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새누리당 차기 당대표에 나선 주호영 이정현 이주영 한선교 후보의 홍보 현수막이 6일 오후 서울 양재동 더케이호텔(구 교육문화회관)에서 열린 수도권 합동연설회장에 나란히 내걸려 있다.
▲ 새누리 당대표 후보들의 현수막 새누리당 차기 당대표에 나선 주호영 이정현 이주영 한선교 후보의 홍보 현수막이 6일 오후 서울 양재동 더케이호텔(구 교육문화회관)에서 열린 수도권 합동연설회장에 나란히 내걸려 있다.
ⓒ 남소연

관련사진보기


새누리당 당 대표 및 최고위원을 선출하는 8.9전당대회가 내일로 다가왔습니다. 8.9전당대회이지만, 실제 선거인단이 대부분 투표했던 8월 7일에 어느 정도 결과의 윤곽이 나왔다고 봐야 합니다.

8월 7일 열린 새누리당 전당대회 전국 선거인단 투표율은 20.7%로 집계됐습니다. 전체 선거인단 33만 7375명 중 6만 9817명이 투표했습니다. 2012년 14.1%보다는 높지만, 2014년 29.7%에 비하면 낮습니다. 여름 휴가철과 폭염, 올림픽 등이 겹쳤기 때문입니다.

내년 대선을 앞두고 치러지는 새누리당의 전당대회이지만, 친박과 비박 간의 계파 싸움과 불법 선거 논란으로 진흙탕 싸움이 되고 있습니다.

일당 8만 원에 청년 동원... 매수죄 의혹

MBN이 보도한 새누리당 전당대회에서 일당 8만원을 받았다는 증언
 MBN이 보도한 새누리당 전당대회에서 일당 8만원을 받았다는 증언
ⓒ MBN 캡처

관련사진보기


지난 5일에는 새누리당 제1차 전당대회 합동연설회에서 청년들이 일당을 받고 동원된 혐의가 불거졌습니다. 새누리당 전당대회 현장에서 청년들이 후보자를 응원했는데, 일부 참가자들에겐 8만 원, 16만 원의 돈이 입금되기도 했다고 합니다. 이는 정당법 50조에 명시된 매수죄에 해당할 수 있는 내용입니다. (관련 기사 : 선관위 '청중 동원' 적발에 이주영캠프 '당혹')

중앙선관위는 '새누리당 경선과정에서 아르바이트 인원 30여 명을 모집하여 합동연설회장에 동원하고 그 대가를 제공하였다는 제보를 받고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계파 오더에 따라 투표? '진흙탕보다 더 지저분'

새누리당 전당대회에서  후보자들이 서로 투표를 요구하는 문자를 발송했다며 문자 메시지를 공개했다
 새누리당 전당대회에서 후보자들이 서로 투표를 요구하는 문자를 발송했다며 문자 메시지를 공개했다
ⓒ JTBC 캡처

관련사진보기


새누리당 전당대회가 시작되면서 각 계파 후보들은 상대방이 '오더 투표'를 했다면서 문자 메시지 등을 공개했습니다. 이주영, 한선교 후보 등은 기자회견을 열어 일부 당원에게 특정 후보를 찍으라는 '오더 투표'가 난무한다며 비난을 하기도 했습니다.

함진규 후보는 문자 메시지가 출력된 종이를 흔들면서 "위로부터 특정인에게 찍으라는 이런 문자를 보내는 것이 당내 민주화인가"라고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김무성 전 대표 측과 친박계 의원들이 보냈다고 알려진 '오더 투표' 문자 메시지 발송은 가뜩이나 불법 선거 등으로 중앙선관위의 조사를 받는 새누리당 전당대회를 진흙탕보다 더 지저분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새누리당은 계파 싸움이 '일상'

새누리당은 한나라당 시절부터 전당대회마다 계파 간의 대결이 벌어졌다.
 새누리당은 한나라당 시절부터 전당대회마다 계파 간의 대결이 벌어졌다.
ⓒ 임병도

관련사진보기


새누리당 당 대표와 최고위원을 선출하는 전당대회에서 계파 간의 대결은 늘 벌어졌습니다. 2006년은 17대 대선을 앞두고 친이계 이재오와 친박계 강재섭의 대결이 있었습니다. 2008년 친이계 지원을 받는 박희태와 정몽준, 친박계 허태열이 치열한 경쟁을 벌였습니다. 2014년은 친박계 서청원과 비박계 김무성이 싸우기도 했습니다.

새누리당의 계파 대결은 시기에 따라 누가 권력을 쥐고 있느냐에 따라 결정됐습니다. 2008년, 2011년 MB정권이 집권하는 동안에는 친이계가 2012년 대선을 앞두고는 친박계가 승리했습니다. 문제는 비민주적인 방식으로 전당대회가 흘러가는 양상입니다.

2012년 5월 새누리당 전당대회에서는 황우여가 대표로 친박계 이혜훈, 정우택, 유기준이 최고위원으로 선출됐습니다. 대선을 앞둔 지도부라고 하지만 마치 '박근혜 사당화'처럼 전당대회가 치러졌습니다.

2006년 전당대회에서는 박근혜가 이재오 연설 도중 자리를 떠나면서 친박계가 결집, 강재섭이 승리하기도 했습니다. 박근혜가 보여준 행동이 마치 투표 지시처럼 된 셈입니다.

새누리당의 계파 갈등을 무조건 비난하기는 어렵습니다. 정치의 속성상 미래 권력에 사람들이 지지를 보내는 것은 당연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후보들이 저마다 단상에서는 '계파 갈등 청산'을 내세우면서 뒤로는 '계파 오더'를 내리는 모습은 눈살을 찌푸릴 수밖에 없습니다.

새누리당 8.9전당대회는 폭염과 올림픽 때문에 많은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누가 새누리당의 당 대표가 되느냐도 중요하지만, 불법 선거 논란과 더 지저분해진 계파 갈등을 주목해야 할 필요도 있습니다.

덧붙이는 글 | 이 글은 정치미디어 The 아이엠피터 (theimpeter.com)에도 실렸습니다.



태그:#새누리당 전당대회, #8.9전당대회, #새누리당 알바, #계파 갈등 , #불법 선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립 언론 '아이엠피터뉴스'를 운영한다. 제주에 거주하며 육지를 오가며 취재를 하고 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