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사업에 반대하는 산악인들이 16일 오전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청와대까지 오체투지 행진을 벌이고 있다. 이들은 "설악산 오색 케이블카는 비뚤어진 지난 정권이 만들어낸 대표적인 적폐 사업이며 당연히 가장 먼저 백지화해야 하는 일"이라고 주장했다.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사업에 반대하는 산악인들이 16일 오전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청와대까지 오체투지 행진을 벌이고 있다. 이들은 "설악산 오색 케이블카는 비뚤어진 지난 정권이 만들어낸 대표적인 적폐 사업이며 당연히 가장 먼저 백지화해야 하는 일"이라고 주장했다. ⓒ 최윤석

"산은 아무것도 달라진 것이 없다. 문화재청은 설악 오색 케이블카 불허 결정을 번복하지 말라."

'지리산 케이블카 반대 공동행동'이 23일 낸 성명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설악산 오색 케이블카에 대해 문화재위원회에서 부결할 것을 촉구하고 나선 것이다.

문화재위원회는 오는 25일 설악산오색케이블카사업에 대한 문화재현상변경신청에 대해 심의한다. 이 심의에서 통과가 되면 케이블카 건설은 가능해 진다.

지리산 케이블카 건설도 논란이다. 홍준표 전 경남지사 때 경남도는 환경부에 지리산 케이블카 사업을 신청했고, 환경부는 반려했다. 환경단체는 설악산 케이블카가 설치되면 지리산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이미 세 차례 불허... 신뢰 보여달라"

'지리산 케이블카 반대 공동행동'은 성명을 통해 "지난해 12월, 오랜 숙의 과정을 거쳤던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는 설악 오색 케이블카 사업에 대해 이미 불허 결정을 내린바 있다. 세 번째 같은 결론이었다"고 했다.

이어 "이런 일관된 문화재위원회의 결정은 지역사회의 반발이나 정권의 압력에 굴하지 않는, 문화재위원회의 전문성에 대한 신뢰를 보여주기에 충분한 것이었다"고 덧붙였다.

이들은 "설악산이 가진 문화재로써의 가치가 케이블카 사업을 통해 얻을 수 있을 일시적 이익보다 높다는 것을, 세 차례에 걸친 사업 불허 결정으로 증명해 보인 것"이라 했다.

그러면서 이들은 "하지만, 이런 문화재위원회의 신뢰가 무너질 위기에 놓였다. 역설적이게도, 적폐 청산에 열심인 현 정권하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이다"고 했다.

'지리산 케이블카 반대 공동행동'은 "애시당초 설악 오색 케이블카 사업이 박근혜 전 대통령의 말 한마디에서 급물살을 탔던, 대표적 환경 적폐 사업임을 상기해보면 아이러니한 일이다"고 했다.

이어 "중앙행정심의위원회가 양양군의 부당결정청구를 인용한 점은 아쉬운 일이지만, 이에 대해 이후 문화재청이 보여준 일련의 행보는 도저히 전문성과 권위를 가진 집단이라고는 볼 수 없을 정도로 비상식적이었다"고 덧붙였다.

이들은 "설악산은 수 천년을 그 자리에 변함없이 서있어 왔다. 지난 1년 남짓한 시간 역시 그 변함없는 모습 그대로 거기 있었을 뿐, 달리 판단할 어떤 변화도 없었다"며 "그런데 도대체 무엇을 다시 심의한다는 말인가"라 했다.

이어 "강산은 아무것도 달라진 게 없는데, 그것을 바라보는 사람의 시선이 달라졌다고 해서 강산의 가치를 폄훼할 수 있다면, 문화재청은 도대체 왜 존재하는 것인가. 천연기념물이라는 이름은 어디에 써먹을 수 있는 말인가"라 덧붙였다.

문화재위원회 심의에 앞서, 이들은 "오는 25일 천연기념물 설악산의 미래를 결정하게 된다. 우여곡절이 있었지만, 흔들림 없는 판단을 내려야 할 때다"며 "문화재위원 개개인의 양심을 다시 한 번 확인해 볼 수 있을 것"이라 했다.

이들은 "설악산의 미래가 자신들의 판단에 달렸음을 반드시 주지하고 회의에 임하기를 바란다"며 "만에 하나, 눈치 보며 살아남기 급급해 지난 세 차례에 걸친 설악 오색 케이블카 사업 불허 결정을 뒤집는다면, 그 순간 문화재위원회는 권력의 필요에 기생하는 장식품에 불과한 집단으로 전락하게 될 것이다"고 했다.

'지리산 케이블카 반대 공동행동'은 "부디 문화재위원회의 독립성과 전문성을 토대로, 흔들림 없는 결정이 내려지기를 기원한다"고 했다.


#지리산#설악산#케이블카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