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삼성중공업이 올해 안에 1500여 명의 희망퇴직을 받고 2018년까지 정규직 30~40%를 축소하는 '자구안'을 내놓자 노동자협의회는 '절대 수용불가'라며 반발하고 있다.

15일 삼성중공업 노동자협의회는 "정부와 금융위원회 주도로 주채권은행과 사측이 협의한 자구안 내용을 14일 박대영 대표이사로부터 설명을 들었다"고 밝혔다.

사측이 제시한 자구안을 보면, 올해 안에 희망퇴직 1500명을 포함해 총 1900명을 축소하고, 2018년까지 3년간 경영 상황과 연계해 전체 인력 30~40%를 축소할 계획으로 되어 있다. 삼성중공업 인력은 현재 1만 3000여 명 수준이다.

또 자구안에 보면 임금은 올해 3분기부터 CEO는 전액, 전 임원은 30% 반납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비생산자산 매각도 추진된다.

삼성중공업은 산청연수원(2017년 이후 390억 원), 판교R&D센터(2017년 이후 1250억 원), 호텔․선주숙소 등(2017년 이후 1930억 원), 아파트와 화성․당진공장(2016년 1150억 원), 유가증권 등(2016년 550억 원, 2017년 이후 190억 원)을 매각 추진한다.

복리후생도 축소하기로 했다. 삼성중공업은 '조․석식 식대 현실화', '주말버스 유료화', '오후 5시 석식 운영 폐지', '하기휴양소 운영 폐지', '체육대회 지원 폐지', '해외 인프라 폐지', '근무복 정기지급 수량 조정', '사택 임대료 현실화', '문화행사 지원 폐지', '주택조합 지원 폐지', '사우매장 할인 폐지', '사원자녀 캠프․테마여행 폐지', '창립기념일 휴무 폐지' 등을 하기로 했다.

노동자협의회 "강력한 투쟁으로 돌파"

삼성중공업 사측이 '인력 감축' 등을 담은 자구안을 낸 가운데, 노동자협의회는 15일 성명서를 통해 "노사 합의 없는 실행은 강력한 투쟁으로 돌파한다"고 밝혔다.
 삼성중공업 사측이 '인력 감축' 등을 담은 자구안을 낸 가운데, 노동자협의회는 15일 성명서를 통해 "노사 합의 없는 실행은 강력한 투쟁으로 돌파한다"고 밝혔다.
ⓒ 윤성효

관련사진보기


이같은 자구안이 알려진 뒤, 삼성중공업 거제조선소는 술렁이고 있다. 삼성중공업 노동자협의회(위원장 변성준)는 15일 사측에 보낸 '업무연락'을 통해 "사측이 설명한 자구안은 절대 수용불가"라며 "본인 희망에 의한 희망퇴직이 아닌 (면담과 찍어내기식) 강제 희망퇴직은 희망퇴직을 빙자한 인력 구조조정"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노동자협의회는 "노사가 합의한 각종 현금성 복리후생제도 축소와 시행은 노사합의 사항 위반으로 교섭단체인 노동자협의회를 부정하는 것"이라며 "그런데도 사측이 자구안을 어떠한 형태로든 강행한다면 법적 책임은 물론, 그에 따른 물리적인 충돌에 대한 책임 또한 사측이 져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노동자협의회는 이날 성명서를 통해 "정부 주도의 구조조정, 산업은행의 자구안 강요, 사측의 동조, 노사 합의 없는 실행은 강력한 투쟁으로 돌파한다"고 밝혔다.

노동자협의회는 "묻고 싶다. 작금의 사태가 진정 사원들의 복지와 임금이 문제란 말인가? 높으신 양반들이 사고치고 저질러 놓은 것을 감당하지 못할 것 같으니 노동자들에게 덮어씌워 노동자들이 정말 잘못하여 작금의 사태가 벌어진 양 떠들어 대고 있는데, 정말이지 꼴갑들을 하고 있다"며 "정말 지금껏 유지해오던 사원들의 복지와 임금이 문제가 된다면 회사는 문을 닫는 것이 옳다"고 비난했다.

그리고 "현재 사내 싱글의 CEO 블로그는 말 그대로 난리다. 사무직군들의 울분과 서러움, 이로 인한 사기 저하, 오늘은 누가 면담을 하고 내일은 또 누구를 면담할지 하루하루가 힘든 나날의 연속이다"며 "2015년 임금협상시에도 분명한 뜻을 전달하였지만, 지금 당장 사원들의 명줄을 가지고 장난치는 것을 멈추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삼성중공업 구성원 중 단 한 명이라도 억울하게 고용에 문제가 생긴다면 가만히 손 놓고 있을 생각은 없다"며 "사무직군의 고용을 뒤흔든다는 것은 분명 협의회 회원에게도 칼날이 미칠 수 있다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 총력 투쟁을 각오하고 분명 막아낼 것이다. 고용이 흔들린다는 것은 삼성중공업의 미래 또한 없다. 당장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초가삼간을 태워버릴 수는 없지 않은가?"라고 덧붙였다.

노동자협의회는 "사원을 희생해서라도 회사를 일으켜 보려 하고 있는데, 사측은 고작 생각한다는 것이 복지를 축소하고 인력 감축을 생각하고 있었다니 한심하기 그지없다"며 "뼈 빠지게 시키는 대로 일만한 대가가 이런 식의 고통분담인가. 부실경영이 고통분담을 넘어 고통전가로 치닫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들은 "더 이상 양보할 것이 없다. 무능한 경영으로 인한 단절된 수주, 정부와 채권단의 물리적(?) 압박을 빌미로 인적구조 조정과 후생복지 원점 검토를 강행한다면 노동자협의회에서도 실력행사에 돌입할 수밖에 없다. 실패한 경영책임을 우리가 질 수 없다"고 말했다.

삼성중공업 노동자협의회는 조합원한테 '부당한 희망퇴직 관련 대응 지침'을 통해 "휴대폰을 이용해 동영상 또는 면담 내용 녹취", "희망퇴직 관련된 회사의 문건이 있을 시 사진으로 찍어둘 것", "회사의 지시 또는 자의로 희망퇴직을 권고하는 자의 직책, 소속, 이름을 메모해 둘 것", "증거자료 수집 후 담당대의원 혹은 노동자협의회에 제보할 것" 등을 요청했다.

삼성중공업 노동자협의회는 노동조합이 아니기에 노동3권(단결권, 단체교섭권, 단체행동권)을 법적으로 보호받지는 못한다.


태그:#삼성중공업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