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반핵부산시민대책위원회는 29일 오전 부산 기장군 한국수력원자력 고리본부를 찾아 고리1호기 고장에 우려를 전하고 노후 원전인 고리1호기의 즉각 폐쇄를 촉구했다.
 반핵부산시민대책위원회는 29일 오전 부산 기장군 한국수력원자력 고리본부를 찾아 고리1호기 고장에 우려를 전하고 노후 원전인 고리1호기의 즉각 폐쇄를 촉구했다.
ⓒ 반핵부산시민대책위

관련사진보기


부산 기장군에 위치한 고리원자력발전기 1호기가 대정비 50일 만에 사고로 멈춰서면서 지역 여론이 들끓고 있다. 반핵 시민단체는 물론이고 지역 언론까지 등을 돌리면서 수명을 연장해 운영해온 고리1호기의 재가동 명분도 점차 사라지고 있다.

29일 오전에는 61개 부산지역 반핵관련단체가 모인 반핵부산시민대책위(아래 대책위)가 한국수력원자력 고리본부를 찾아 고리1호기의 즉각 폐쇄를 강도 높게 요구했다. 이들은 국내 최장수 원전인 고리1호기가 잇따라 멈춰서는 것을 원전의 위험신호로 해석했다.

대책위는 "한수원은 아직까지 고리1호기가 멈춰선 정확한 원인을 찾지 못하고 있다"며 "이는 고리1호기가 그만큼 낡아 더 이상의 가동은 위험하다는 신호로 해석해야 함을 뜻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들은 "더 이상의 무리한 가동은 후쿠시마와 같은 대 참사로 이어진다"고 경고했다. 대책위는 "예측하지 못한 상황에서 핵발전소 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비리는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다"는 우려를 전했다. 이들은 "여름과 겨울철 전력대란이 일어나는 것은 한수원의 비리와 정부 당국의 전력수급 전략의 실패 때문"이라며 "더 이상 한수원의 고질적 비리와 안전 불감증, 정부의 정책적 모험을 부산, 울산 시민들의 희생과 부담으로 지속해서는 안 된다"고 덧붙였다.

한국수력원자력이 고리1호기의 수명연장 명분으로 내세운 1488억 원의 경제 이익 보다도 잇따른 사고 수습 비용이 더 크다는 주장도 나왔다. 대책위는 "지난 2011년과 2012년의 예상치 못한 사고로 수개월 동안 고리1호기의 운영이 중단되면서 수천억의 추가 비용이 발생하였다"면서 "여기에 핵발전소 폐로 비용이 점차 현실화 되면서 이미 고리1호기는 수명 연장으로 인한 이익이 손실로 다 사라진 상태"라고 전했다.

국민 77.7% "원전 불안"... 지역 언론 "고리 1호기 폐쇄해야"

반핵단체 뿐 아니라 원전을 향한 일반 국민의 시선도 싸늘하게 변하고 있다. 환경운동연합이 이날 발표한 설문조사 결과 국민의 77.8%가 정부의 원전 안전성에 우려를 나타냈다. 원전 정책에 대한 불신감(53.9%)도 상당했다.

지역 언론도 한국 전체 발전설비의 0.7%에 그치는 고리1호기를 무리해가면서 가동할 필요가 있냐는 인식에 함께하고 있다. <부산일보>는 29일자 사설 '사고뭉치 고리1호기 재가동 재고할 때다'에서 "시민단체들이 고리 1호기의 '명예로운 은퇴'를 주장하고 나선 것도 결코 무리가 아니다"고 거들었다.

<부산일보>는 "일본 후쿠시마 사고 이후 독일이 원전 완전 폐기 정책을 채택하는 등 탈원전은 세계적 추세"라며 "우리나라의 에너지 수급 형편상 당장 원전을 폐기하기는 어렵겠지만 설계수명이 다한 원전만이라도 즉각 폐쇄하는 문제를 진지하게 고민할 때"라고 밝혔다.

지역 언론인 <국제신문>도 고리1호기 폐쇄를 외쳤다. 신문은 "수명이 다해 걸핏하면 고장을 일으키는 원전에 수천억 원의 수리비를 들여가며 굳이 재가동해야 하는지 근본적인 의문을 다시 재기하지 않을 수 없다"면서 "고리 1호기는 정비나 수리가 아니라 완전 폐쇄가 필요한 노후 원전"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고리1호기는 지금까지 130회 고장으로 발전을 정지해 국내 원전 중 가장 많은 발전정지 기록을 갖고있다. 2008년 수명 연장 이후에도 그해 8월 송전선로 낙뢰 피해로 원자로 냉각 펌프가 정지한 데 이어 2010년 역시 낙뢰로 원자로가 자동 정지했다. 2011년 4월에는 차단기 고장으로 터빈과 발전기가 멈췄고, 2012년 2월에는 계획예방정비 도중 전원을 상실하는 사고도 발생했다. 이후 대대적인 정비를 마친 고리1호기는 다시 지난 28일 터빈 계통 고장으로 추정되는 사고가 발생하며 멈춰 선 상태다.


태그:#고리1호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