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원자력발전소 밀집 지역에서 가까운 울산 쪽 해역에서 규모 5.0의 지진이 발생한 가운데, 환경운동연합은 "해양 활성단층에 대한 전면 조사부터 하라"며 "안전성 확인 없는 원전 가동, 건설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5일 오후 8시33분경 울산 동구 동쪽 해역 52km 지점에서 규모 5.0의 지진이 발생했다. 울산 앞바다에서 일어난 지진으로는 올해만 세 번째이고, 1991년 이후 울산 인근에서 발생한 40여 차례 지진 중 가장 큰 규모이다.

이날 지진은 부산경남은 물론 대구, 광주, 대전에서도 시민들이 느낄 정도였다. 부산 해운대 등 고층 아파트가 흔들리기도 했다. 그러나 지진으로 인한 피해 신고는 접수되지 않았다.

이날 경주․울산․부산 일대에 있는 원자력발전소는 정상 가동되었다. 한국수력원자력 고리본부는 "고리원전 2, 3, 4호기와 신고리원전 1, 2호기가 모두 정상 운영되고, 지진으로 인한 피해는 없다"고 밝혔다.

"더 큰 지진, 심히 우려스러운 상황"

최근 잦은 지진에 원전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날 지진 발생 해역은 월성원전 부지에서부터 52km, 신고리원전 부지에서부터 65km 거리에 있다.

이날 지진과 관련해, 6일 환경연합은 자료를 통해 "더 큰 규모의 지진이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것은 아닌지 심히 우려스러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반도 동남부일대 주요 활성단층과 원전 위치도.
한반도 동남부일대 주요 활성단층과 원전 위치도. ⓒ 환경연합
환경연합은 "경주-울산-부산 일대에는 건설 중인 원전이 13기이고 현재 가동 중인 원전이 11기나 있다"며 "이들 원전 인근 해양에서의 활성단층은 제대로 조사조차 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단체는 "월성원전이 있는 경주 인근과 고리, 신고리 원전이 있는 울산, 부산 육지에는 60여 개가 넘는 활성단층이 분포되어 있다"며 "대규모 활성단층대도 140km 길이에 달하는 양산단층, 울산단층, 동래단층, 신고리 원전 바로 옆의 일광단층까지 8개나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들 활성단층을 지진 평가에서 배제한 것은 물론이고 바다 속의 활성단층은 아직 제대로 조사조차 되지 않고 있다"며 "이 사실은 월성원전 1호기 스트레스 테스트 민간 검증 보고서와 신고리 5, 6호기 건설허가를 심의하는 원자력안전위원회 회의에서 확인된 것"이라고 덧붙였다.

환경연합은 "월성, 고리, 신고리원전의 내진설계는 한반도 예상 최대지진 규모 7.5에 비해 지진에너지로 20~30배나 약한 상태가 되었다"며 "한반도에서 지진 발생이 가장 잦고 활성단층이 가장 많이 분포한 경주-울산-부산이 가장 지진 위험이 높은 지역으로 평가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부실한 내진 설계가 적용되고 있는 것"을 지적했다.

그러면서 환경연합은 활성단층 조사를 요구했다. 이 단체는 "육지에서 활성단층은 지진재해 분석에서 배제되었고 해양에서는 아예 조사조차 되지 않았다"며 "원전으로부터 8km 지점까지만 조사되었다는 것이 원자력안전위원회 회의에 참석한 원자력안전기술원의 답변이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원전이 해변에 위치해 있으므로 해양이 지진재해분석 면적의 절반을 차지하며 동해와 일본의 알려진 대규모 단층이 다수 존재하는데도 이를 지진재해 분석에서 배제한 것"이라며 "이번 진앙지 역시 그동안 해양 활성단층이라고 알려진 부근으로 추정된다"고 주장했다.

환경연합은 "한반도 동남지역은 육지에서나 바다에서나 활성단층이 다수 분포하고 있고 지진도 자주 일어나고, 인구도 밀집해 살고 있고 산업단지와 항만시설 등 국가의 중추시설이 위치해 있다"며 "그런데 원전 부지 평가 과정에서 지진재해분석이 과소평가되면서 전반적으로 지진에 대한 대비가 매우 부족한 상황이 되어 버렸다"고 지적했다.

환경연합은 "전력예비율이 충분한 지금, 우려가 현실이 되지 않도록 제대로 된 지진재해 분석이 있기 전까지 경주, 울산, 부산의 원전은 가동을 순차적으로 중단하고 건설 중인 원전도 안전성이 확인되기 전까지 전면 중단되어야 한다"고 제시했다.


#지진
댓글3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