 쓸쓸하다.

천황사에서 탐방안내소를 거쳐 주차장까지의 도로변에 막바지 단풍이 가는 가을을 아쉬워하며 알록달록 멋진 풍경을 만들었다. 따뜻한 순두부와 하산주로 산행의 피로를 풀고 청주로 향했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제 블로그 '추억과 낭만 찾기'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영암, #월출산, #천황봉, #천황사, #금릉 경포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스스로 행복을 만들어 내는 아름다운 일상은 물론 전국의 문화재와 관광지에 관한 사진과 여행기를 여러 사람과 공유하고자 합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