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겨울바다를 한 그릇에 품었다. 추운 겨울철엔 굴국밥이 최고다.
 겨울바다를 한 그릇에 품었다. 추운 겨울철엔 굴국밥이 최고다.
ⓒ 조찬현

관련사진보기


겨울 찬바람이 매섭다. 이제 본격적인 겨울철의 시작이다. 제철 음식으로 몸을 추슬러보자. 겨울철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먹거리가 굴이다. 굴은 다양한 요리로 즐길 수 있어서 좋다. 모닥불을 피워 구워 먹는 굴구이도 좋고, 찜기에 쪄낸 굴찜도 맛있다. 알굴을 이용한 굴국밥과 굴국도 겨울철 별미다.

정갈한 상차림에 쌈 배추와 갈치속젓이 입맛을 돋운다. 낙지젓갈과 굴을 넣어 데쳐낸 무나물도 입맛을 부추긴다. 입소문대로 음식이 맛깔스럽다. 사실 여수 부일식당 하면 서대회와 돔바리회무침이 대표메뉴다. 이들 메뉴는 막걸리 안주와 비빔밥의 주재료로 최고 인기다.

한방 냄새 솔솔 풍기는 굴국밥

정갈한 상차림에 쌈 배추와 갈치속젓이 입맛을 돋운다.
 정갈한 상차림에 쌈 배추와 갈치속젓이 입맛을 돋운다.
ⓒ 조찬현

관련사진보기


굴국밥 기본 상차림이다.
 굴국밥 기본 상차림이다.
ⓒ 조찬현

관련사진보기


한방 굴국밥이다. 뚝배기에서 뜨거운 훈김과 함께 한약 향기가 풍겨온다. 국밥 육수에 한약재를 넣어 끓여낸 듯하다. 튼실한 알굴과 미역, 반숙한 계란도 한 개 들어있다. 뽀얗게 끓여낸 뜨거운 국물이 속을 확 풀어준다. 속풀이 해장용으로 숙취해소에도 좋을 듯싶다.

역시 음식은 제철에 먹어야 맛있다. 살이 오른 알굴을 넉넉하게 넣어 끓여낸 굴국밥의 맛은 가히 일품이다. 음식을 먹으면서 연신 핸드폰 카메라에 담자 아주머니 왈, 식당하려고 그러느냐고 묻는다. 그렇다고 웃으며 말했더니 굴국밥에 대한 질문에 그건 비밀이라며 가르쳐줄 수가 없다고 정색을 한다. 한방 굴국밥이라고 해서 그냥 물어본 것뿐인데.

김이 모락모락 피어나는 국국밥에는 김가루와 대추 참깨가 고명으로 올라가 있다. 제법 먹음직스럽다.
 김이 모락모락 피어나는 국국밥에는 김가루와 대추 참깨가 고명으로 올라가 있다. 제법 먹음직스럽다.
ⓒ 조찬현

관련사진보기


낙지젓갈과 굴을 넣어 데쳐낸 무나물 등의 반찬도 입맛을 부추긴다.
 낙지젓갈과 굴을 넣어 데쳐낸 무나물 등의 반찬도 입맛을 부추긴다.
ⓒ 조찬현

관련사진보기


김이 모락모락 피어나는 국국밥에는 김가루와 대추 참깨가 고명으로 올라가 있다. 제법 먹음직스럽다. 국밥의 종류가 많고 많지만 국밥계의 지존은 아마도 굴국밥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스테미나의 원천인 굴을 듬뿍 넣은 굴국밥, 제철에 많이 먹을 일이다. 카사노바와 나폴레옹이 그 어떤 음식보다 좋아했던 것처럼 그렇게.

서양속담에 '굴을 먹으라, 그러면 보다 오래 사랑하리라'는 말이 있다. 희대의 바람둥이였던 카사노바가 굴요리를 즐겨먹었으며 나폴레옹 역시 전장에서 삼시세끼 굴을 즐겨 먹었다고 한다. 고대 로마제국의 황제 위테리아스는 굴을 한꺼번에 1천개 씩 먹었을 정도로 좋아했다고 전해진다. 1871년 독일의 통일을 완성했던 비스마르크도 굴을 좋아했다.

인체 내의 에너지원인 글리코겐은 물론 아연을 많이 함유한 굴은 남성을 남성답게 하는 호르몬인 테스토르테론의 분비를 촉진시키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그래서 완전식품인 굴은 남성들에게 특히 사랑을 받고 있다.

여수 신기도 부일식당의 메뉴다.
 여수 신기도 부일식당의 메뉴다.
ⓒ 조찬현

관련사진보기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다음 블로그 '맛돌이의 오지고 푸진 맛'과 여수넷통에도 실을 예정입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굴국밥, #굴구이, #여수 부일식당, #스테미나, #맛돌이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