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추이톈카이 주미 중국대사의 한일 핵무장 반대를 보도하는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갈무리.
 추이톈카이 주미 중국대사의 한일 핵무장 반대를 보도하는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갈무리.
ⓒ SCMP

관련사진보기


중국이 북핵 대응을 위한 한국과 일본의 핵무장을 단호히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에 따르면 17일 추이톈카이(崔天凱) 주미 중국대사는 중국 정부 수입 68주년 기자회견에서 "중국은 결코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추이 대사는 "핵무기가 북한의 안전을 보장하지 않고 오히려 지역 정세를 악화시킬 뿐"이라며 "이는 한국, 일본에도 같은 논리를 적용해야 한다"라고 최근 떠오르고 있는 한국과 일본의 전술핵 배치나 독자적 핵무기 보유론을 일축했다.

그는 "한반도 어디에도 핵무기가 존재하는 것을 분명히 반대한다(certainly opposed)"라며 "중국은 북한의 핵 위협에 대한 한국의 우려를 이해하며, 중국의 안보 이익을 해치지 않는 조건으로 이를 해결할 수 있도록 기꺼이 돕겠다"라고 덧붙였다.

또한 미국에서 대만에도 전술핵을 배치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는 것에 대해서도 "대만은 중국의 일부"라며 "중국은 대만에 핵무기를 배치하는 것을 절대 용납할 수 없다"라고 밝혔다.

이어 "중국은 누가 어떤 이유를 대더라도 대만에 핵무기를 배치하려는 시도를 반대한다"라며 "미국 의회나 일부 전문가들이 미국과 대만이 군사 관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말하는 것도 반대한다"라고 덧붙였다.

문재인 대통령은 핵무장을 고려하지 않겠다는 공식 입장을 밝힌 바 있으며, 일본 정부도 핵무기를 보유하지 않고, 제조하지 않고, 반입하지 않는다는 이른바 '비핵 3원칙'을 고수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송영무 국방장관이 전술핵 배치를 고려할 수 있다고 발언한 데 이어 일본의 차기 총리 후보로 거론되는 이시바 시게루 전 자민당 간사장도 "비핵 3원칙이 북한의 위협을 막는 데 도움이 될지 의문"이라고 밝힌 바 있다.

외교 전문가들은 "핵무기 보유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입장이 바뀐 것은 아니다"라며 "다만 미국 핵우산이 제공하는 확장 억지력에 대한 신뢰도가 급격히 떨어졌다는 것을 반영한다"라고 분석했다. 

아울러 추이 대사는 대북 원유 수출을 전면 중단하라는 미국의 요구에 대해 "중국은 유엔 안보리에서 결의한 모든 대북 제재를 준수할 것이지만, 그 이상이나 이하도 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북핵 사태의 핵심 당사자는 북한과 미국인만큼 미국이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라며 "북한에 대한 위협보다는 대화와 협상으로 풀어가려고 노력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태그:#추이톈카이, #북한, #핵무기
댓글5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