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거리 사회학은 스마트폰에 잡힌 우리 사회의 보편화된 인식이나 현상을 다루는 칼럼입니다. [편집자말] |
정이란 무엇일까받는 걸까 주는 걸까 받을 땐 꿈속 같고 줄 때는 안타까워….조용필이 오래 전에 부른 <정>이라는 노래는 이렇게 시작된다. 말 그대로 '정'이란 무엇일까. 예를 들어 정의를 내리면 이런 식이 되겠다.
택시비가 4700원이면 5000원 내고 잔돈은 사양하는 것, 반대로 4200원쯤 나왔을 때 손님이 5000원짜리를 주면 천 원을 거스름돈으로 주는 것, 그런 게 정이다. 주는 건지 받는 건지 묻거나 따질 필요가 없다. 서로 주면 서로 기쁘게 받는 게 '정'이기 때문이다.
'정'은 생기기도 하고, 붙기도 한다. 쏟기도 하고, 흐르기도 하며, 깊어지기도 하는 게 '정'이다. 떨어질 때도 있다. 남녀가 헤어질 때는 일부러 미운 짓만 골라 해서 '정을 뗀다'. '정나미'가 떨어지게 하고 싶어서다. 그게 좀 심해지면 '오만정'이 다 떨어진다.
'정'도 종류가 다양하다. '덧정'은 '덧니'처럼 '더해지거나 덧붙은 정'이다. 한 곳에 정이 붙으면 그 주변 것까지 사랑스럽게 여겨지는 것이다. '마누라가 예쁘면 처갓집 말뚝을 보고도 절을 한다'라는 말이 있는데, 이것도 일종의 '덧정'이다.
'따뜻한 정'은 '온정'이고, 그게 뜨거워지면 '열정'이 된다. 물론 어느 순간 그 따뜻함이 식어 버리면 '냉정'해진다. '미운 정'도 있고, '고운 정'도 있다. 그런데 미운 정이 지나치면 정이 거꾸로 흘러서 크게 화를 내게 되는데, 그게 바로 '역정'이다.
'초코파이' 하면 맨 먼저 떠오르는 것이 그림에 적혀 있는 '情'이다. 이 '정'은 '떼려는' 정이 아니다. '냉정'도 아니고 '역정'은 더욱 아니다. 그야말로 '온정'이다. 서로 상대에게 먼저 주고 나중에 받으면서 친근감을 높이는 바로 그런 정인 것이다.
이 초코파이가 한때 개성공단 북한 근로자들에게 요즘말로 '인기 캡'이었단다. 북한에는 초콜릿 수입이 안돼서 그런 걸 먹을 기회가 없었을 뿐 아니라, 달콤한 간식류는 자본주의 산물이라고 못 만들게 했기 때문에 세상에 처음 보는 초코파이 맛에 다들 홀딱 반했던 모양이다.
최근에는 그게 북한 근로자들 평균 임금의 거의 1/10에 달하는 10달러에 암거래되고 있다는 소식도 들린다. 우리에게는 흔해 빠진 초코파이에 그렇게들 매달리고 있다는 게 한편으로는 가슴이 아프다. 그래서인가. 이산가족 상봉 자리에 남쪽 형제가 꼭 챙겨가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초콜릿이란다. 이 또한 통일이 시급한 이유 중 하나일 것이다. 그런데….
우리나라 역사상 최초의 여성 대통령인 그 분이 얼마 전에 청와대 춘추관에서 열린 신년기자회견 자리에서 '통일은 대박'이라고 힘주어 강조했단다.
엥? 남북통일이 '대박'이라고? '대박'은 흥행에 성공해서 큰돈을 벌어들인 일을 가리키는 말 아닌가? 그것도 카지노 같은 도박판에서 주로 쓰는…? 한 나라의 대통령이 외신기자들까지 모여 있는 자리에서 어찌 그런 천박한 언사를, 그것도 '통일'이라는 엄청난 일을 두고….
하마터면 정나미가 떨어지다 못해 오만정까지 다 떨어질 뻔하지 않았는가. 그런데 혹시…? 아, 알겠다. 이해하고도 남겠다. 속 다르고 겉 다른 것이다. 말만 번지르르했지 진정으로 통일할 생각은 요만큼도 없는 것이다. 냉전시대의 남북 대결구도를 은근슬쩍 고착시키고 싶은 것이다. 그래야 '빨갱이'와 '종북' 프레임의 효능을 연장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앞서 봤던 <정>이라는 노래는 이렇게 끝난다.
정을 쏟고 정에 울며살아온 내 가슴에 오늘도 남 모르게 무지개 뜨네…누군가에게 쏟든, 아니면 그로 인해 울든, 주든 받든 결국은 무지개로 뜨게 되어 있는 게 바로 '정'이다. 통일은 그림 속의 '情'처럼, 지난 민주정부 시절에 그랬듯이, 북에 대한 적대감을 버리고 '온정'에 '덧정'을 더해가면서 추진해야 하는 것 아닌가 싶다.
대통령도 정치인도 아닌 그저 보통사람들 생각에 남북통일이란 한 민족 동포끼리 언제 어디서든 자유롭게 만나서 정이 듬뿍 담긴 초코파이를 마음껏 나눠먹을 수 있게 되는 것을 이르는 말일 것이다. 그게 남북통일이 우리에게 주는 진정한 '대박' 아닐까?
덧붙이는 글 | 송준호님은 우석대 문예창작과 교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