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김명수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13일 오후 서울 강서구 화곡동 자택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김 후보자는 서울대 사범대 교육학과를 나와 한국교원대 교수를 지내면서 현재 한국교육학회장을 맡고 있다.
 김명수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13일 오후 서울 강서구 화곡동 자택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김 후보자는 서울대 사범대 교육학과를 나와 한국교원대 교수를 지내면서 현재 한국교육학회장을 맡고 있다.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김명수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후보자가 공동 연구물을 단독 연구물로 등재해 연구 실적을 부풀렸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앞서 제자 논문 표절 논란과 제자 연구비를 가로챈 의혹까지 제기돼 김 후보자 사퇴 요구가 점점 커지고 있다.

18일 유기홍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에 따르면 김 후보자가 2명에서 4명의 연구자와 함께 진행한 연구 실적 4건을 KRI(한국연구업적통합정보시스템)에 자신의 단독 연구인 것처럼 등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논문 표절 등 도덕성 논란 확대돼

관련 연구 실적은 4건이다. 지난 1998년 작성된 '대안교육운동 탐색에 관한 연구'로 김 후보자와 또 다른 김아무개 저자 2인연구인데, KRI에는 김 후보자 단독 연구로 등록돼 있다. 또 지난 2012년 나온 '핀란드 교원양성과정의 특징과 시사점'은 3명의 공동연구이지만 KRI에 김 후보자 단독 연구로 등록됐다.

2003년 당시 교육인적자원부 용역사업인 '수업실기능력 인증제 도입연구'는 공동연구원이 4명이지만 KRI에도 단독연구로 등록됐다. 마지막으로 2002년 김 후보자 제자의 석사 학위 논문을 학내 학술지에 공동 기재하면서 연구 성과는 단독으로 등록했다.

연구자들이 KRI에 직접 입력한 연구 실적은 한국연구재단의 승인을 거쳐 대학정보공시에서 확인돼 전임교원의 연구 실적으로 인정된다. 아울러 교육부의 대학평가와 교수 개인평가에도 반영된다.

이에 대해 유기홍 의원은 "제자 논문성과를 가로채기한 것도 비도덕적이지만 더 심각한 것은 공동연구 성과를 단독연구인 것으로 둔갑시킨 것"이라며 "상습적이고 고의적이기때문에 사회부총리로서 자격은 없다"며 자진 사퇴를 요구했다.

김 후보자는 지난 2002년 자신이 지도한 제자의 석사학위 논문을 요약해, 같은 제목으로 한국교원대가 발행하는 학술지에 게재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또 <경향신문>은 18일자 보도를 통해 김 후보자가 제자 논문을 요약해 본인 명의로 학술지에 발표하고 총 1000만원의 학술연구비까지 받아 챙긴 사실을 보도했다. 이에 대해 김 후보자는 "학술지원비를 받은 것은 사실"이라며 "계속 얘기하면 논란만 될 뿐이다, 인사청문회에서 소상히 밝히겠다"고 해명했다.


태그:#김명수, #논문 표절, #실적 부풀리기, #연구비 가로채
댓글3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