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지난해 12월 21일 오후 3시 50분쯤 울산 남구 공업탑로터리 부근 2개차로를 점령하고 철도민영화 중단과 박근혜 정부 규탄 거리행진을 벌이고 있는 울산지역 야당과 노동계, 시민사회단체 회원. 이들 지역의 시민사회가 '의료영리화저지 울산대책위원회'를 발족해 만영화 저지 시민행동을 해 나가기로 했다.
 지난해 12월 21일 오후 3시 50분쯤 울산 남구 공업탑로터리 부근 2개차로를 점령하고 철도민영화 중단과 박근혜 정부 규탄 거리행진을 벌이고 있는 울산지역 야당과 노동계, 시민사회단체 회원. 이들 지역의 시민사회가 '의료영리화저지 울산대책위원회'를 발족해 만영화 저지 시민행동을 해 나가기로 했다.
ⓒ 박석철

관련사진보기


박근혜 정부가 철도민영화에 이어 의료민영화를 시도할 움직임을 보이자 울산지역 시민사회가 이에 반발하며 '의료영리화저지 울산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를 발족, 범시민 저지행동에 나서기로 했다.

대책위에는 야당을 비롯해 울산여성의전화, 울산YMCA, 울산YWCA, 울산시민연대, 울산환경운동연합, 참교육학부모회울산지부, 흥사단울산지부 등으로 구성된 울산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건강단체, 노동계, 생협단체 등 30여 개 단체가 참여한다.

이들은 22일 오후 2시 울산시청 프레스센터에서 '의료영리화 저지 울산대책위' 발족 기자회견을 열고 범시민적 반대 행동에 대한 앞으로의 계획을 밝혔다.

울산지역 야권과 시민사회는 대책위 발족을 하루 앞둔 21일 성명을 내고 "박근혜 정부는 산업 합리화라는 미명 아래 각 부분의 민영화를 시도하고 있다"며 "철도민영화에 이어 이제는 국민의 건강권을 위협하는 의료에 대한 영리화 시도를 노골화 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어 "지난해 12월 13일 박근혜 정부는 '4차 투자활성화 대책'을 발표했다"며 "그 내용을 살펴보면 '영리 자회사 설립 허용, 부대사업 전면 확대, 의료기관 인수 합병 허용, 영리법인약국 허용' 등 의료 영리화를 부추기는 온갖 독소조항으로 가득차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박근혜 정부는 의료법 개정 등이 필요하다는 야당과 시민사회의 요구에는 아랑곳 하지 않은 채, 정부가 마음대로 바꿀수 있는 시행령 등의 개정을 통해 의료영리화 정책을 그대로 추진할 태세"라며 "의료영리화 정책이 이대로 추진된다면 가뜩이나 열악한 대한민국의 공공의료상황은 후퇴되고, 돈이 없어 진료를 받지 못하는 상황은 더욱 심각해 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우려했다.

이어 "이에 대해 울산지역의 제정당·시민사회단체·보건의료단체들은 박근혜 정부의 의료영리화 시도에 맞선 지역차원의 반대활동을 진행할 '의료영리화저지 울산대책위'를 구성한다"며 "전국 차원에서 진행되는 의료영리화 저지를 위한 국민행동에 함께 할 것을 결의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의료영리화저지 울산대책위원회에 참여하는 단체는 아래와 같다.

(가)울주아이쿱생협(준)․건강사회를위한약사회울산지부․건강사회를위한치과의사회울산지부․공공운수노조울산대학교병원분회․공공운수노조울산본부(사회보험울산)․노동당울산시당․더불어숲․민주노총울산지역본부․민주당울산시당․보건의료노조(동강병원지부․울산병원지부)․울산산재추방운동연합․울산시민아이쿱생협․울산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울산여성의전화, 울산YMCA, 울산YWCA, 울산시민연대, 울산환경운동연합, 참교육학부모회울산지부, 흥사단울산지부)․울산아이쿱생협․울산여성회․울산인권운동연대․울산해오름아이쿱생협(준)․전교조울산지부․통합진보당울산시당․평화와건강을위한울산의사회



태그:#울산시민사회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울산지역 일간지 노조위원장을 지냄. 2005년 인터넷신문 <시사울산> 창간과 동시에 <오마이뉴스> 시민기자 활동 시작.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