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 정치선임기자인 장윤선 기자가 진행하는 <장윤선의 팟짱>은 '정보가 있는 시사토크 프로그램'으로 매주 평일 낮시간대에 청취자들을 찾아간다. <팟짱>은 문희상 새정치연합 비상대책위원장을 만나 비상대책위 구성과 향후 당의 진로를 비롯해 최근 여야합의가 이뤄진 세월호 특별법에 대해 얘기해본다. [편집자말]
문희상 새정치연합 비대위원장이 7일 <장윤선의 팟짱>에 출연하고 있다.
 문희상 새정치연합 비대위원장이 7일 <장윤선의 팟짱>에 출연하고 있다.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문희상 새정치민주연합 비상대책위원장은 취임 후 약 2주 동안 당에 많은 변화를 이끌었다. 우선 여전히 유가족들의 양해를 구하는 일이 남아 있기는 하지만 정국을 꽉 막고 있던 세월호 특별법 여야 협상을 타결했다. 멈춰있던 국회도 정상화 됐다. 국정감사가 실시되고 예산인 심사도 진행될 전망이다. 또 당의 당무위원을 임명하고 혁신위원회를 운영하는 등 당 정상화에도 진전을 이루고 있는 상태다.

문 위원장은 7일 방송된 <오마이뉴스> 데일리 팟캐스트 <장윤선의 팟짱>에 출연해 취임 후 15일 동안 진행된 일들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지난 2012년 대선에서 패한 직후에도 비상대책위원장을 맡았던 그는 "그때보다 더 위기다. 당시에는 대선에 패하기는 했지만, 48.5%를 얻었을 정도로 당에 대한 애정인 식지 않았다"라며 "11:4(재보선 결과)라는 수치를 떠나 호남에서도 의석을 잃었다. 이건 절망에 가까운 것"이라고 진단했다.

문 위원장은 문재인·정세균·박지원 의원 등 차기 당권주자로 나설 가능성이 높은 인사들로 비상대책위를 구성한 것과 관련해 "당권이니 대권이니 모두 당이 있어야 한다. 침몰하는 배에서 선장이 되려고 싸우는 것처럼 어리석은 사람은 없다"라며 "당이 이렇게 된 것에 전 대표들로서 책임감을 느껴야 하는 사람들로 구성했다. 당 대표 경선레이스가 시작되는 순간, 출마할 사람들은 다 그만두기로 합의했다"라고 밝혔다.

비상대책위원회 구성의 단초를 제공한 김한길·안철수 전 공동대표에게도 비상대책위원 참여를 요구한 것과 관련해 "지금까지 당을 이끌었던 사람이 책임을 회피하는 건 도망치는 일이다"라며 "야당 지도부가 대표급들이 모여 한꺼번에 당을 생각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고, 전무후무 한 일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최근 안 대표가 비대위 참여 가능성을 내비친 것에도 "아주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평했다.

그는 비상대책위원회 구성이 당내 계파연합이라는 비판에 "계파라는 말 자체에 거부 반응을 가지는 걸 이해하기 어렵다. 모든 민주 정당에서 계파나 계보는 있을 수 있다"라며 "문제는 특정 계파가 이익을 독차지 하고, 당권을 계속 쥐려고 하고 자기 계파만 챙기는 계파패권주의와 계파 이기주의가 문제"라고 말했다. 이어 "이번 비상대책위원회는 공정함을 최우선가치로 놓고 운영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 국회 개헌 논의 봉쇄해서는 안돼"

문희상 새정치연합 비대위원장이 7일 <장윤선의 팟짱>에 출연하고 있다.
 문희상 새정치연합 비대위원장이 7일 <장윤선의 팟짱>에 출연하고 있다.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문 위원장은 최근 모바일투표 재도입 논란에 관해서도 "오해였다"라고 재확인했다. 그는 "모바일 투표는 지난번 전당대회에서 다시 하지 않기로 못박았다. 당헌에도 그렇게 돼 있다"라며 "그걸 다시 시행하려면 당헌을 바꿔야 하고 많은 토론을 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비밀투표가 보장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위헌요소도 있다고 결론이 났다"라며 "위법적인 것을 당내 행사라고 그냥 할 수는 없다"라고 말했다.

그는 최근 원혜영 의원(혁신실천위원장)이 오픈 프라이머리를 전격적으로 수용하겠다고 말한 것과 관련해 "무엇보다 당원 관리를 철저히 해서 기본을 만들어야 한다"라며 "외연확장은 당의 두 번째 책무로 그걸 마다해서는 안 된다"라고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러면서 "모바일 투표나 오픈 프라이머리 모두 기본적으로 우리가 나아갈 방향이지만, 공정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을 수 있다"라며 "합의가 된다면 문제가 없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제도를 신중하게 만들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오픈 프라이머리를 도입할 경우 정치 신인이 불리해진다는 지적에도 문 위원장은 공감의 뜻을 표했다. 그는 "선거제도를 바꿔야 하고, 근본적으로 개헌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라며 "권력구조를 개편해 제왕적 대통령제의 권위주의 요소를 배제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개헌 논의를 곧 시작해야 한다"라며 "금년 안에 국회에 개헌특위라도 만들어야 내년에 본격적인 논의가 가능하다"라고 말했다.

문 위원장은 박근혜 대통령이 개헌논의에 소극적이고 경계하는 태도를 보이는 것과 관련해 "(개헌논의가) 블랙홀이 돼서 경제활성화에 어려움을 줄 것이라는 우려를 이해한다"라며 "그렇지만 개헌 논의는 국회에서 할 수 있는 일이다. 대통령이 그것 자체를 봉쇄하는 것은 옳지 않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국회가 하지 못하게 막는 건 삼권분립을 크게 위반하는 것이고 여당을 대통령의 시녀로 만드는 것"이라며 "그런 사태가 오지 않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한편, 문 위원장은 최근 여야가 합의한 세월호 특별법과 관련해서도 단호한 태도를 보였다. 그는 "합의는 끝났다. 쟁점에 대해 합의했기 때문에 더 이상의 합의를 할 수는 없다"라며 "유가족들의 완벽한 동의를 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더 고칠 수는 없다"라고 말했다. 이어 "특검군 4인을 뽑는데 유가족이 끼지 않더라도 우리가 유가족의 뜻을 100% 수용해 부동의 하면 된다, 내용상 유가족이 참여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라며 "최선을 다하겠지만, 합의 선언을 깨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 아이튠즈에서 <장윤선의 팟짱> 듣기
☞ 오마이TV에서 <장윤선의 팟짱> 듣기
☞ 팟빵에서 <장윤선의 팟짱> 듣기


태그:#문희상, #새정치연합, #박근혜, #세월호, #특별법
댓글12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