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전 세계에서 자살 증가율 2위에 오르는 불명예를 얻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4일(현지시각) 스위스 제네바의 유엔 유럽본부에서 기자회견 열고 전 세계 자살률 연구 결과와 자살 방지에 관한 첫 번째 공식 보고서를 발표했다.
WHO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에서 매년 80만 명 이상이 자살하며 이는 40초마다 한 명꼴이다. 또한 전체 자살 가운데 약 75%가 중진국이나 저소득 국가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WHO의 172개 회원국 중 인구 30만 명 이상 국가의 2000년과 2012년의 자살률을 비교한 부분에서 한국은 2000년 인구 10만 명당 자살로 사망하는 사람이 13.8명이었으나 2012년에는 28.9명으로 늘어나 자살률이 109.4%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2000년 자살자가 10만 명당 1.3명에서 2012년 4.7명으로 269.8% 증가한 키프로스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치다. 그러나 키프로스의 10만 명당 자살자는 2000년과 2012년 모두 5명 이하로 한국의 자살 증가는 훨씬 심각한 문제로 나타났다.
"모두가 쉬쉬하는 자살, 이제 행동에 나설 때"마거릿 챈 WHO 사무총장은 "자살은 공중보건의 가장 큰 위협이지만 오랫동안 각국이 금기시하며(taboo) 감추려고 했다"며 "높아지는 자살을 줄이기 위한 국제사회의 구체적 행동을 촉구하기 위해 이 보고서를 발표하게 됐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자살은 전 세계적으로 거의 모든 연령에서 나타나는 현상이고, 특히 70세 이상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다. 하지만 최근 일부 국가에서는 젊은 인구에서도 자살이 늘어나고 있으며, 특히 세계적으로 15~29세에서는 자살이 두 번째로 높은 사망 원인이다.
또한 선진국은 남성이 여성보다 3배 이상 자살률이 높고, 50세 이상 인구가 자살에 취약하지만 중진국이나 저소득 국가에서는 청소년과 고령 여성의 자살이 선진국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자살 위험성이 가장 큰 부류는 이미 자살을 시도한 경험이 있는 사람들이라며 자살에 실패했더라도 지역사회나 의료진이 전화나 가정 방문을 통해 지속적으로 접촉하며 후속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미디어가 자살 사건을 보도할 때는 선정적인 용어 사용을 자제하고, 자살 방법을 너무 구체적으로 묘사하지 않는 것도 자살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독극물과 같은 자살 수단에 대한 접근을 철저히 제한하고, 정신적 고통에 시달리는 사람을 조기에 발견해 보건 당국이나 지역 사회가 관리하는 것도 자살을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세카르 사세나 WHO 정신건강·약물남용국장은 "WHO가 자살에 관해 처음으로 발표한 이 보고서는 자살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예방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며 "이제 자살을 막기 위한 구체적 행동에 나설 때"라고 호소했다.
WHO는 "자살을 금기시하는 일부 국가는 자살 현황을 투명하게 보고하지 않은 경우도 있다"며 "정확한 출생, 사망 신고를 근거로 자살률 통계를 밝힌 국가와 그렇지 않은 국가 등 4개 종류로 나눠 통계를 산출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