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박근혜 대통령이 15일 제71주년 광복절을 맞아 경축사를 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이 15일 제71주년 광복절을 맞아 경축사를 하고 있다.
ⓒ 청와대

관련사진보기


청와대는 박근혜 대통령의 71주년 광복절 경축사로 불거진 건국절 논란을 '모르쇠'로 일관했다.

앞서 박 대통령은 지난 15일 광복절 경축사에서 "오늘은 제71주년 광복절이자 건국 68주년을 맞이하는 역사적인 날", "광복을 되찾아 대한민국을 건국한 선각자들은 자유민주주의 헌법 질서를 바탕으로"라면서 사실상 광복절을 건국절로 바꿔 기념해야 한다는 뉴라이트의 주장에 동조했다. 박 대통령은 지난해 70주년 광복절 경축사에서도 '건국 67주년'을 거론한 바 있다.

무엇보다 박 대통령은 지난 12일 청와대에서 열린 독립유공자 유가족들과 한 오찬에서 "대한민국이 1948년 8월 15일 출범했다고 이날을 건국절로 하자는 일부의 주장은 역사를 외면하는 처사"라는 광복군 출신 독립유공자 김영관(92) 선생의 비판을 면전에서 받은 바 있다.

즉, 박 대통령은 불과 사흘 전에 들은 독립유공자의 '비판'을 철저히 무시한 셈이다.

그러나 정연국 청와대 대변인은 16일 오전 기자들과 만나, "야당이 (박 대통령의 경축사와 관련) 임시정부 역사를 부정하냐고 비판하고 있는데 청와대의 입장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받고, "대통령이 어제 말씀하신 대로 국민의 저력과 자긍심을 발휘하고 긍정의 힘을 되살려서 건강한 공동체 문화를 만들자는 말씀을 잘 이해해주기 바란다"라고 답했다.

건국절 논란에 대한 답변 대신 전날 경축사 주요 내용을 정리하는 '동문서답' 답변을 한 것이다. 정 대변인은 "(건국절 논란에 대한 답변으로) 국민의 저력과 자긍심을 발휘하기 위해서라고 한 것은 해석이 안 된다"는 기자들의 거듭된 질문에도 "어제 대통령 말씀은 말씀대로 이해해달라"라고 답했다.

문재인 "건국절, 대한민국 정통성 스스로 부정하는 얼빠진 주장"

청와대가 이처럼 박 대통령의 역사 인식 논란에 대해 '모르쇠'로 일관하면서 건국절 논란은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야당은 지난 15일 광복절 경축사 이후부터 이 문제를 꼬집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박광온 수석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박 대통령이 오늘 '나라를 되찾기 위해' 목숨을 바친 선열들의 애국애족 정신과 광복의지가 오늘의 대한민국을 만드는 원동력이 되었다고 말한 데 대해 평가한다, 하지만 올해를 건국 68주년이라고 말한 것은 선열들의 이런 노력을 부정하는 매우 유감스러운 언급"이라고 비판했다.

또 "대한민국은 1919년 기미 독립선언으로 건립됐고 1948년에 정부가 수립된 것"이라며 "이는 역사적 사실이며 제헌헌법의 전문에도 분명히 하고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손금주 국민의당 수석대변인 역시 구두논평에서 "우리 헌법전문은 '대한국민은 3·1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법통과 불의에 항거한 4·19민주이념을 계승한다'고 적시돼 있다"며 "우리 당은 대한민국 정통성이 바로 1919년 수립된 임시정부에 있음을 밝힌다"고 짚었다.

대권 주자들도 이 같은 비판에 가세하고 있는 형국이다.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지난 15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요즘 대한민국이 1948년 8월 15일 건립됐으므로 그날을 건국절로 기념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다, 역사를 왜곡하고 헌법을 부정하는 반역사적 반헌법적 주장"이라며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스스로 부정하는 얼빠진 주장"이라고 성토했다.

안희정 충남지사도 이날(16일) MBC라디오 <신동호의 시선집중>에 출연, "우리 헌법으로 치면 상해임시정부로부터 (대한민국이) 출범하자고 하는 것이 그냥 상식 아니었나, 그 논쟁을 지금 새삼스럽게 다시 하는 이유를 이해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태그:#박근혜, #건국절, #문재인
댓글5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