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서울=연합뉴스) 전성훈 기자 = 박영수 특별검사팀이 청와대에서 작성했다는 이른바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를 확보해 수사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특검팀 관계자는 27일 "세간에서 블랙리스트라고 부르는 명단을 일부 확보해 수사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동안 소문만 무성했던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의 실체가 드러남에 따라 특검 수사도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최순실 게이트'를 수사하는 박영수 특검팀이 지난 21일 서울 대치동 특검 사무실 앞에서 현판식을 가진 뒤 사무실로 들어가고 있다.
 '최순실 게이트'를 수사하는 박영수 특검팀이 지난 21일 서울 대치동 특검 사무실 앞에서 현판식을 가진 뒤 사무실로 들어가고 있다.
ⓒ 공동취재사진

관련사진보기


청와대 정무수석비서관실이 작성하고 문화체육관광부가 관리했다는 해당 리스트에는 정부에 비판적인 진보 성향의 문화예술인들이 대거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야당 정치인들의 지지 선언에 이름을 올리거나 사회적 이슈에 정부와 반대되는 의견을 표명한 인사들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작성 시점은 명확하게 드러나 있지 않으나 2013년 말이나 2014년 초라는 추정이 있다.

유진룡 전 문체부 장관은 전날 CBS라디오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퇴임 한 달 전쯤 블랙리스트를 봤다"고 말했다. 유 전 장관은 인사 등 문제로 청와대와 갈등을 빚다 2014년 7월 16일면직됐다.

문화예술인들이 지난 10월 18일 오전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우리 모두가 블랙리스트 예술가다' 문화예술 긴급행동 및 기자회견에 참석해 예술검열 반대와 블랙리스트 사태를 규탄하고 있다.
▲ '우리 모두가 블랙리스트 예술가다' 문화예술인들이 지난 10월 18일 오전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우리 모두가 블랙리스트 예술가다' 문화예술 긴급행동 및 기자회견에 참석해 예술검열 반대와 블랙리스트 사태를 규탄하고 있다.
ⓒ 유성호

관련사진보기


특검은 전날 리스트를 관리한 곳으로 알려진 문체부 예술정책국과 콘텐츠정책국 등을 압수수색했다.

압수수색 대상에는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의 자택과 조윤선 문체부 장관, 정관주 전 문체부 1차관 집무실 등도 포함됐다. 압수수색영장에는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등 혐의가 적시된 것으로 전해졌다.

특검은 이들이 리스트 작성을 주도하거나 일부 관여했다는 의혹을 살펴볼 방침이다. 박근혜 대통령이 리스트 작성·관리를 지시했거나 보고받았는지도 수사 대상이다.

특검은 압수수색 당일 문체부와 산하 기관 일부 관계자들을 임의동행 형식으로 데려와 리스트가 제작된 경위와 청와대의 지시 여부 등을 조사했다.

또 이날 오전 10시에는 정관주 전 차관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한다. 정 전 차관은 청와대 정무수석실 국민소통비서관으로 재직하며 리스트 작성 실무를 담당했다는 의혹을 받는다.

앞서 한국민족예술단체총연합회 등 12개 문화예술단체는 리스트 의혹과 관련해 이달 12일 김기춘 전 실장과 조윤선 장관 등을 직권남용 혐의로 특검에 고발했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태그:#문화계블랙리스트, #특검, #문체부, #청와대, #김기춘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바른 언론 빠른 뉴스' 국내외 취재망을 통해 신속 정확한 기사를 제공하는 국가기간뉴스통신사입니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