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8월 23일 오후 인천문화예술회관에서 열린 ‘한국지엠 사업재편 움직임에 따른 토론회’에서 이항구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GM의 경영현황을 발표하고 있다.
 8월 23일 오후 인천문화예술회관에서 열린 ‘한국지엠 사업재편 움직임에 따른 토론회’에서 이항구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GM의 경영현황을 발표하고 있다.
ⓒ 김강현

관련사진보기


미국 제너럴모터스(GM)의 '한국지엠 자본 철수설'이 끊이지 않고 있는 가운데, 이에 대한 인천지역사회의 대응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토론회가 23일 오후 인천문화예술회관 국제회의장에서 열렸다.

인천지역 군수구청장협의회가 주최하고 부평구(구청장 홍미영)가 주관한 이 토론회에는 군수ㆍ구청장과 지방의원, 시민사회단체와 노동조합, 한국지엠 협력업체 관계자 등 200여명이 참여했다.

토론회에 앞서 홍미영 구청장은 "많은 사람들이 불안해하고 있다. 한국지엠 직원뿐 아니라 지역사회와 지방의회, 중소기업 등 각계 분야에서 공감대를 가지고 논의해야 올바른 방향을 찾을 수 있을 거라 생각한다"며 "여러 문제에 잘 대응할 수 있는 토론회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토론회는 이항구 한국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의 'GM 글로벌 네트워크의 변화와 한국지엠의 발전방안'이라는 제목의 발제로 시작됐다. 이 연구위원은 GM의 경영 현황과 사업개편 현황, 한국지엠 발전방안을 발제하며 시민들과 인식을 같이해 의견을 모으고, 한국지엠은 구조개편으로 자체 역량을 보유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토론에선 한국지엠의 문제점과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이윤 인천대학교 무역학과 교수를 중심으로 토론을 진행하고 있다.
 이윤 인천대학교 무역학과 교수를 중심으로 토론을 진행하고 있다.
ⓒ 김강현

관련사진보기


윤석진 인천발전연구원 연구위원은 "한국지엠이 인천의 앵커기업이고, 실질적으로 기업 500여개가 자동차와 관련해 존재하고 있다. 이 기업들이 인천 전체 고용의 약 12~13%를 차지하고 있다"며 인천 자동차산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어서 "노동자 보호와 사회적 갈등 완화, 관련 기업 지원 준비 등 충격을 최소화하는 방식의 시나리오를 지금부터라도 준비해야한다"고 한 뒤 "인천의 자동차산업 전체가 기술적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해야한다"고 덧붙였다.

안재원 전국금속노조 연구원은 "전기차 등 미래 자동차를 준비하는 건 거기에 몸담고 있는 노동자다"라고 말한 뒤 "문재인 정부는 노동 존중 사회와 일자리 창출을 말하는데, 있는 일자리를 잃어버리면서 없는 일자리를 어떻게 만드느냐?"고 반문했다. 이어서 "지역경제와 노동자들이 같이 살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한다"고 강조했다.

한국지엠 협력업체 대표로 토론에 참여한 이정우 한국지엠협신회장은 "전 세계 자동차시장은 위기와 기회가 공존하고 패러다임 변화는 예측보다 빨리 일어나고 있다. 변화하고 적응하는 것이 살길이 아닌가, 생각한다"며 "협력업체의 입장에서, 지역사회에 많은 관심을 부탁한다"고 말했다.

이광호 인천평화복지연대 사무처장은 "대우차 살리기 운동 등, 지역경제계와 지방자치단체가 함께했던 일들이 예전에 있었는데, 2010년 이후로는 이런 분위기가 전혀 없다. 자성하고 (한국지엠의) 지속발전을 고민해야한다"고 말한 뒤, 항공ㆍ항만ㆍ자동차산업의 융합 발전, 자동차산업만 있는 공단구조 변화, 노사만의 문제가 아닌 사회적 연대전략 등을 제안했다.

김상우 <중부일보> 기자는 "산업은행은 비토권을 (체결)할 때는 'GM이 철수하더라도 한국지엠이 살 수 있는 방안을 마련했다'고 자화자찬했는데, 올해는 '한계가 있어, 우린 책임 없다'라고 얘기하고 있다. 비판받아야한다"며 "당장 철수하진 않겠지만 (GM의 입장에선) 군산(공장)의 경우 현재 수준에서 언제 닫아도 이상할 게 없기 때문에 대책이 필요하고, 부평(공장) 역시 생산성 하락의 문제제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윤희택 인천상공회의소 경제산업부장은 "한국지엠은 인천에서 가장 큰 업체다. 지역 시장 점유율과 국내 점유율을 높여야한다"고 말한 뒤 "자동차산업이 발전할 수 있는 방안과 시민 공감대를 만들려고 고민하고 있다"며 도움을 요청했다.

마지막 토론자로 나선 인천시의회 산업경제위원회 유제홍 의원은 인천시의 역할과 정치인들의 숙제를 이야기했다. 유 의원은 "시와 한국지엠의 협력 사업(=시의 부지 제공, 한국지엠의 사회봉사사업 등)으로 인천에서 한국지엠의 중요성을 인지하는 데 적극 활용해야한다"라고 말했다. 또한 "한국지엠의 2002년 주주단 계약서, 10년 장기 발전 합의서가 시민사회단체나 기관에 공개되지 않고 있는데, 투명하게 공개해야한다"며 "중앙정부의 확실한 태도와 입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좌장을 맡은 이윤 인천대학교 무역학과 교수는 "이런 토론회 자리가 이례적이나 단편적으로 진행되면 안 된다는 공감대를 형성했다"며 "이 토론회가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마무리했다.


태그:#한국지엠, #GM, #철수설, #인천시, #부평
댓글2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