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교육부 장관 황우여(인천 서구을), 새누리당 역사교과서 개선 특별위원장 김을동(서울 송파병), 역사교과서 특위위원 조전혁(인천 남동구을).
중고교 <역사>교과서 국정화 총대를 맨 뒤 새누리당 후보로 나섰던 이들이 당분간 정치계에서 모습을 덜 드러내게 됐다. 언론사 여론조사 등에서 선전하던 것으로 보였던 이들 셋이 모두 낙선했기 때문이다.
국정화 강행 '핵심 인사' 황우여·김을동 낙선
이에 따라 교육계에서는 '국정교과서의 저주가 국정화 3인방을 삼켜 버렸다'는 말이 흘러나오고 있다.
480여 개 교육역사단체가 모인 한국사교과서국정화저지네트워크(국정화저지넷)는 지난 3월 1일 황우여·김을동·이정현·나경원 의원 등 4명을 총선 낙선 대상자로 선정, 발표한 바 있다. 이들 가운데 국정교과서 추진 핵심 인사 2명이 '국정교과서의 저주'라는 덫에 걸린 셈이다.
지난해 국정교과서 '항해'에서 선장을 맡은 사람은 황 전 장관이었다. 그는 '선주' 박근혜 대통령의 발언 등에 발맞춰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강행했다. 지난해 11월 3일 국민 찬반여론 조사에서 찬성과 반대가 '4 대 6'인 상태인 데도 국정화 고시를 확정한 것이다. '투명하게 집필하겠다'는 당초 약속도 지켜지지 않았다. 45명에 이르는 집필자를 꼭꼭 숨겨놓는 '복면집필' 방식을 택했기 때문이다.
새누리당이 역사교과서 특위를 출범시킨 때는 지난해 10월 8일. 위원장과 부위원장은 각각 김을동 후보와 강은희 당시 의원이 맡았다.
당시 김 후보는 교육부를 압박해 국정화 결정을 몰아세운 장본인이란 지적을 받았다. 그는 지난해 11월 2일 블로그에 올린 글에서 "올바른 역사교과서를 만드는 것이야말로 우리 기성세대가 완수해야 할 시대적 요청이고 사명"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김 후보는 이 말을 한 지 5개월여 만에 국민의 손에 의해 국회의원 자리에서 낙마했다. 그것도 '여당 텃밭'이라는 서울 송파에서 말이다.
이 특위에서 조전혁 전 의원과 전희경 당시 자유경제원 사무총장은 위원을 맡았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지난 12일 "조전혁은 대한민국 학생들에게 올바른 교육을 가르치기 위해 전교조와 싸워 신세를 조질랑 말랑하는 그런 사람"이라고 추켜세웠다. 하지만 유권자의 표심은 매서웠다.
조 후보는 전교조 조합원 명단을 공개했다가 대법원으로부터 수억 원대의 배상금 지급 판결을 받은 인물이다.
'국정화 지지' 방송토론 등에 활발히 나선 전희경 전 사무총장은 이번에 새누리당 비례대표로 뽑혔다. 하지만 논문 표절 논란으로 여전히 벼랑 위에 서 있게 됐다.
방은희 국정화저지넷 사무국장은 "이번 총선에서 국민들은 박근혜 정부의 국정화에 철퇴를 내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시대착오적인 국정제를 되살린 전 교육부 장관 황 후보와 국정화를 주도한 김 후보의 낙선이 이를 말해준다"고 지적했다.
국정화저지넷 "국민들이 박근혜 정부 국정화에 철퇴 내려"국정화저지넷은 14일 낸 성명에서 "박근혜 정부는 국민들의 여론을 겸허히 수용하여 '역사쿠데타'를 즉각 중단하고 국정화를 즉각 폐기하라"고 요구했다.
한편, 더불어민주당 한국사교과서 국정화 저지 특위 위원장을 맡아온 도종환 의원(충북 청주시 흥덕)은 재선에 성공했다. 도 의원은 지난해 12월 17일, 국정교과서 금지법인 '역사교과용도서의 다양성 보장에 관한 특별법안'을 대표 발의한 바 있다.
이에 따라 '국정교과서 폐기 여부'는 20대 국회 시작과 함께 가장 큰 쟁점으로 떠오를 것으로 보인다.
덧붙이는 글 | 인터넷<교육희망>(news.eduhope.net)에도 보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