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12월 1일부터 오는 12일까지, 기후변화의 위기로부터 지구와 인류를 구할 논의 테이블인 제20차 유엔기후변화 당사국총회(COP20)가 진행된다. 이번 회의는 선진국만이 아닌 개도국을 포함하여 온실가스 감축의무를 부담하는 Post-2020 신기후체제를 마련하는 기한을 불과 1년을 앞두고 있어, 장기감축목표설정, 기후재원, 손실과 피해 보상 등에 관한 중요한 쟁정 사항에 관한 논의가 진행된다. 국회기후변화포럼은 지난 7월 기후변화 아카데미를 통해 선발된 13명의 학생들을 COP20 참관단으로 파견하였다. 페루 리마 현장에서 국회기후변화포럼 COP20 참관단 학생들의 생생한 현장 소식을 들어본다. - 기자 말

둘째 날 아침, 첫 날의 설레임과는 또 다른 느낌의 발걸음으로 총회장으로 향하였습니다. 아침 8시부터 열린 청년들의 단체인 YOUNGO(Youth Organization) 회의에 참가하기 위하여 다른 날보다 일찍 서둘렀습니다.

청년들이 스스로 의제를 정하고, 의견 제시와 투표 과정을 거치며 회의하는 모습이 인상 깊었습니다. 비록 회의 중간 중간에 의견이 부딪혀서 시간이 지체되고 갈등이 유발되는 경우도 있었지만, 세계 각국 청년들이 기후변화 문제에 다시 한번 고민하고 의견을 제시하는 모습에서 미래의 희망적이고 전진된 기후변화 협약 회의의 모습을 상상해 볼 수 있었습니다.

아침 8시 마추피추 룸에 모여 YOUNGO 회의가 진행되고 있다.
▲ YOUNGO 회의 아침 8시 마추피추 룸에 모여 YOUNGO 회의가 진행되고 있다.
ⓒ 나혜윤

관련사진보기


'YOUNGO' 회의 이후, ADP(더반플랫폼) 시작 회의에 참석을 하였습니다. 이는, 기후변화협약이 2015년 COP21파리 회의로 가기 위하여 중요한 이정표의 역할을 하고 있는 회의입니다. 비슷한 이해 관계의 국가별로 2015년도에 어떠한 방향으로 회의가 진행되어야 하는지 의견을 제시하는 모습을 보여 주었습니다.

ADP 의장이 회의를 진행하고 있다.
▲ ADP Opening Session ADP 의장이 회의를 진행하고 있다.
ⓒ 나혜윤

관련사진보기


개발도상국가의 전반적인 입장은 기후변화 완화에 대한 법적 구속력을 가지는 프로토콜을 마련해야 된다는 것이었습니다. 또한, 온실가스 배출의 역사적 책임이 있는 선진국의 경우에는 개발도상국이나 군소도서국가에게 재정적인 지원과 능력 배양(capacity building)을 통해 형평성을 맞추는 게 중요하다고 하였습니다.

볼리비아 대표가 ADP 관련 입장을 발표하고 있다.
▲ ADP Opening Session 볼리비아 대표가 ADP 관련 입장을 발표하고 있다.
ⓒ 나혜윤

관련사진보기


특히, 대표적인 남태평양 8개국 중의 하나인 나우루국(Nauru)의 입장이 인상적이었습니다. 나우루국은 기후변화의 영향과 피해가 다른 나라보다 극심한 만큼 각국의 적극적인 감축 의지를 요구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현재 대기의 온도 상승에 대한 장기적인 목표를 산업화 이전 대비2℃ 이하로 억제하기로 하였지만, 이들에게는 2℃ 목표 역시 많은 기후변화 피해를 야기시키므로 1.5℃ 이하로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습니다.

또한  '손실과 피해(Loss and Damage)'가 적응의 틀에서 벗어나 새로운 틀로서 역할을 해야 하며, 이를 위한 새로운 장기적 재원을 마련하여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에 취약한 국가들에게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함을 강조하였습니다.

전반적으로 각국의 입장을 들어본 결과, 최근 미국과 중국이 발표한 온실가스 자발적 감축 목표(INDCs)가 개도국의 입장에 많은 영향을 미친 것 같습니다. 온실가스 주요 다배출국인 미국과 중국이 최근에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움직임을 보였는데, 미국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25년까지 2005년 대비 26-28%를 감축하겠다 밝혔고, 중국은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의 정점을 찍고 감축에 들어가겠다고 선언하였습니다.

기후변화 대응에 있어 움직임이 거의 없었던 미국과 중국의 이러한 최근 행보는 특히 개도국에게 기후변화 대응에 적극적으로 동참하자는 메시지를 전달해준 것 같습니다. 이제 이러한 각 입장들을 가지고 어떻게 합의를 하고 COP20 에서 마무리를 잘 지을 수 있을지 계속해서 지켜봐야 할 것입니다. 이번 총회에서는 ADP 에 관한 내용을 잘 마무리해서 실제 각 국가들이 행동으로 나타낼 수 있도록 촉구해야 할 것입니다.


태그:#국회기후변화포럼, #페루, #리마, #ADP 세션, #YOUNGO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