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박근혜 대통령이 29일 오전 국회 본회의장에서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대한 시정연설을 마치고 환하게 웃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이 29일 오전 국회 본회의장에서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대한 시정연설을 마치고 환하게 웃고 있다.
ⓒ 공동취재사진

관련사진보기


박근혜 대통령이 29일 취임 후 두 번째 시정연설을 했다. 대통령은 시정연설을 통해 내년도 예산안의 의미와 국정운영 청사진을 설명하고 입법부의 협조를 구한다.

역대 정권에서는 총리가 시정연설문을 대독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박 대통령은 취임 첫해였던 지난해에도 국회를 직접 찾아 시정연설을 했다. 두 해 연속 직접 국회를 찾은 건 박 대통령이 처음이다. 

청와대는 "국회 존중의 의미로서 총리 대독 관행에서 벗어나 매년 정기국회 때마다 직접 국회에서 시정연설을 하겠다는 약속을 지키는 것"이라며 의미를 부여했다.

시정연설 읽는 데만 40분... 핵심 메시지는 '경제'

박 대통령의 이날 시정연설은 원고지 86장 분량으로 연설문을 읽는 데만 40분 가까이 걸렸다. 가장 많이 언급된 단어는 '경제'로 59번이었고 '국민'이 30번, 혁신과 개혁이 합쳐서 25번, '안전'이 19번, 성장이 15번 언급됐다. 

박 대통령의 이날 시정연설을 관통하는 핵심 메시지는 경제였던 셈이다. 박 대통령은 이날 우리 경제 상황에 대한 우려, 경제 회복을 위한 재정확대의 필요성과 정치권의 협조 당부에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또 경제 관련 법안과 정부조직법의 조속한 처리, 한·캐나다 및 한·호주 자유무역협정(FTA)의 국회 비준도 요청했다.

여기에 뜨거운 현안인 공무원연금 개편과 안전 문제 등도 비중 있게 언급됐다. 또 공분을 사고 있는 방위산업 관련 비리에 대해서도 '이적행위'로 규정하고 뿌리 뽑겠다는 의지도 내비쳤다.

하지만 이날 시정연설에서도 불리한 이슈를 외면하는 모습은 여전했다. 37분간 이어진 연설에서 박 대통령은 '세월호'라는 단어를 단 한 차례도 입에 올리지 않았다. 또 세월호 희생자 유가족들에 대한 언급도 없었다.

박근혜 대통령이 29일 오전 시정연설을 위해 국회의사당을 방문했지만, 면담을 요구하며 의사당 입구에서 울부짖는 세월호참사 유가족들 에게는 시선조차 주지 않은 채 외면했다. 사진 왼쪽은 도착, 오른쪽은 떠날 때 모습.
▲ 유가족 외면하는 박근혜 대통령 박근혜 대통령이 29일 오전 시정연설을 위해 국회의사당을 방문했지만, 면담을 요구하며 의사당 입구에서 울부짖는 세월호참사 유가족들 에게는 시선조차 주지 않은 채 외면했다. 사진 왼쪽은 도착, 오른쪽은 떠날 때 모습.
ⓒ 이희훈/공동취재사진

관련사진보기


세월호·전작권 공약 파기... 듣고 싶은 이야기는 없었다

김영란법(부정청탁금지 및 공직자의 이해충돌방지법 제정안), 유병언법(범죄수익은닉의 규제 및 처벌 등에 관한 법률 개정안)에 대한 조속한 처리를 주문한 반면, 세월호특별법은 뺐다. 이날 시정연설에서 '세월호'라는 단어는 '금기어'였다. 박 대통령은 국회 밖에서도, 또 안에서도 세월호 유가족들을 외면한 셈이 됐다.

특히 대선 공약 파기라는 비판을 받고 있는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 환수 무기한 연기에 대해서도 박 대통령은 침묵했다. 박 대통령이 전작권 환수를 미루는 이유에 대해 국민들에게 직접 설명하고 결과적으로 약속을 어긴 것에 대해 사과를 하거나 최소한 유감 표명을 해야 한다는 여론은 묵살됐다.

박 대통령이 2년 연속 국회를 찾았지만, 이날 시정연설은 청와대 참모들과 국무위원들 앞에서 하고 싶은 이야기만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수석비서관회의나 국무회의의 '국회 버전'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태그:#박근혜, #시정연설
댓글2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