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최저임금위원회가 2016년 최저임금을 6039원(시급)으로 결정하자 노동·진보단체가 비난하고 있다. 최저임금위원회는 내년도 최저임금을 전년도 대비 8.1% 인상하기로 했지만, 그동안 노동계가 제시해온 1만 원에 많이 밑도는 수준이다.

9일 경남민주행동(위원장 이정희)은 "사장님, 대통령님, 한 달 126만 원으로 한번 생활해 보십시오"라는 제목의 논평을 냈다. 이들은 "최저임금위원회의 이번 결정은 저임금 노동자들의 현실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결정이기에 실망을 넘어 분노를 자아내게 한다"고 밝혔다.

경남민주행동은 "최저임금위원회가 발표한 2013년 기준 미혼 단신노동자 실제생계비가 한 달 평균 150만 원이며, 이를 시급으로 환산하면 7200원 정도 된다"며 "그리고 정부가 용역 근로자 보호지침을 통해서 공공부문 비정규직 노동자들에게 시중 노임단가를 적용할 것을 권고하고 있는 '시중 노임단가'를 시급으로 환산하면 8019원이다. 도무지 앞뒤가 맞지 않는 결정"이라고 밝혔다.

알바노조 회원들이 9일 오전 서울 마포구 경총회관앞에서 '최저임금 6,030원 규탄 및 최저임금 1만원 촉구 기자회견'을 열었다. 참석자들은 "국민들의 삶이 100원짜리 몇개의 흥정꺼리가 되었다" "올해도 공익으로 포장된 정부 입장이 그대로 결정되었다"며 최저임금위 구조 개혁을 촉구했다. 또한 "결정 이전부터 6천원대를 흘린 정부와 여당은 30원 턱걸이가 저임금에 허덕이는 국민들의 삶을 어떻게 바꿀지 설명해야한다"고 촉구했다.
▲ "최저임금 450원 인상? 장난햐냐?" 알바노조 회원들이 9일 오전 서울 마포구 경총회관앞에서 '최저임금 6,030원 규탄 및 최저임금 1만원 촉구 기자회견'을 열었다. 참석자들은 "국민들의 삶이 100원짜리 몇개의 흥정꺼리가 되었다" "올해도 공익으로 포장된 정부 입장이 그대로 결정되었다"며 최저임금위 구조 개혁을 촉구했다. 또한 "결정 이전부터 6천원대를 흘린 정부와 여당은 30원 턱걸이가 저임금에 허덕이는 국민들의 삶을 어떻게 바꿀지 설명해야한다"고 촉구했다.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경남민주행동은 "박근혜 대통령이 말로만 민생을 외치지 말고 진정으로 민생을 걱정한다면 벼랑 끝으로 내몰리는 저임금 노동자의 현실을 해결할 의지표명과 대책수립을 강력히 요구한다"며 "노동자의 인간답게 살 권리와 최소한의 생존권쟁취를 위해 노동계, 각계시민사회와 함께 싸워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민주노총 경남본부 "노동자 서민 기대 저버린 것"

민주노총 경남본부(본부장 김재명)도 이날 성명을 내고 "노동자․서민 배신한 최저임금 야합 규탄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최저임금 1만 원, 최저임금의 대폭 인상을 기대했던 노동자와 시민의 기대를 저린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인간다운 삶과 청년알바 노동자들의 희망을 '배신'한 것이다. 세계적인 소득불평등을 해소 노력에도 역행하는 오직 사용주를 위한 결정"이라 밝혔다.

민주노총 경남본부는 "최저임금 8.1% 인상은 박근혜 대통령의 의지다. 정부가 위촉한 공익위원은 이름만 '공익'일뿐 정부의 가이드라인을 전달하는 메신저에 불과하다는 것을 다시 한 번 확인시켜주었다"며 "박근혜 정권은 배신의 정권이다. 민주주의를 배신하고 국민안전을 지켜야 할 의무를 배신하고 이제 노동자 서민의 삶을 향상시켜야 할 의무마저 배신한 것"이라 밝혔다.

이들은 "노동자 서민의 삶을 향상시키고 소득불평등과 양극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저임금 1만원 쟁취 투쟁을 멈추지 않을 것"이라며 "노동자 서민을 배신한 무능하고 반민주적인 박근혜 정부에 대해서도 반드시 다가오는 선거에서 심판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태그:#최저임금, #경남민주행동, #민주노총 경남본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