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23일 부산시청 로비에 마련된 김영삼 전 대통령 분향소에서 시청 공무원들이 집단 조문하고 있다.
 23일 부산시청 로비에 마련된 김영삼 전 대통령 분향소에서 시청 공무원들이 집단 조문하고 있다.
ⓒ 부산광역시

관련사진보기


김영삼 전 대통령의 서거는 그의 정치적 고향인 부산에서도 애도 물결을 일렁이게 하고 있다. 부산시청과 부산역에는 물론 그가 졸업한 경남고등학교 강당에도 공식 분향소가 마련됐다. 대립각을 세웠던 지역 여야도 앞다투어 애도 성명을 내고 직접 분향소를 꾸렸다.

부산시가 김 전 대통령의 서거에 맞춰 범시민적인 애도 분위기와 추모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23일 설치한 분향소에는 시민들의 발걸음이 이어지고 있다. 부산시청 청사 벽면에는 근조 현수막이 내걸렸다.

서병수 부산시장을 비롯한 간부 공무원들이 조문을 마쳤고, 김석준 교육감도 분향소를 찾아 애도의 뜻을 표했다. 부산시는 추모 기간 열리는 각종 행사는 예정대로 진행하지만 최대한 간소하게 치른다는 방침이다.

여야 정치권은 애도 성명을 내고 김 전 대통령을 추모했다. 새누리당 부산시당은 "(김 전 대통령이) 굵직굵직한 정치적 역정을 자랑스러운 부산시민들과 함께 걸어왔다"면서 "부산시민과 함께 깊은 상실감과 무거운 슬픔이 담긴 애도를 보낸다"고 밝혔다. 새누리당은 오는 25일까지 시당사에 별도의 분향소를 운영할 예정이다. 

새정치민주연합 부산시당 역시 애도 물결에 동참했다. 김영춘 새정치연합 부산시당 위원장은 지난 1987년 김 전 대통령이 민주화추진협의회 의장을 맡던 시절 비서로 정계에 입문해 청와대 정무비서관으로 이어지는 동안 그를 보좌했다. 새정치연합은 "민주주의가 심각히 퇴행하고 있는 작금의 현실에서 중단 없는 민주화를 위해 끝까지 노력할 것"이라며 고인의 뜻을 이어받겠다고 다짐했다.

광안대교·신항·해수부 설치 등 업적 평가

1994년 2월 부산을 찾은 김영삼 전 대통령이 신평의 한 신발공장을 찾아 노동자들을 만나고 함께 식사를 하던 모습.
 1994년 2월 부산을 찾은 김영삼 전 대통령이 신평의 한 신발공장을 찾아 노동자들을 만나고 함께 식사를 하던 모습.
ⓒ 부산광역시

관련사진보기


지역 언론은 김 전 대통령과 부산의 인연을 새삼 강조하고 나섰다. 거제에서 태어난 김 전 대통령은 부산에서 중·고등학교를 나오며 성장했고, 9선 의원을 지내는 동안 부산에서만 7번 당선됐다. 독재에 항거하던 민주화 투쟁 시기에는 부산을 기반으로 군부 정권에 맞섰다. 1987년 6월 항쟁이 그 정점이었다.

1992년 대통령이 된 후에도 굵직굵직한 선물을 부산에 안기며 애정을 나타냈다. 김 전 대통령은 지금은 부산의 대표적 상징물이 된 광안대교를 건설하는 데 적지 않은 힘을 실어준 것으로 평가된다. 부산과 그의 고향인 거제를 잇는 거가대교가 본격 추진된 것도 그의 임기 중이었다.

당시 사업비만 5조 5천억 원이 든 동북아 최대 규모의 컨테이너항인 부산 신항만도 그의 작품이다. 지역민들의 염원이었던 해양수산부를 일궈낸 것도 그의 업적으로 꼽힌다. 신설 부서가 타 부서에 밀리지 않게 부산 출신 유력 정치인이었던 신상우 전 의원을 초대 장관에 임명한 일화는 유명하다.

지역주의 심화 오점... "지역주의 벽 넘어야"

하지만 그가 고질적인 지역주의를 심화시켰다는 평가는 피해가기 어렵다. 대표적인 사례로 손꼽히는 1992년 초원복집 사건이다. 부산 지역 기관장들이 복집에 모여 김 전 대통령을 지지하기 위한 관권선거를 기획한 이 사건은 한국 정치사의 오점으로 평가된다. 당시 법무부 장관이었던 김기춘 전 대통령 비서실장이 지역주의를 조장하며 외친 "우리가 남이가"란 말은 지금도 사람들 입에 오르내리고 있다.

지역 신문들은 장문의 사설을 통해 김 전 대통령의 공은 평가하면서도 김 전 대통령의 서거가 지역주의 정치의 종식으로 이어져야 한다는 데 견해를 같이했다. <부산일보>는 23일 "(서거가) 민주화와, 영·호남 정치를 상징하는 양 김 역사의 종언이기도 하다"면서 "두 거목의 퇴장으로 우리 정치도 지역주의의 벽을 넘어서는 새 패러다임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국제신문>도 "김 전 대통령의 서거는 우리 현대사가 양 김 시대에 종언을 고하고 새로운 시대를 맞았음을 알리는 신호"라며 "뿌리 깊은 지역주의에서 벗어나는 것이 김 전 대통령이 추구하던 참된 민주주의의 모습일 것"이라고 전했다.


태그:#김영삼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